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orning lark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814)
Fuel Cell (844)
New Energy (845)
Energy Storage (6)
New Biz Item (2)
Total
Today
Yesterday

자료출처 블로터

일 자 2021.1.23

숫자들(Numbers)로 기업과 경제, 기술을 해석해 보겠습니다. 숫자는 정보의 원천입니다. 정보는 누구에게나 공개되어 있고 숫자도 누구나 볼 수 있지만, 그 뒤에 숨어 있는 진실을 보는 눈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누구나 공감할 수 있도록 숫자 이야기를 <넘버스>로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탄소 순배출량을 전혀 없게 하는 ‘넷 제로’가 산업계의 화두로 부상했습니다. 환경을 오염시키는 방식의 생산 체계는 인류의 영속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됐습니다.

에너지는 넷 제로를 구성하는 핵심축입니다. 철강업과 정유업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산업입니다. 이들 산업은 온실가스를 필연적으로 배출합니다. 여타 제조업도 넷 제로에 동참해야 하는 건 마찬가지입니다. 제조업 공장은 24시간 불이 꺼지지 않습니다. 또 설비를 돌리는 데 막대한 양의 전기를 필요로 합니다.

‘넷 제로’ 시대에는 공장까지 친환경 에너지로 돌려야 합니다. 가장 유력한 에너지원은 수소입니다. 자연 또는 부생물질로 얻은 수소를 연료전지에 탑재하면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마존과 월마트 등 글로벌 유통기업들은 자사의 지게차 등에 수소 연료전지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한국퓨얼셀 연료전지 발전소.(사진=한국퓨얼셀)

국내 기업들도 수소 연료전지를 활용한 발전시설을 구축했습니다. 대산그린에너지와 경기그린에너지는 두산퓨얼셀과 한국퓨얼셀(옛 포스코에너지)이 수소 연료전지를 공급해 건설한 발전소입니다. 대산그린에너지는 세계 최대 규모의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로 16만 가구가 넉넉하게 사용할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를 보면 ‘수소 경제’ 시대가 성큼 다가온 느낌입니다.

하지만 ‘수소 경제’의 진행 과정을 보면 순탄했던 것만은 아닙니다. 한국퓨얼셀의 사례를 보면 수소 경제로 전환이 쉽지 않은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지분 투자나 MOU 등을 추진하는 회사라면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점도 많습니다.

한국퓨얼셀은 국내 최초 연료전지 회사로 2007년부터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업계 1위인 두산퓨얼셀보다 7년 먼저 연료전지를 만들었습니다. 두산퓨얼셀은 2014년 미국 퓨얼셀파워를 인수하면서 이 사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점유율은 두산퓨얼셀이 64%로 1위이고, 한국퓨얼셀은 25%로 하락했습니다. 불과 6년 전까지 한국퓨얼셀의 점유율은 90%에 달했는데 역전됐죠.

한국퓨얼셀은 미국 퓨얼셀에너지로부터 연료전지 생산기술을 이전받아 국산화를 추진했죠. 포스코에너지는 2007년 사업보고서를 통해 “연료전지는 수소 사회의 핵심 발전설비로 무한한 성장 가능성이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같은해 10월 281억원을 들여 포항에 연료전지 생산공장을 지었습니다.

한국퓨얼셀은 2012년 신재생에너지의무화제도(RPS)가 시행되면 연료전지 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을 내다봤습니다. RPS는 500MW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들이 발전량의 일정부분을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도록 한 제도입니다.

한국퓨얼셀은 당시 연료전지 시장이 ‘퍼스트 무버’로 국내에서 90%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었습니다. RPS 등으로 시장이 커진다면 오롯이 한국퓨얼셀이 수요를 챙길 수 있을 것이라고 본거죠. 사업 초창기인 2008년 138억원에 달하던 매출은 2014년 209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사업을 시작한 지 6년 만에 매출이 15배 이상 커졌죠.

한국퓨얼셀 연료전지 매출 추이,(자료=금융감독원)

한국퓨얼셀은 연료전지를 판매하면서 구매자와 장기간 유지보수 등을 제공하는 장기서비스 계약(LTSA)을 체결했습니다. 국산화에 성공하기 위해 연료전지 셀과 스택, BOP 등을 개발했습니다. 2018년까지 노을그린에너지와 벽산엔지니어링 등 20여 곳에 연료전지(160.6MW)를 공급했습니다.

연료전지 사업은 ‘장밋빛’ 전망이 넘쳐 보였습니다. 하지만 13년이 지난 지금 사실상 사업 중단을 우려할 정도로 전망이 악화됐습니다. ‘퍼스트 무버’였던 한국퓨얼셀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요. 그리고 앞으로 연료전지 사업을 이어갈 수 있을까요.

미국 퓨얼셀에너지는 지난 6일 대표이사의 발표문을 통해 포스코에너지(한국퓨얼셀 포함)와의 협력을 끝내겠다고 밝혔습니다. 제이슨 퓨 퓨얼셀에너지 대표이사는 “당사는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 사업 분할로 양사의 관계에 혼란이 있다고 판단한다”며 “당사는 포스코에너지와의 관계를 종료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퓨얼셀에너지는 한국퓨얼셀에 융용탄산염 연료전지 모듈(MCFC)을 판매하지 않고 기술이전도 제공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포스코에너지와 퓨얼셀에너지가 13년 간 이어온 협력 관계에 사실상 종언을 고한 것입니다.

한국퓨얼셀 연료전지 사업 일지.(자료=포스코에너지 등)

포스코에너지는 2007년 퓨얼셀에너지에 2900만 달러(한화 320억원)를 투자해 5.6%(382만주)의 지분을 확보했습니다. 포스코에너지는 MCFC 연료전지의 기술이 없어 로열티를 지불하기로 한거죠. 대신 포스코에너지는 아시아 시장 내 연료전지 판매와 관련한 독점권을 확보했습니다. 이후 5500만 달러(607억원)를 추가로 투자해 보유 지분을 10.5%로 늘렸습니다.

양사가 불협화음을 내기 시작한 2015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2013년 상업가동을 시작한 경기그린에너지에서 문제가 시작됐습니다. 수소 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인 스택이 설치한 지 2년 만에 품질에 하자가 발생했습니다. 스택은 수소와 공기를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입니다. 경기그린에너지는 포스코에너지 측에 품질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제품에 결함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판매는 급감했습니다. 92명에 달하던 연구인력은 40명으로 축소됐습니다. 국산화를 위해선 연구개발에 많은 비용을 투자해야 하는데, 오히려 R&D 분야를 대폭 축소했죠. 당시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는 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퓨얼셀에너지는 한국퓨얼셀이 국내 영업에 소극적으로 나서면서 불만이 쌓였습니다. 당시 정부는 연료전지 발전소 설립을 연이어 허가했습니다. 퓨얼셀에너지는 연료전지 수요가 생겼음에도 포스코에너지가 판매를 않는 게 불만이었죠.

포스코에너지는 퓨얼셀에너지의 지분 가치가 하락하면서 875억원의 손실(손상차손)을 입었습니다. 연료전지 사업의 적자는 갈수록 불어났죠. 포스코에너지는 2018년 퓨얼셀에너지 주식 130만주를 처분했습니다. 2019년 50만주를 처분했고, 같은해 5월 주식병합(병합비율 12:1)으로 6만3794주(0.2%)를 남겨 놓은 상황입니다.

포스코에너지는 같은해 11월 연료전지 사업의 전문성을 강화하겠다며 물적분할해 한국퓨얼셀을 설립했습니다. 포스코에너지는 “연료전지 사업에 적합한 경영시스템을 확립하고 해당 사업의 전문성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퓨얼셀에너지는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 사업 분할을 문제 삼았는데요. 사실상 양사의 협력 관계가 끝난 만큼 물적 분할 이슈가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아 보입니다. 양사가 지난해 6월까지 논의하던 조인트 벤처 논의도 무산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이보다 중요한 건 한국퓨얼셀이 연료전지 사업을 영위할 의지가 있는지가 중요해 보입니다. 재무제표를 보면 연료전지 사업에 의지는 없어 보입니다.

포스코에너지는 2019년 11월 한국퓨얼셀을 설립하는 과정에서 신설 회사에 현금을 전혀 넘기지 않았습니다. 신설 회사는 현금성 자산이 0원인 상태로 출범했는데요. 신설회사는 전체 자산 중 54.1%가 재고자산이었습니다. 전체 자산 중 22.4%는 공장 설비 등 유형자산으로 집계됐습니다.

한국퓨얼셀 물적분할 전후 재무 비교.(자료=금융감독원)

신설회사의 부채비율은 98.8%, 유동비율은 175.2%입니다. 재무 수치만 보면 여타 기업과 다를 게 없지만, 실제로는 빚도 현금도 없이 재고만 있는 회사인 거죠. 포스코에너지의 분할 목적대로 연료전지 사업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해야 하고, 자체적으로 보유한 현금도 있어야죠. 한국퓨얼셀이 지난해 4월 공개한 2019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현금은 53억원, 단기차입금은 25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전보다 재무 활동이 활발해진 것으로 보입니다만 사업의 지속성을 확신할 정도는 아닙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12월 보도자료를 통해 “연간 수소 500만톤 생산체계를 구축해 탈탄소시대를 선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보도자료에는 포스코그룹의 수소 사업 계획이 담겨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퓨얼셀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연료전지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계획은 빠져 있었습니다.

한국퓨얼셀은 그룹 내에서 수소 사업을 가장 먼저 나선 계열사입니다. 그럼에도 그룹의 ‘수소 경제’ 전략에는 빠졌죠. 이를 보면 포스코그룹이 연료전지 사업을 지속할 것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현재 SK그룹과 한화그룹 등 수소 경제의 후발주자들이 앞다퉈 수소 사업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두 대그룹은 해외 기업 M&A와 지분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두 대그룹은 한국퓨얼셀의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양사의 전략적 이해관계가 맞아 시작한 사업도 앞날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특히 수소는 채산성(발전 단가)이 낮은 에너지원이며, 저장과 이동이 매우 어렵습니다. 여전히 불확실성 투성인 분야죠. 수소는 미래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가치가 충분하지만 상품화하기에는 넘어야 할 장벽이 많습니다. 수소를 신사업으로 삼았다면 한번쯤 한국퓨얼셀의 역사를 들여다 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Posted by Morning lark
, |

자료출처 글로벌이코노믹

일 자 2021.1.24

미국 이어 한국과 프랑스에도 수소 에너지 공장 설립......플러그파워, 유럽 수소 자동차 시장도 공략

SK그룹이 1조6600억 원을 투자한 미국 수소 에너지업체 '플러그파워'가 미국을 중심으로 한국과 프랑스에 생산공장을 설립하는 등 글로벌 생산체제에 박차를 가한다.

앤드 머쉬(Andy Marsh) 플러그파워 최고경영자(CEO)는 21일 미국 경제매체 '더 비즈니스 저널(The Business Journals)'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뉴욕을 시작으로 앞으로 3년간 한국과 프랑스에 공장을 세우겠다"고 밝혔다. 사실상 '미국-한국-프랑스 3각 생산체계'를 구축하는 셈이다. 이를 통해 수소 에너지 생산량을 최대한 늘리겠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플러그파워는 뉴욕주 로체스터에 1억2500만 달러(약 1370억 원)를 쏟아 '플러그파워 이노베이션 센터'을 세운다. 플러그파워는 수소 에너지 생산공장을 '플로그파워 이노베이션 센터'로 부른다. 플러그파워는 로체스터 공장에서 연간 수소연료전지 스택 6만 개와 막전극접합체 700만 개 등 핵심 부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수소연료전지 스택은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물과 전기에너지를 얻는 핵심 장치이며 막전극접합체는 수소연료전지에서 산소와 수소의 화학적 반응을 이끌어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필름형태의 접합체다.

이와 함께 로체스터 공장은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수전해 설비에서 500㎿급 전해조(전기분해장치)도 생산한다.

플러그파워 탱크로리.사진=SK

이는 SK그룹의 플러그파워 지분가치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SK와 SK E&S는 7일 수소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플러그파워 지분 9.9%를 15억 달러(약 1조6600억 원)에 인수했다.

SK에 따르면 플러그파워 주가는 지난 12일 주당 66달러로 마감해 SK의 주당 취득가액 29달러 대비 130% 상승했다. 이에 따라 SK 지분 가치는 2배 이상 치솟았으며 이번 투자로 SK 보유 지분 가치 상승분도 2조 원을 넘었다. 플러그파워의 시가총액은 34조 원 규모다.

앤드 머쉬(Andy Marsh) 플러그파워 최고경영자. 사진=갈무리

SK그룹은 플러그파워의 최대 장점으로 수소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친 기술력을 꼽는다.

플러그파워는 최근 프랑스 자동차업체 르노와 중소형 수소 상용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합작법인을 세우기로 했다. 플러그파워는 르노 플랫폼을 적용한 신차를 개발해 유럽 내 연료전지 기반 중소형 상용차 시장에서 30% 이상 점유율을 거머쥘 계획이다.

SK E&S 사장이자 SK그룹 수소사업추진단장인 추형욱 사장은 "플러그파워의 수소 액화, 운송, 충전 분야 기술에 SK그룹이 그동안 쌓은 사업 인프라를 적용하면 수소 사업 안정화는 어렵지 않을 것"이라며 "SK E&S의 성공스토리를 수소 분야에서도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플러그파워는 모빌리티(이동수단)용 수소 연료전지 생산과 판매, 충전설비 구축을 주력사업으로 한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과 미국 최대 유통업체 월마트 물류센터 지게차에 수소 연료전지 공급하는 등 제조업이나 유통업체의 산업시설 내 이동차량에 연료전지를 공급하고 있다.

Posted by Morning lark
, |

NAGOYA – Toyota Motor Corp. and its group companies are stepping up efforts to develop auto parts for hydrogen fuel-cell vehicles and expand their market amid a global shift to eco-friendly cars that do not emit carbon dioxide.

The largest automaker in Japan last month released its second-generation hydrogen-powered Mirai sedan, meaning “future” in Japanese, with a longer range than the previous model, which was the world’s first mass-produced fuel-cell vehicle.

The five-seater Mirai has three tanks to hold the hydrogen fuel that is used to generate power for its electric motor, giving it a range of up to 850 kilometers, roughly 30% more than the first-generation, four-seater sedan that can travel 650 km on its two tanks. Toyota launched the original Mirai in 2014.

FCVs are powered by electricity generated through a chemical reaction between hydrogen stored in the tanks and oxygen in the air.

Last week, Prime Minister Yoshihide Suga said in a speech in the Diet that he wants electrified vehicles — electric cars, hybrids, plug-in hybrids and fuel-cell vehicles — to make up 100% of Japan’s new car sales by 2035.

The key factor for the new Mirai’s longer range is the third tank, which was developed by Toyoda Gosei Co., a Toyota group company manufacturing rubber and resin parts for vehicles.

Toyoda Gosei utilized its cutting-edge technology to develop the new tank by covering the inside with a unique resin material that can resist high pressures of about 70 megapascals to efficiently contain hydrogen fuel.

A hydrogen fuel tank to be produced at Toyota Gosei Co.’s new plant in Inabe, Mie Prefecture, for use in fuel-cell vehicles. | KYODO

The chemical company built a new plant to mass-produce the tank in Inabe, Mie Prefecture, investing ¥12 billion.

“We could not manufacture the new Mirai model without the tanks (produced at the plant),” Yoshikazu Tanaka, the Toyota chief engineer in charge of developing the FCV, said at a ceremony in the factory in early December.

“In the future, we would like to have our products used for other cars including commercial vehicles,” Toyoda Gosei President Toru Koyama told reporters.

Aichi Steel Corp., a Toyota affiliate that makes steel products for auto parts, said it has developed a special stainless steel that can withstand high-pressure hydrogen as a material for Mirai components, such as hydrogen receptacles, without using costly rare metals.

Toyota Industries Corp., which currently makes auto parts and assembles Toyota’s RAV4 sport utility vehicles, has launched a new air compressor to effectively deliver air including oxygen to the generator on the Mirai.

Denso Corp., a Toyota group company and one of the world’s largest auto parts suppliers, manufactures high-quality silicon carbide power semiconductors for the Mirai FCV in a bid to reduce electricity consumption and improve vehicle fuel efficiency, the company said.

Posted by Morning lark
, |

オーストラリアの製造企業ラボ(LAVO)が、世界で初めて家庭用の水素燃料電池を開発した。ニューサウスウェールズ大学(UNSW)と共同開発した水素燃料電池は冷蔵庫ほどの大きさで、太陽光発電パネルと接続すれば、燃料電池内の電極により水を水素と酸素に分解し、水素を貯めることが可能。また貯めた水素から発電することも可能だ。シドニー・モーニング・ヘラルドが伝えた。  LAVOの水素燃料電池の価格は約3万4,000豪ドル(約274万円)で、限定2,500基の予約を受け付けている。既存のリチウム電池の3倍の寿命で、リチウム電池とは違い、継続的に「充電」することが可能だ。同社は2022年に価格を約3万ドルに下げて5,000基販売し、23年には1万基の販売を目指すとしている。

Posted by Morning lark
, |

January 21, 2021, by Naida Hakirevic

Classification society ABS has granted approval in principle (AIP) to solid oxide fuel cell (SOFC) technology developed by South Korean shipbuilder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DSME).

Granting of AIP follows two joint development projects between ABS and DSME, the latest to develop SOFC technology to replace at least one of three diesel generators typically onboard a very large crude carrier (VLCC).ABS is now working with DSME on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areas to be carried out during the detailed design and testing of the SOFC technology.

“Fuel cells are an important technology in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marine propulsion systems and can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industry’s decarbonization ambitions. We are proud to be able to support DSME in developing this system and realizing its potential,” Patrick Ryan, ABS Senior Vice President, Glob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commented.

“We have completed the conceptual design, including how to effectively deploy fuel cell systems in a limited space and utilize them safely through joint development projects with ABS, and these joint research results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future design and test evaluation,” Dong-kyu Choi, DSME Executive Vice President, said. 

In November 2020, another shipbuilder in South Korea, Korea Shipbuilding & Offshore Engineering (KSOE), secured AIP for its SOFC power generation system design. The AiP was received from classification society DNV.

https://www.offshore-energy.biz/dsme-wins-abs-aip-for-solid-oxide-fuel-cell-technology/

 

Posted by Morning la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