블로그 이미지
Morning lark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790)
Fuel Cell (837)
New Energy (828)
Energy Storage (6)
New Biz Item (2)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Longest section due to enter operation this year will stretch almost 400km
The first 525km of Germany’s 9,041km core hydrogen pipeline network is due to be completed this year, including a section that will stretch almost 400km south from the Baltic Sea.

But it is not yet known if hydrogen will actually flow to customers through the pipelines in 2025.

“That is a question for the market, ie, the traders,” said FNB Gas, the German association of gas transmission grid operators.
A total of 507km of the first 525km will consist of existing gas pipelines converted to H2.
This includes the section of almost 400kim that will run from the Baltic port of Lubmin to the village of Bobbau in the eastern state of Saxony-Anhalt.

Another 25km of gas pipelines will be converted to hydrogen in Saxony-Anhalt this year, running between the town of Bad Lauchstädt — the site of a 30MW green hydrogen project due to come online this year and an H2 salt cavern storage facility — and a TotalEnergies refinery in the town of Leuna.
A 50km gas pipeline between Lingen, Lower Saxony — the location of BP’s 100MW green hydrogen project — and Legden, North-Rhine Westphalia, is also due to be completed this year.
Only 142km of the network are due to be completed in 2026, only 2km of which will consist of new pipelines, according to FNB Gas.

Germany state-owned bank KfW signed off on a €24bn ($24.8bn) loan in November to finance the government’s so-called “amortisation account” for subsidising the core network of hydrogen pipelines.

In the early 2030s, the network will likely see low demand from a small pool of initial users. However, pipeline operators are also capped on how much they can charge customers to recoup an expected €18.9bn of combined investments into H2 infrastructure.
As such, the German government has set up the amorisation account, which will co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ors’ low revenues and high investment costs — which pipeline operators must repay as more users come onstream and revenues increase.

If the account is not settled by 2055, the government will foot most of the remaining deficit, while operators of the core network will have to pay for 24% of the shortfall.

While the country aims to install 10GW of electrolysers by 2030, up to 70% of Germany’s predicted 95-130TWh of hydrogen demand by that year is expected to be met by imports.

Germany due to complete first 525km of national hydrogen pipeline network this year | Hydrogen Insight

 

Germany due to complete first 525km of national hydrogen pipeline network this year | Hydrogen Insight

Germany due to complete first 525km of national hydrogen pipeline network this year Longest section due to enter operation this year will stretch almost 400km German Deputy Chancellor Robert Habeck with a map of the planned hydrogen network.Photo: BMWK

www.hydrogeninsight.com

 

Posted by Morning lark
, |

Model suggests Earth’s subsurface may hold up to 5.6 × 10⁶ million metric tons of natural hydrogen

 

A pair of geologists with the U.S. Geological Survey, Denver, has created a model that shows Earth’s subsurface may hold up to 5.6 × 106 million metric tons of natural hydrogen. In their study, published in the journal Science Advances, Geoffrey Ellis and Sarah Gelman added factors to a geological model to produce estimates regarding the likely amount of hydrogen in parts of the Earth

Prior research has shown that hydrogen can be produced artificially by applying electricity to water molecules to break them apart, leaving oxygen and hydrogen. Hydrogen is also produced naturally, via chemical reactions between rocks when they come into contact with one another. But until relatively recently, it was thought that very little hydrogen was made this way.

When geologists found huge natural reservoirs of hydrogen gas in Albania and West Africa, that thinking changed. Now, researchers believe that there are huge stores of hydrogen below our feet—the question remains, however, how to find it.

In this new study, the researchers made estimates regarding the likely amount of hydrogen contained in rocks and reservoirs in the Earth’s subsurface, which is loosely defined as the stratum.

To make their estimates, they used a model that has been created over time by geologists who have been adding hydrogen characteristics, such as where it has been found thus far and in what quantities, and the rates at which it is known to be produced by natural processes. They then began adding other known factors, such as the amount of hydrogen in reservoirs and how much is leaking out from hydrogen-containing rocks.

The model showed there to be anywhere between 1 billion and 10 trillion tons of hydrogen in the subsurface—the researchers used averages to narrow the number down to 5.6 × 106 million metric tons. They readily acknowledge, however, that most of that hydrogen is probably inaccessible, but they also point out that harvesting just 2% of it could provide all of humanity’s energy needs for approximately two centuries.

 

Model suggests Earth's subsurface may hold up to 5.6 × 10⁶ million metric tons of natural hydrogen - Hydrogen Central

 

Model suggests Earth's subsurface may hold up to 5.6 × 10⁶ million metric tons of natural hydrogen - Hydrogen Central

Model suggests Earth's subsurface may hold up to 5.6 × 10⁶ million metric tons of natural hydrogenA pair of geologists

hydrogen-central.com

 

 
Posted by Morning lark
, |

기존 촉매 대비 3배 효율적, 10시간 성능 유지 가능

[수소뉴스 = 양인범 기자] 부산대학교 연구진이 물에서 수소를 뽑아내는 수전해 기술과 수소 연료전지에 사용하는 새로운 촉매를 개발했다. 지금까지 촉매로 쓰여 온 비싼 백금에 저렴한 니켈을 섞은 나노 크기 입자를 그래핀에 결합한 것으로, 기존 촉매보다 최대 3배나 효율적이면서도 10시간 이상 성능을 유지해 차세대 에너지 기술의 혁신이 기대된다.

부산대학교는 재료공학부 이정우 교수팀이 백금 기반 합금의 정밀한 조성 변화를 통한 격자 수축 제어와 나노합금 입자-그래핀 이종원소 결합을 통해 높은 전류 밀도를 갖는 수전해 및 수소 연료전지용 촉매 개발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수소 에너지는 높은 질량당 에너지 밀도와 연소 시 이산화탄소 미발생과 같은 특성으로 차세대 신재생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이 중 수전해 및 연료전지 기술은 탄소 기반의 물질이 사용되지 않으면서 수소 에너지를 생산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현재는 백금(Pt) 나노 입자가 담지된 비정질 탄소 재료인 백금·카본 블랙을 상용 촉매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백금·카본 블랙은 백금의 비싼 가격과 적은 매장량 및 카본 블랙의 낮은 장기 안정성으로 인해 대량 생산과 상용화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이에 부산대 이 교수팀은 백금의 사용량을 저감하면서 동시에 촉매의 활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니켈(Ni)은 전이금속 중 하나로, 백금 가격의 약 1/2000 정도이며 백금과 혼합해 합금 형태로 제작 때 수소 생산과 산소 환원에서의 시너지를 일으켜 보다 높은 촉매 특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이 개발한 소재는 마이크로파를 활용한 용액상 공정으로, 수 나노 크기의 균일한 백금-니켈 나노합금 입자를 질소 도핑된 그래핀의 표면에 담지하는 방식으로 제작됐다. 이는 수 분 내에 수 나노 크기의 균일한 소재 제작이 가능해 공정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작된 촉매는 최적화된 백금-니켈 조성을 갖는 합금 클러스터와 질소 도핑된 그래핀 간의 시너지로 인해 기존에 사용되는 백금·카본 블랙 소재보다 산소 환원 반응에서 약 3배 이상 향상된 비면적 활성도 및 질량 활성도를 보였으며, 수소 생산 반응에선 약 2배 정도 향상된 비면적 활성도, 질량 활성도를 나타냈다.

최종 구현된 촉매는 아연-공기 2차 전지에 적용됐다. 기존 상용 백금 및 이리듐 촉매보다 약 2배 이상 높은 전력 밀도를 나타냈다. 10시간 이상 충·방전 시에도 초기의 활성을 유지했다.

또 연구팀은 촉매 표면에서 생산된 수소를 포집해 시간에 따른 부피 변화를 관찰했으며, 일정 시간마다 포집된 수소의 양이 선형적으로 증가해 안정적으로 수소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제작된 촉매는 차세대 에너지 생산 및 활용 소재로서 수소 자동차, 버스 등의 모빌리티나 발전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마이크로파 가열을 통한 고속 합성 공정과 백금-니켈 조성 변화를 통해 격자 수축 정도를 제어하고 나노합금 클러스터-질소 결합 형성으로 기존의 백금 촉매보다 높은 촉매 활성을 달성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빠르고 간단한 촉매 제작 공정과 더불어 백금 사용량을 줄이면서 동시에 촉매의 활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많은 활용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논문은 세계적인 과학저널 ‘에코맷 (EcoMat)’ 2024년 12월 15일자에 게재됐다.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부산대, 수전해와 수소연료전지 사용하는 新 촉매 개발 < 실시간 기사 < 종합 < 뉴스 < 기사본문 - 수소뉴스
출처 : 수소뉴스(http://www.h2news.co.kr)

 

부산대, 수전해와 수소연료전지 사용하는 新 촉매 개발 - 수소뉴스

[수소뉴스 = 양인범 기자] 부산대학교 연구진이 물에서 수소를 뽑아내는 수전해 기술과 수소 연료전지에 사용하는 새로운 촉매를 개발했다. 지금까지 촉매로 쓰여 온 비싼 백금에 저렴한 니켈을

www.h2news.co.kr

 

Posted by Morning lark
, |

AGCは2024年12月24日、カナダの気候変動関連スタートアップ企業であるCERT systems(サート システムズ)と、電気分解技術やCO2を原料に活用したエチレンの製造検討に関する共同研究契約を締結したと発表した。

 今回の共同研究では、CCU(CO2回収利用)技術の導入により、AGCグループが製造する塩化ビニール樹脂やフッ素樹脂の原料に使用するエチレンを、CO2由来のエチレンに置き換える検討を行う。

AGC製品の原料をCO2由来エチレンに置き換える共同研究のイメージ図[クリックで拡大] 出所:AGC

CO2電気分解プラントの実用化に向けた検討を実施

 近年、2050年までのカーボンニュートラルの実現に向けた技術として、CO2を回収/利用するCCU技術が注目されている。CO2由来のエチレンを製造する際の主な反応方法としては、水素を利用した反応、電気分解による反応、光合成を利用した反応の3つが検討されている。

 特に今回の検討の対象である電気分解法は、CO2以外に必要となる原料が電気と水で、原料の調達利便性が高いことを背景に、国内外で研究が進められている。電気は再生可能エネルギー由来のものを調達することで、カーボンニュートラル実現にも寄与する。

 CERT systemsは、2020年に世界で初めてCO2電気分解技術を用いてエチレンを製造するパイロット実証実験に成功したと発表した。今回の共同研究では、CERT systemsの知見を生かして、CO2電気分解プラントの実用化に向けた検討を実施する。同技術に関するプロセスの検証や事業性評価などを、AGCグループの製造拠点と連携し、進めていく予定だ。

 

AGCがCO2を原料としたエチレンの製造検討を開始:脱炭素 - MONOist

 

https://monoist.itmedia.co.jp/mn/articles/2412/27/news065.html

 

monoist.itmedia.co.jp

 

Posted by Morning la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