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orning lark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30)
Fuel Cell (766)
New Energy (496)
Energy Storage (5)
New Biz Item (1)
Total
Today
Yesterday

공급망 협정, 韓서 정식 발효…IPEF 본격 가동
IPEF 핵심 '청정경제 협정'…역내 대규모 시장 조성 협력
수소‧연료전지‧CCUS 등 청정에너지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정부, 투자자 포럼‧촉진펀드 조성 등에 적극 참여…진출 확대 도모

 

월간수소경제 = 박상우 기자 |  정부의 적극적인 육성 정책에 힘입어 국내 수소산업은 성공적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산업연구원이 지난해 11월에 발표한 ‘국내 수소산업의 경제 현황과 경쟁력 강화 방안’에 따르면 정책이 시작된 첫해인 2019년 수소산업 내 사업체 수가 크게 증가했으며, 이러한 성장세는 2021년까지 이어져 사업체 수가 2019년 대비 56% 확대된 데에 더해 대기업의 진입으로 산업 전체의 매출액(474%)과 고용(180%) 역시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이같이 성장 기반을 마련한 국내 수소산업 앞에 새로운 기회가 찾아왔다.

인도-태평양 지역 다자경제협력체인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이하 IPEF)’가 지난 4월 17일 한국에서 공급망 협정이 정식 발효됨에 따라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IPEF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하고 자국 중심의 경제‧통상 질서를 구축하고자 하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주도로 2022년 5월에 출범했다.

IPEF는 관세 인하, 부분적인 규제 철폐에 방점을 두었던 다자/양자 FTA보다 더 범위가 넓은 경제협력체를 지향한다. 궁극적으로는 인도-태평양 지역 내 파트너 국가들과 청정에너지 등 미래 산업을 육성하고 관련 국제 표준을 정립하는 것이다.

참여국은 미국과 한국을 비롯해 일본, 호주, 인도,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싱가포르, 브루나이, 뉴질랜드, 피지 등 총 14개국이다.

참여국들은 IPEF 출범 이후 7번의 공식 협상과 여러 차례 장관회의 및 회기간회의 등을 통해 △무역(필라1) △공급망(필라2) △청정경제(필라3) △공정경제(필라4) 등 총 4개 협정을 마련했다. 이후 협상을 거쳐 쟁점이 가장 많은 ‘무역’을 제외한 나머지 3개 협정을 지난해 11월에 체결했다.

4개 협정 중 가장 주목받는 것이 바로 ‘청정경제 협정’이다.


IPEF 인포그래픽.(그림=뉴질랜드 외교통상부)

 

인태지역 청정경제 시장 조성 협력
청정경제 협정은 IPEF 역내 탄소중립 및 청정경제 전환을 목표로 수소, 원자력, 재생에너지 등 모든 청정에너지원의 생산부터 투자 활성화까지 광범위한 분야의 정책·기술·표준에 대한 협력체계를 담고 있다.

참여국들은 해당 협정을 통해 청정기술을 개발하고 확산하는 데 협력하고 무공해차의 판매‧생산‧점유율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며 농업‧산림‧수자원‧해양을 기후변화의 영향으로부터 더 잘 보호하기 위한 솔루션을 홍보한다.

이를 통해 청정기술을 위한 중요 광물 또는 자재 등 핵심 투입물 공급원을 확보해 시장 전반의 청정에너지 공급망을 강화하고 에너지 부문에서 비용 효율적인 조치를 취해 2030년까지 글로벌 인위적 메탄 배출량을 감축한다. 

또 △민간 부문과의 긴밀한 협력 △잠재적 비관세장벽 완화 △재정적 인센티브 촉진 등을 통해 탄소 저배출 또는 무배출 상품 및 서비스의 공급과 수요를 확대한다.

주요 내용은 먼저 당사자들은 ‘청정에너지 기술 개발 및 역량 확충’을 위해 △정책 논의 △기술 분석 △자발적이고 상호 합의된 조건에 따른 지식 이전 및 기술 교류 △자금 조달 △인력 개발 등을 협력한다. 또 2030년까지 최소 1,200억 달러(약 164조 원)의 투자를 공동으로 촉진하고 새로운 에너지 인프라 투자를 장려하는 등 여러 조치를 취한다.

또한 국제 수소연료전지 경제파트너쉽 등 당사자들이 참여한 관련 포럼에서의 노력에 기초해 기술에 대한 협업을 확대하고 수소에 대한 규정, 규칙 및 표준 개발에 관한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인정한다.

이와 함께 수소와 수소파생물(암모니아, 메탄올 등)이 중대한 활용도를 갖춘 다목적 탈탄소화 경로로서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청정수소에 대한 세계 시장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주요 공급망 조력자를 강화해 수소생태계를 발전시키기로 했다.

이를 위해 △규정, 체계, 안전기준, 국경 간 수소 무역을 촉진하는 조치에 대한 정보와 우수 관행 교환 △거래 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수소 및 수소파생물의 탄소 집약도에 대한 상호 인정된 배출량 회계 방법, 기준 및 인증의 개발 가속화 △수소 및 수소파생물을 위해 필요한 인프라와 공급 측면의 역량 확인 △국경 간 운송 및 무역 또는 새로운 응용을 촉진하는 수소 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지원 △투자에 대한 확신을 제공하고 추가적인 개발 및 보급을 장려하기 위한 공동 시범 및 실증 사업 모색 등을 추진한다.

여기에 △기존의 가루탄 연소 보일러 및 가스터빈에서의 수소, 암모니아, 메탄올과 같은 다중 연료 연소 △최소한의 개조와 함께 석탄을 대체하기 위해 종래의 가루탄 연소 보일러에서의 농업 기반 바이오매스 및 폐기물 유래 연료 연소 △탈탄소화로의 전환 조치로서 더욱 환경을 준수하는 발전소를 촉진하는 화력 발전 라벨링 등에 관심이 있는 당사자들은 협업을 모색할 수 있다.

E-퓨얼과 같은 재활용 탄소 합성연료가 화석 유래 물품을 대체하고 기존의 인프라를 활용해 달리 피할 수 없는 배출량을 줄일 수 있음을 인정하고 관심이 있는 회원국들은 저감하기 어려운 분야를 포함해 글로벌 온실가스 순배출량의 감축으로 이어지는 재활용 탄소 합성연료의 연구, 개발 및 활용을 고려하고자 하며, 재활용 탄소 합성연료를 촉진하는 데 필요한 제도적 장치를 개발하는 데 협업한다.

또 △청정에너지 개발을 가속하기 위해 측정, 보고 및 검증 체계를 포함한 역내 에너지 상호 연결 장려 △국경 간 청정에너지 및 공급망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 체계 마련 △비용과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상호 연결된 그리드에 대한 공동 계획, 투자 및 안정적인 운영을 조정하고 촉진하는 기술‧규제‧안전 조치 협업 등을 통해 국경 간 전력 상호 연결 및 무역을 위한 역내 체계를 개발한다.

청정 발전 및 에너지 효율 조치 보급의 신속한 확대 등을 통해 2050년을 전후로 글로벌 순배출량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보급을 증진하고 2030년까지 역내 재생에너지에 대한 최소 200억 달러(약 27조 원)의 투자를 촉진하겠다는 목표를 지원한다. 

이와 함께 저감장치를 갖추지 않은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지식, 우수 관행 및 기술적인 전문 지식의 공유를 통해 협력하고 에너지와 에너지 시스템의 신뢰성, 경제성 및 이용 가능성을 유지하고 보장하는 일에 협력한다. 

또 청정에너지 사용을 늘리고 저감장치가 없는 화석연료의 사용과 의존도를 줄이는 에너지 시스템으로 신속하게 전환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선진화된 계획 및 예측 기술의 보급도 협력한다.

아울러 당사국은 각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산업분야의 경우 △청정기술의 연구개발, 상용화, 보급 촉진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노력 △산업에서 저배출·무배출 재료, 기술, 해법 창출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운송분야에서는 △SAF 생산 및 이용가능성 증대 △2027년까지 인태지역에 5개 이상의 녹색해운항로 구축 개시 노력 △2030년까지 전세계에서 판매되는 경량차량 중 50% 이상을 무공해차로 전환 노력 △대중교통, 도보, 자전거 등 능동형 교통의 비중 확대 노력 등에 협력한다.

CCUS 분야는 CCUS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 및 개발 협력을 강화하고 탄소 제거 프로젝트 개발을 장려한다. 또 2030년까지 역내 탄소제거 분야에 대한 150억 달러(약 21조 원)의 투자를 촉진하고 탄소 제거 및 탄소 저장 프로젝트에 대한 측정·보고·검증 표준 개발에 협력한다.

이와 함께 역내 탄소시장 조성을 위해 △거래, 금융조치, 규정 마련 △탄소시장의 개발·이해에서의 호환성, 안정성 증진 협력 △국가결정기여의 이행과 달성을 위한 탄소시장 관련 민관 협력 증진 등을 협력해 탄소시장 활동을 증진‧촉진한다.

아울러 연례로 ‘IPEF 청정경제 위원회’를 개최해 협정의 이행 또는 운영과 관련된 모든 사안을 고려하고 협력 작업 프로그램의 이행 및 결과를 모니티링한다. 이를 위해 각 당사국은 첫 번째 위원회에 최초 이행 상황을 보고하고 이후 격년으로 이행상황을 보고해야 한다.

목표 달성 위한 프로그램 구축
이같은 청정경제 협정의 목표를 조기에 달성하고자 당사자들은 △탄소시장(Carbon Market) △청정전기(Electricity) △수소(Hydrogen)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 △지속가능항공유(SAF, Sustainable aviation fuels) 등 총 5개 협력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다.

먼저 탄소시장은 IPEF 차원의 탄소시장 관련 글로벌 표준과 규제‧인센티브를 포함한 정책 공유 등으로 역내 탄소시장 협력 인프라 및 전략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인태지역 내 경쟁적으로 활발한 탄소시장 조성을 위한 협력과 온실가스 완화 및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투자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당사자들은 보고 있다.

청정전기는 수소, 원자력 등 무탄소 에너지 개발‧측정 등 관련 민관 협력, 청정에너지 조달 원활화 및 국가간 거래 장벽 완화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청정전기 접근성을 제고하고 민간 부문 투자를 촉진하며 역내 청정전기 관련 정책·표준·인증 협력 기반이 구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소는 수소공급망 매핑, 관련 기술 및 안전표준 절차 등 협력을 통해 수소 및 수소파생물의 역내 공급망 활성화를 도모한다. 이는 역내 저탄소 및 재생 수소 공급망 개발 속도를 높여 수소시장 개발을 촉진하고 관련 표준·인증 조화를 통한 기업 거래비용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의로운 전환은 청정경제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 및 인력구조 변화에 대응해 인력양성, 정보공유, 관련 투자 지원 등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역내 기후변화 대응·청정경제 전환 과정에서 일자리와 기술 개발에 대한 공평한 접근성 확대 등 IPEF 국가들의 적응을 돕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항공유는 SAF 생산 증대 및 연료 확보 등 역내 공급망 확보와 관련 기술개발 및 정책연구와 항공사들과 협업 통해 시범사업 진행 등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역내 항공부문 2025 넷제로 달성 및 관련 신규 투자, 고용, 무역 등 기회 창출이 기대된다.

참여국들은 청정경제 협정에 따라 2030년까지 1,550억 달러(약 212조 원)의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IPEF 촉매 자본 기금(Catalytic Capital Fund)’를 설립하기로 했다. 기금은 ‘민간 인프라 개발 그룹(PIDG)’이 관리한다. PIDG는 △대출기관 실사 △사업이행자금 △기타 형태의 양허성 자본 프로젝트를 지원해 민간 부문의 자금을 동원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6월 6일에는 싱가포르에서 ‘IPEF 청정경제 투자자포럼(Clean Economy Investor Forum)’을 발족할 예정이다. 이날 포럼에서는 정부, 투자사, 다자개발은행 등이 참여해 인태 지역 내 친환경 에너지, 항만 등 청정경제 인프라 분야 투자 확대를 위해 투자자-프로젝트 매칭 등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참여국들은 지난 3월 장관급회의를 열고 청정경제 협정과 공정경제 협정의 신속한 발효를 위해 법률검토, 서명 등 필요한 절차를 진행해 나가기로 했다. 

진출 기회 확대 도모
정부는 지난 3월 14일부터 4월 2일까지 협정문 영문본과 한글본 초안을 공개하고 국민의견을 수렴했다. 정부는 필요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청정경제 협정이 올해 안에 정식 발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IPEF를 활용해 국내 기업의 진출 기회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그 일환으로 산업부는 지난 4월 23일 석탄회관에서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주제로 열린 ‘제38차 통상추진위원회’에서 IPEF 공급망 협정 활용 및 이행계획과 IPEF 추진동향 및 대응계획 등을 논의했다.

정부는 △IPEF 청정경제 투자자 포럼 △청정경제 촉진펀드 조성 등 주요 협력사업에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또 역내 탄소시장 관련 표준‧체제 마련 등 탄소시장 협력을 주도하고 무탄소에너지 이니셔티브의 확산을 위해 청정전기 협력에도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기대되는 IPEF 청정경제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 등을 활용해 협력을 주도하면서 우리 기업의 인태지역 진출 확대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출처 : 월간수소경제(https://www.h2news.kr)

Posted by Morning lark
, |

자료출처 임팩트온

일 자 2024.5.20

다양하게 쓰일 수 있는 그린수소의 이미지./픽사베이

일본이 수소 산업을 적극적으로 밀기 시작했다.

미스비시UFJ은행, 미쓰이스미토모은행과 함께 일본의 3대 은행인 미즈호은행의 모기업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Mizuho Financial Group)이 2030년까지 수소와 관련 기술의 생산과 공급에 2조엔(약 17조원)을 지원한다고 ESG투데이가 16일(현지시각) 전했다.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에 따르면, 새로운 목표는 수소 및 관련 기술에 대한 공급망 구축의 시급성이 높아지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수소 부문에 대한 자금 수요의 증가를 반영한 조치다.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은 현재까지 수소 산업계가 고비용, 자금 확보, 수요 창출 등의 문제로 인해 곤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5개 수소산업 영역, 3가지 중점 핵심 분야 설정해서 추진

수소는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핵심 구성요소인 광물 제조 및 중량물 운송 등 기존의 재생 에너지 솔루션이 부적합한 산업부문에 적합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연간 약 9000만 미터톤의 수소가 생산되지만, 대부분은 화석 연료를 사용해 생산한다. 재생 에너지를 통해 그린 수소를 개발하려면 인프라, 전기분해, 운송에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은 16일 그룹이 집중할 주용 수소 및 관련 기술 영역 5개를 발표했다. 즉, ▲일본 정부 전략 수립에 참여 ▲핵심기술 개발 및 사업화 지원 ▲수소의 사회적 구현을 위한 연구, 분석 및 정보 보급 ▲수소 및 관련 기술 공급망 구축 지원 ▲자금조달 역량 강화 등이 그것이다. 다만, 여기서 ‘수소 및 관련 기술’이란 수소, 암모니아, e-메탄을 포함한 분야를 말한다.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은 이러한 야심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소 및 관련 기술에 초점을 맞춘 사업 전략 개발 ▲수소 및 관련 기술 지원을 전담하는 그룹 차원의 프레임워크 구축 ▲수소 및 관련 기술 확대라는 세 가지 핵심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회사는 앞으로 수소 및 관련 기술 공급망 구축을 촉진하기 위한 이니셔티브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발표는 지난해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이 환경 및 기후 변화 관련 금융에 50조엔(약 435조원)을 포함해 2019년부터 2030년까지 지속가능한 금융에 100조엔(약 870조원)을 지원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맥킨지와 수소위원회가 함께 작성한 수소인사이트 2023년 12월 업데이트판 표지./홈페이지

알칼리수 전해조를 개발, 그린수소 생산 상용화에 박차 가하는 중

이에 일본의 산업계도 화답하듯 같은 날 수소 파일럿 공장을 공식 가동했다.

영국의 지속가능성 미디어 환경리더(Environmental leader)의 16일(현지시각) 보도에 의하면, 일본의 다국적 화학기업 아사히 카세이(Asahi Kasei)가 일본 가와사키에서 다중 모듈 수소 파일럿 플랜트의 개시를 축하했다.

지난 3월 공장 가동에 이어, 이달 공식적으로 가동을 시작한 것은 그린수소 생산을 위해 설계된 100MW급 알칼리수 전기분해 시스템의 상용화를 향한 중요한 진전이다.

컨설팅 기업 맥킨지(McKinsey & Company)와 수소위원회가 공동으로 작성한 수소인사이트(Hydrogen Insights) 2023 12월 업데이트에 따르면, 수소 프로젝트 파이프라인이 6개월 전보다 35% 증가한 5700억달러(약 772조원) 규모로 성장했다. 파이프라인에는 깨끗한 수소 생산, 최종 사용 및 인프라가 포함된다. 이 보고서는 글로벌 수소 개발에 대한 최신 업데이트 자료로, 1400개 이상의 대규모 수소 프로젝트를 분석했다.

세계 수소 시장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소 협의회에서는 2030년까지 총 설치 용량이 300GW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증가하는 수소 수요에 대응하여 아사히 카세이는 그린수소 생성에 맞춤화된 알칼리 수전해조인 아쿠아라이저(Aqualyzer)를 개발했다. 2022년 11월에 시작된 가와사키의 파일럿 플랜트는 다중 모듈 구성을 사용, 실제 조건에서 이 기술에 대한 중요한 테스트를 한다.

아사히 카세히는 여러 모듈을 통합하여 각각 10MW 용량을 갖춘 최대 10개 장치까지 가동할 수 있다고 한다. 이 회사는 2025년까지 최대 100MW의 용량을 달성할 수 있는 상업용 대규모 전기분해 시스템의 출시를 촉진하는 것이 목표다. 이런 기술의 배경에는 염소-알칼리 전기분해 분야에서 40년 이상에 걸친 경험과 노하우가 있다.

가와사키의 파일럿 플랜트는 2020년부터 후쿠시마 나미에에 있는 후쿠시마 에너지 연구 현장(FH2R)에서 10MW 단일 스택 알칼리수 전기분해 시스템을 장기간 테스트하여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구축됐다. 아사히 카세이는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다중 모듈 알칼리수 전기분해 장비로 시장 입지를 확장할 계획이다. 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개발기구(NEDO)는 녹색혁신기금을 통해 가와사키 파일럿 플랜트 건설과 운영을 지원했다.

한편, 이 회사는 60MW급 전해조를 위해 거대 에너지 기업 페트로나스가 소유한 젠타리(Gentari)와 일본의 에너지 기업 JGC과 함께 말레이시아에서도 그린수소 생산을 하기 위한 알카리수 전기분해 시스템을 공동 연구하고 있다.

 
Posted by Morning lark
, |

https://www.hydrogeninsight.com/electrolysers/thyssenkrupp-nucera-sees-69-increase-in-hydrogen-electrolyser-sales-despite-difficult-market-conditions/2-1-1644700

Posted by Morning lark
, |

The U.S. Dept. of Energy (DOE) announced it was preparing to make as much as a $1.66 billion loan guarantee to Latham, New York-based Plug Power, with the money earmarked for construction of as many as six clean hydrogen facilities across the U.S.

The DOE on May 14 said the funds were part of a conditional commitment to Plug Power.  The Biden administration has made support for hydrogen production from clean energy sources—known as green hydrogen—a focus of its energy program. Most hydrogen is known as blue hydrogen, which is produced from fossil fuels including natural gas. Green hydrogen is produced using electricity from renewable energy resources such as solar and wind.

Plug Power develops hydrogen fuel cell systems that replace conventional batteries in equipment and vehicles powered by electricity.

Key for Decarbonization
“Green hydrogen is an essential driver of industrial decarbonization in the United States,” said Plug Power CEO Andy Marsh. “Earlier this year, Plug successfully demonstrated our innovation and technical ability by launching the first commercial-scale green hydrogen plant in the country in Woodbine, Georgia. This loan guarantee will help us build on that success with additional green hydrogen plants.”

Marsh said, “We appreciate the partnership with the DOE Loan Programs Office and are pleased to have worked through an intensive due diligence process. The loan guarantee will prove instrumental to grow and scale not only Plug’s green hydrogen plant network, but the clean hydrogen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The Biden administration last year published a “National Clean Hydrogen Strategy and Roadmap,” which referenced how the U.S. could produce as much as 10 million metric tons of green hydrogen annually by 2030. The target rises to 20 million metric tons each year by 2040, and 50 million metric tons annually by 2050.

The DOE last fall said it would supply $7 billion of funding to develop seven regional clean hydrogen hubs across the U.S. The hubs would support commercial-scale deployment of hydrogen. The money was included in the 2021 Bipartisan Infrastructure Law.

The seven hubs are expected to jointly produced about three million metric tons of hydrogen annually.

Hydrogen Production Network
Plug Power’s hydrogen production network includes plants in several states. It is among the top commercial-scale manufacturers of electrolyzers in the U.S., and operates the largest Proton Exchange Membrane (PEM) electrolyzer system in the U.S. at its Georgia hydrogen facility. Plug’s electrolyzer stacks are manufactured at the company’s factory in Rochester, New York. Plug’s liquefaction and hydrogen storage systems are engineered at its facility in Houston, Texas.

Electrolyzers use electricity to split water into hydrogen and oxygen. Plug’s PEM technology is designed to operate efficiently on electricity from renewable energy; Electrolyzers that use renewables to electrify hydrogen production produce emissions-free clean hydrogen. Plug has said its electrolyzer stacks can be configured to produce systems at 1-, 5-, and 10-MW scales.

Plug Power has said its hydrogen fuel can be used in fuel cell-electric vehicles across several sectors, including transportation and industrial, and also material handling. Plug’s hydrogen fuel cells already are used by companies including Home Depot, Walmart, and Amazon, at those groups’ warehouse and distribution centers.


Posted by Morning la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