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orning lark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23)
Fuel Cell (766)
New Energy (490)
Energy Storage (5)
New Biz Item (1)
Total
Today
Yesterday

2024年3月6日、日産自動車はバイオエタノールを使用した高効率の定置型発電システムを開発し、栃木工場でのトライアル運用を開始したと発表した。発電量の向上を進めて2030年からの本格運用を目指すとともに、2050年までに工場含めたクルマのライフサイクル全体におけるカーボンニュートラルを実現していくとしている。

 

 

 

日産、バイオエタノールを使った高効率発電システムを開発し、栃木工場でのトライアル運用を開始したと発表した。2030年からの本格運用を目指しており、トライアル運用を通して発電量を向上させる計画だ。 日産は2016年に、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SOFC)を使った燃料電池システム「e-Bio Fuel-Cell」の技術を世界初で車両に搭載しており、この車載用SOFC技術を定置型発電システムに応用していくそうだ。 SOFCは、エタノール、天然ガス、LPガスなどの様々な燃料で発電が可能で、これらの燃料を高温で作動する改質器を使って酸素と反応させ、発生した水素を利用して発電を行う。この高温で作動するという点が重要で、触媒の活性度も高くなるため、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PEFC)の発電効率が60%なのに対し、日産SOFCの燃料電池単体の発電効率が70%という高効率を実現している。 今後は、SOFCスタックの構成部品であるメタルサポートセルの開発によりセル強度を向上していくことで、起動停止時間の短縮や急な出力変動要求に対する負荷追従運転が可能となり、将来的に再生エネルギーとの連携を行う場合に、効果的なSOFCシステム運転を達成できるとしている。

イネ科の植物由来のバイオエタノールを利用

今回の定置型発電システムでは、バイネックス社と共同開発したソルガムというイネ科の一年草植物を原料としたバイオエタノールを採用。ソルガムバイオエタノールはSOFC発電時にCO2を放出するが、そのCO2はソルガムが成長する過程で大気中のCO2を吸収したものであるため、「カーボン・ニュートラル・サイクル」の実現に貢献する。 ちなみにソルガムは生育が早く、約3ヵ月で収穫可能なので栽培適地なら年に複数回収穫ができる。また寒冷地や乾燥地にも順応できるため、幅広い地域や土壌で栽培可能なほか、茎部分をエタノールの原料、実部分は食料に使用するので、食料との競合も発生しないのもメリットである。さらに、搾汁後の茎の絞りカス(バガス)もバイオマス発電に活用できる可能性もあるそうで、注目の素材と言えるだろう。 日産の常務執行役員でパワートレイン生産技術開発を担当する村田和彦氏は、「内燃機関から電気自動車への大きな変革の中で日産は新たな領域における様々な技術開発にチャレンジしている。SOFC発電システムも日産が強みを持つ技術の一つだ。今後も他がやらぬ革新的な技術で、電動化の推進とともに、カーボンニュートラルの実現に貢献していく」と述べている。 日産は2050年までに事業活動を含むクルマのライフサイクル全体におけるカーボンニュートラルを実現する目標に取り組んでおり、生産分野においては、工場のエネルギーを削減しながら革新的な生産技術を導入し、2050年までに工場設備を全面的に電動化するとしている。 この工場で使用する電気をすべて再生可能エネルギーで発電された電気と代替燃料を使って燃料電池で自家発電した電気に替えていくことで、生産現場におけるカーボンニュートラルを実現する予定だ。 乗っている時だけでなく、生産工程もカーボンニュートラルな時代を実現する技術として、今後の展開に注目が集まることだろう。

 

日産が高効率発電のための定置型バイオエタノール発電システムの試験運用を開始(スマートモビリティJP) - Yahoo!ニュース

 

日産が高効率発電のための定置型バイオエタノール発電システムの試験運用を開始(スマート

2024年3月6日、日産自動車はバイオエタノールを使用した高効率の定置型発電システムを開発し、栃木工場でのトライアル運用を開始したと発表した。発電量の向上を進めて2030年からの本格運

news.yahoo.co.jp

 

Posted by Morning lark
, |

日産自動車は6日、バイオエタノールを使って発電する燃料電池システムを開発し、栃木工場(栃木県)に導入したと発表した。2050年までに、世界の全工場で温室効果ガスの排出量を実質ゼロとするため、全電力の3割をこの燃料電池システムによる発電でまかなう計画だ。

日産が栃木工場に導入したバイオエタノールで発電する燃料電池システム(6日、栃木県上三川町で)(読売新聞)

 導入するのは「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SOFC)」と呼ばれるシステム。エタノールから水素を取り出す装置を使い、酸素と化学反応させて発電する。

 日産の工場は現状、電気やガスなどを使って稼働している。将来的に全ての工場を全面的に電化させる方針で、太陽光発電といった再生可能エネルギーのみでは足りない分を、バイオエタノールによる発電で補う形とする。

 バイオエタノールも自社で調達する。「バイネックス」(東京)と協業し、オーストラリアで原料となるソルガムを栽培するほか、バイオエタノールの製造を行うという。

 日産は16年に世界で初めてエタノールで発電する燃料電池車を開発しており、この技術を工場の電化に応用させた。今後も開発を続け、将来的なクルマへの搭載も検討していく。

 

日産、バイオエタノール使う発電システムを工場導入…50年までに全電力の3割まかなう計画(読売新聞オンライン) - Yahoo!ニュース

 

日産、バイオエタノール使う発電システムを工場導入…50年までに全電力の3割まかなう計

 日産自動車は6日、バイオエタノールを使って発電する燃料電池システムを開発し、栃木工場(栃木県)に導入したと発表した。2050年までに、世界の全工場で温室効果ガスの排出量

news.yahoo.co.jp

 

Posted by Morning lark
, |

월간수소경제 = 이종수 기자 | 올해 인천, 울산, 창원 등 3곳의 수소액화플랜트에서 액체수소를 본격 생산할 예정이다. 정부는 그간 국내 액체수소 사용사례가 없어 안전기준이 부재한 점을 감안해 규제샌드박스 실증 특례를 통해 3곳의 수소액화플랜트 구축을 지원했다.

창원에서 처음으로 수소액화플랜트 준공 소식을 알렸다. 지난 1월 31일 두산에너빌리티 창원공장에서 ‘창원 액화수소 플랜트’ 준공식이 열렸다.

박찬기 산업통상자원부 수소경제정책관은 이날 축사를 통해 “이번 액화수소 플랜트 준공으로 우리나라가 미국, 독일, 일본 등에 이어 세계에서 9번째로 액화수소 생산국가가 되었다”라며 “정부는 액화수소 핵심기술 국산화, 법령 정비 및 규제개선, 수요처 다양화 등을 통해 국내 액화수소 생태계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창원 액화수소 플랜트는 두산에너빌리티, 경남도, 창원시가 총 950억 원을 투자해 구축되었고, 천연가스 개질 방식으로 하루 5톤 연간 최대 1,825톤의 액체수소를 생산해 인근 연구기관, 기업, 수소충전소 등에 공급할 예정이다. 상업가동은 이르면 올 4월, 늦으면 6월 이후가 될 전망이다.

SK E&S는 SK인천석유화학 공장에 연간 3만 톤(하루 90톤), 효성중공업과 린데는 울산 효성화학 용연3공장에 연간 5,200톤(하루 15톤) 규모의 수소액화플랜트를 구축해 상업가동을 준비 중이다.

이처럼 3곳의 수소액화플랜트가 본격적으로 가동할 예정임에 따라 액체수소 수요창출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수소액화플랜트가 상업가동에 돌입하더라도 최대 생산능력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3곳의 연간 최대 생산능력은 4만 톤 정도로 세계 최대 규모다. 

당초 정부는 지난해 액체수소 생산이 개시될 것으로 예상했다. 산업부는 지난해 3월 9일 두산에너빌리티 창원공장에서 액화수소 기업 간담회를 개최하고, 창원 수소액화플랜트 구축 현장을 점검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2023년 액화수소 시대 본격 개막’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인천은 10월, 울산은 12월, 창원은 상반기에 액체수소 생산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생산 예정 시기가 올해로 늦어지게 되었다. 액체수소 유통 기반인 액체수소충전소 구축이 지연되는 동시에 실제 액체수소충전소를 이용할 수소 버스의 보급도 늦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정부는 2030년까지 액체수소충전소 70개소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환경부가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수소충전소 설치 민간자본보조사업’을 통해 총 40개소의 액체수소충전소 구축 보조금을 지원해 전국 각지에서 충전소 구축이 추진되고 있다. 환경부는 인천, 구미 등을 중심으로 10여 곳의 액체수소충전소가 2023년 말에 운영을 개시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해를 넘기게 됐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 2월까지 완공된 액체수소충전소는 7개소(16기)인 것으로 파악된다. 환경부는 올해 40기의 액체수소충전소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환경부는 올해 신규를 포함해 32개소의 액체수소충전소 구축 보조금을 지원한다.

액체수소 생산 규모가 가장 큰 플랜트(인천)를 운영하는 SK E&S는 미국 플러그파워와의 합작법인 ‘SK 플러그 하이버스’를 통해 인천, 대구, 부산 등 전국에 40개소의 액체수소충전소를 구축 중이다. 

울산에 수소액화플랜트를 구축한 효성중공업도 린데와의 합작법인인 효성하이드로젠을 통해 전주, 광양, 경산 등에 액체수소충전소 구축을 추진 중이다. 또 해상 실증 등 다양한 분야에 액화수소를 공급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창원산업진흥원과 두산에너빌리티가 창원 수소액화플랜트를 운영하기 위해 설립한 하이창원은지난 1월 31일 액화수소 플랜트 준공식에서 KERI, KIMS, KTC, KOMERI 등의 연구기관과 효성중공업, 코하이젠 등의 기업들과 액화수소 구매협약을 맺었다.

하이창원은 2025년 상반기부터 수소충전소에 액화수소를 공급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창원시는 규제 샌드박스 실증 특례를 통해 액체수소충전소 5개소 구축사업을 진행 중이다.

액체수소충전소가 구축되어도 이를 이용할 수소버스의 대량 보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수소액화플랜트와 충전소의 가동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수소버스 보급 확산이 액화수소산업 활성화의 최대 관건이다. 

 

상업가동 앞둔 액화수소플랜트, 수요처 확보 사활 < 정책 < NEWS < 기사본문 - 월간수소경제 (h2news.kr)

출처 : 월간수소경제(https://www.h2news.kr)

 

상업가동 앞둔 액화수소플랜트, 수요처 확보 사활

액체수소는 기체수소 대비 부피를 1/800까지 줄일 수 있어 운송효율이 10배 이상 높아 수소의 대량 운송이 가능하다. 수소 버스·트럭 등 대량의 수소를 사용하는 수소상용차 보급을 촉진할 수 있

www.h2news.kr

 

Posted by Morning lark
, |

자료출처 인더스트리뉴스

일 자 2024.3.6

Lost Hills 유전 인프라 활용

[인더스트리뉴스 최용구 기자] 셰브론 뉴 에너지(Chevron New Energies, 이하 셰브론)가 미국 캘리포니아 센트럴 밸리(Central Valle)에서 태양광 수소 시설 개발에 뛰어들었다.

Environment Energy LEADER 등 매체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셰브론은 시설 준공을 거쳐 2026년 초부터 수소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5MW 규모 태양광 전력을 통해 하루 약 2톤의 수소를 생산하게 된다.

셰브론은 캘리포니아 컨군(Kern county) 로스트 힐스(Lost Hills) 유전에 있는 기존 태양광발전을 활용한다.

아울러 석유 시추의 부산물로 생성된 비음용수를 수소 생산에 공급한다.

캘리포니아에 있는 Chevron의 Lost Hills 시설에서 현장 관계자들이 태양광 패널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Chevron New Energies]

셰브론은 2021년 New Energies 부서를 설립하고 △수소 생산 △탄소 포집 및 상쇄 △재생에너지 등 사업에 대응 중이다.

현지 업계는 이번 사업이 태양광 수소 생산의 상업적 가치를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Kern Economic Development Corporation 리차드 채프먼(Richard Chapman) 사장은 “저탄소 수소 생산의 규모, 기술에 관한 상업적 증거 포인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주요 도시와 근접해 있어 고객의 수요에 대응하기 용이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시설의 상용 운전까지는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 에너지 정책, 시설 인허가 및 자재 확보 등 상황을 감안해야 한다.

셰브론 관계자는 “광범위한 수소 연료 보급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새로운 저탄소 에너지 솔루션을 장려하는 주 및 연방 에너지 정책에 의해 강력하게 주도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IEA에 따르면 글로벌 석유 기업들은 청정에너지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지난해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재생에너지 3배 확대’를 결의했다.

한편, 셰브론은 지난해 말 일본 미쓰비시 파워(Mitsubishi Power)와 유타(Utah)주 에너지저장 프로젝트(Advanced Clean Energy Storage hydrogen project)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는 일 평균 약 100톤의 수소 생산과 300GW 규모의 에너지저장 체계를 구축하는 내용이다.

Posted by Morning lark
, |

자료출처 데일리한국

일 자 2024.3.6

국회입법조사처, ‘기존 수소 정책의 점검과 정책 과제’ 발간

수소기업들이 정책 불확실성 때문에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서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5일 제기됐다. 사진은 청정수소 인증제 종합설명회의 모습.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업] 수소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서지 않는 배경으로 △경로설정 없는 목표량 설정 △2년만에 대폭 축소된 이행목표 △수소기술 성공 불확실성 등의 요인이 꼽혔다.

국회입법조사처는 5일 발간한 ‘기존 수소 정책의 점검과 정책 과제’ 보고서에서 정부의 수소정책을 점검하고 근거 약한 목표 설정, 급격한 목표치 수정, 미진한 기술개발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2021년 11월 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에서 2030년 발전용 수소 수요를 353만톤(48TWh 발전)으로 잡았으나, 2023년 12월 청정수소인증제 운영방안에서는 80만톤(13TWh)으로 4분의 1로 줄여 발표했다.

또 국내 수소기업들이 전기로 물을 분해(수전해)해 수소를 얻는다 해도 태양광, 풍력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EU에서 청정수소로 인정받기 어렵다. 한국에서 전기를 생산할 때 kWh당 443gCO2-eq.를 배출하는데 이는 EU 기준치를 넘어서기 때문이다. EU의 청정 전력 기준치는 65gCO2-eq./kWh이다.

따라서 2023년 발표치 청정수소 80만톤을 그린수소로 공급하려면 10차 전력수요기본계획 상 태양광 보급 목표치 46.5GW와 별도로 35.312GW의 설비가 필요하다. 그렇지만 이에 대한 계획이 수립돼 있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수소기술 개발도 생각보다 쉽지 않다. 실제 국내 시장에서 연료전지가 상용화됐지만 수전해설비의 경우 성능이 기대에 못미치고, 수소차의 경우 전기차나 내연기관차보다 비싸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그런데도 수소 목표량을 수소기술에 대한 고려 없이 설정했다고 보고서는 비판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이같은 근거로 국내 수소기업들이 투자를 쉽게 결정할 수 없다고 결론냈다.

더욱이 정부는 청정수소인증제를 실시하면서 초기 수소생태계 조성을 위한 보조금 지급계획을 아직 공개하지 못했다. 현재 정부 여당이 재정준칙을 내세워 수지관리에 나서고 있기 때문에 전임정부 시절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보조금 규모만큼 현 정부가 수소기업을 보조하기는 힘들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수소사업을 추진해오던 한국가스공사가 2023년 해외 그린수소 사업을 중단했고, 현 정부는 태양광 수사에 몰두해 2023년 태양광보급량이 전년 대비 반토막난 것으로 추산됐다. 해상풍력도 지지부진해 2030년까지 준공돼 그린수소 생산설비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해상풍력단지는 소수에 그치고 있다.

실제로 수소전소터빈 실증에 성공한 한화임팩트는 올해 수소 분야 중점업무를 청정수소발전입찰시장 참여에 의미를 두고 있으며, 어프로티움의 경우 수소 사업을 추가로 전개할지 여부를 고심하고 있다.

대산연료전지발전소의 모습. 그림=한화에너지 제공

 
Posted by Morning la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