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orning lark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23)
Fuel Cell (766)
New Energy (490)
Energy Storage (5)
New Biz Item (1)
Total
Today
Yesterday

Enapter AG receives largest single European order to date for megawatt-range electrolysers, order in the upper seven-figure euro range.

Enapter AG (ISIN: DE000A255G02) has received further orders for its megawatt-class electrolyser, the AEM Nexus 1000. Thanks to their multicore technology, these AEM electrolysers are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highly efficient production of green hydrogen from renewable energy sources on an industrial scale. As they do not use the rare and costly metal iridium, customers can reliably plan and future-proof their further expansion plans.

Enapter will supply 3 AEM Nexus multicore-class units, each with 1 MW, to the logistics company CFFT SpA. Among other things, the company operates a harbour near Rome. There, the Enapter electrolysers will be used in a hydrogen refuelling system and operated with sustainably generated electricity. The order from CFFT is the largest single order from Europe in Enapter’s history to date.
A further Italian company, F.i.l.m.s SpA, – has also ordered a 1 MW AEM Nexus 1000 electrolyser. The metalworking company from the OMCD Group specialises in hard metal parts and uses conventional hydrogen in its production processes, which was previously delivered to the company. With the Enapter electrolyser, the company will be able to produce green hydrogen from renewable energy on site and feed it directly into its gas mix for the furnaces. F.i.l.m.s’ medium-term goal is to gradually replace climate-damaging natural gas used elsewhere in its processes and switch to green hydrogen as much as possible.

The two contracts concluded in Italy have an order volume in the upper seven-figure euro range.

“With our iridium-free AEM technology, we can offer the flexibility required for operation and expansion with renewable energies. Our success in the Italian market shows that we are ideally positioned to support industrial companies in providing important impetus for the energy transition.”

READ the latest news shaping the hydrogen market at Hydrogen Central

Enapter AG receives largest single European order to date for megawatt-range electrolysers, order in the upper seven-figure euro range. source 

Enapter AG receives largest single European order to date for megawatt-range electrolysers, order in the upper seven-figure euro range - Hydrogen Central (hydrogen-central.com)

 

Enapter AG receives largest single European order to date for megawatt-range electrolysers, order in the upper seven-figure euro

Enapter AG receives largest single European order to date for megawatt-range electrolysers, order in the upper seven-figure euro range

hydrogen-central.com

 

Posted by Morning lark
, |

3M invests in hydrogen electrolyzer manufacturer EVOLOH.

3M (NYSE: MMM) has invested in EVOLOH, a cleantech company that’s working to scale up manufacturing of its electrolyzers to make green hydrogen affordable and efficient.

Electrolyzers work by using electricity to separate the atoms in water. The result is hydrogen that can be used as clean fuel or chemical reactant to replace fossil fuels in industries that are traditionally difficult to decarbonize or abate, like steel production and aviation. 

The low-cost production of green hydrogen is key to the world reaching its climate goals. The investment is part of 3M’s ongoing commitment to materials science-based climate tech solutions. It’s another way 3M is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he hydrogen economy and working toward a clean energy transition.

“3M has the opportunity to leverage our long-standing expertise in high volum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shares EVOLOH’s vision to make clean and affordable hydrogen available around the world. 3M’s investment in EVOLOH fits well with the work 3M is doing to help support the hydrogen economy and move the planet toward a clean energy transition.”

EVOLOH takes an innovative approach to manufacturing electrolyzers with core components that do not require precious metals or rare earth materials and are made from abundant materials like steel, plastic and aluminum. That means lower cost electrolyzer modules for users, as well as lower costs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3M Ventures, the venture capital arm of 3M, recently participated in EVOLOH’s $20 million Series A fundraising round, which will help the company scale up its manufacturing abilities. The investment in EVOLOH is just one of several 3M initiatives to enhance hydrogen technologies. Other examples include the development of a high-performance catalyst technology used in proton exchange membrane water electrolysis, another form of hydrogen production technology. Also, 3M and HD Hyundai Korea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KSOE) have signed a joint research project agreement to develop large liquid hydrogen storage tanks using 3M glass bubbles – a high-strength, low-density hollow glass microsphere. 

3M invests in hydrogen electrolyzer manufacturer EVOLOH - Hydrogen Central (hydrogen-central.com)

 

3M invests in hydrogen electrolyzer manufacturer EVOLOH - Hydrogen Central

3M invests in hydrogen electrolyzer manufacturer EVOLOH. 3M (NYSE: MMM) has invested in EVOLOH, a cleantech company that's working

hydrogen-central.com

 

Posted by Morning lark
, |

Electric Hydrogen announces a 1GW framework supply agreement for large-scale electrolyzer plants with The AES Corporation.

Today, Electric Hydrogen (“EH2”) announced it has reached a comprehensive framework supply agreement with The AES Corporation for up to 1GW of large-scale electrolyzer plants to produce low-cost, green hydrogen from renewable energy.

This supply reservation agreement includes commercial requirements for AES to order up to 1 GW of fully integrated, low-cost 100MW electrolyzer plants from Electric Hydrogen.

“We’re excited to help AES deliver on the promise of green hydrogen and look forward to partnering with them on their future hydrogen projects.”

Electric Hydrogen’s 100 MW high-tech electrolyzer plants feature the capability to follow variable renewable energy resources allowing customers to optimize energy use and maximize project returns. The plants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in the US, and the company is presently pre-fabricating its first customer-sited plant in Texas and has two operating plants in California.

“AES is taking steps to secure our supply chain proactively as we strategically grow our green hydrogen business.”

Electric Hydrogen’s roadmap to scale high-rate manufacturing in the US is intended to make green hydrogen competitive with fossil fuel resources by 2030.  That roadmap also will allow US electrolyzer manufacturing to outstrip low-tech electrolyzer alternatives, such as alkaline products currently mass-produced in China.

The procurement reservation agreement enables AES to develop additional green hydrogen projects, capitalizing on EH2’s project scale, efficiency and low capital costs.

READ the latest news shaping the hydrogen market at Hydrogen Central

Electric Hydrogen announces a 1GW framework supply agreement for large-scale electrolyzer plants with The AES Corporation. source  

Electric Hydrogen announces a 1GW framework supply agreement for large-scale electrolyzer plants with The AES Corporation - Hydrogen Central (hydrogen-central.com)

 

Posted by Morning lark
, |

クボタは3月28、水素燃料電池トラクタ(FCトラクタ)の新たな試作機を公開した。「水稲や畑作の本格農作業が可能であり、パワフルかつコンパクトでゼロエミッションを実現するトラクタ」をコンセプトに開発しており、試作機としては2号機となる。クボタ 取締役専務執行役員 研究開発本部長の木村浩人氏は「FCトラクタは2021年から開発を開始し、2023年夏に試作機の1号機を開発したが、

 

 

補助バッテリが大きく冷却性にも課題があり、実作業に適用できる状況ではなかったため、改善を進めてきた。今回の試作機では、農建機向けの水素燃料電池システムの研究促進、社会実装に向けた課題の抽出が狙いであり、日本だけでなく、世界を目指したFCトラクタになる。クボタの特徴であるコンパクトさを活かしながら、ゼロエミッションを実現したい」と述べた。  実用化の時期については「不確定な要素がある」として、明確には言及しなかったが、「今回の試作機を用いて実証試験を行ない、2、3年で技術レベルを高めたい。だが、法規制やインフラの問題が市場投入の際には大きな障壁になると考えている。これらの課題が解決し、市場投入できる状況になれば、即座に投入することを基本姿勢として、技術開発を進めている」と述べた。無人化および有人化の両面から実用化を検討する考えも示した。  想定している市場としては、水素を供給するインフラが整い、カーボンニュートラルの意識が高い先進国が中心になるとしている。  今回開発した試作機の目標性能は、出力は44.1kW(60馬力)であり、エンジン機と同等の作業性を持たせ、耕うんや運搬、施肥散布作業などに活用できるようにする。作業時間は平均負荷率60%で4時間となっており、現行のエンジン機の約半分だが、「午前中いっぱいは使える水準」とした。また、エンジン機に比べて3分の1の極低騒音性を実現。夜間作業や市街地での作業も行ないやすい。エンジン振動がなく居住性が高いことも特徴だ。  さらに、エンジン機では300時間稼働時には11.3tのCO2が排出されるのに対して、FCトラクタではCO2排出量はゼロになり、排出物は水だけとなる。環境にも配慮したトラクタを実現できる。なお、重量エネルギー密度は、バッテリ機の3倍となるが、エンジン機の6分の1程度になるという。  また、試作機では、シャーシやトランスミッション部分などの基本プラットフォームは既存のトラクタを使用。横幅やホイールベースに変更はないが、天井部分に大型タンクを搭載しており、燃料電池を搭載するために前方部分が伸びているという。なお、大型タンクにはトヨタのMIRAI向けの水素タンクを3本搭載し、70MPaの水素を使用。約10分で満タンにでき、満タンでも7.8kgと軽量であるため、天井部に配置できる。「FCトラクタ向けにプラットフォームを見直せば、さらに小型化できるだろう」とも述べた。  一方、実用化に向けたいくつかの課題も示した。  技術的な課題としては、FCシステム技術の確立とともに、車体設計についての大幅な見直しや、タンク容量や形状、機器レイアウトの見直しが必要だとする。さらに、水素の安全性や信頼性の向上も重要な要素だと指摘した。 「現時点ではエンジン部分を水素燃料電池に置き換えているため、最適な設計にはなっていない。電動に適した車体プラットフォームの検討を開始している。別途研究を進めている自律型農機の技術を活用することでキャビンレスが実現でき、キャビン部分にタンクを設置することも想定できるため、スマートなデザインになる」と述べた。  また、法規制面の課題も多いとする。水素燃料電池に関しては、高圧ガス保安法や一般高圧ガス保安規則、道路車両運送法のほか、水素貯蔵については建築基準法の影響も受けることになる。「現在の制度では水素タンクの取り外しができず、それを持ち運んで水素タンクに注入できないといった課題もある」と指摘した。  さらに、インフラ面の課題としては、地方都市への水素ステーションの設置や、農作業現場への配送および供給手段についても検討する必要があるという。 「技術、法規制、インフラの観点における課題解決や、まだ気がついていない課題解決のためには、社内研究開発の加速や、社外パートナーとの連携が必要である。また、国立研究開発法人新エネルギー・産業技術総合開発機構(NEDO)とともに、燃料電池トラクタの実用化に向けた実証実験を2024年春から国内数か所で実施し、この成果も実用化に反映したい」と述べた。  クボタでは、研究開発トレンドとして、自動運転技術やデータドリブンによる「スマート」、電動化や資源循環、エネルギー回収などの「サーキュラ」、将来の農業の形を前提としたスマートビレッジや新コンセプト製品の開発、外部連携による「イノベーション」に取り組み、それぞれの頭文字をとった「SCI」をテーマに掲げている。  とくに、「サーキュラ」では、機械・水・環境の各分野における研究開発を進行させており、短期的にはバッテリ式農建機の開発に注力しているほか、液中膜を活用した下水や生活排水の再生、水田からのメタン発生抑制、都市ごみからの有価金属回収などに取り組んでいる。また、中長期的には、FC式農建機やバッテリ式農建機、排ガスCO2分離回収システム搭載農機、農業残渣からのバイオ炭製造、CO2吸着材などの研究に着手。「農建機のカーボンニュートラル化は重要なテーマになっている」と位置づけている。  農建機の脱炭素化では、2023年にバッテリ電動領域において、小型トラクタを欧州市場向けに展開。2024年には建機の市場投入を予定している。また、エンジンとモーターを組み合わせたハイブリッドエンジンの開発や、水素燃料電池によるFC電動、水素だけで稼働させる水素エンジン(HICE)などを開発。そのほか、バイオ燃料や合成燃料に対応したエンジンの開発も行なっている。今回発表したFCトラクタは、水素燃料電池を搭載したものとなる。 「BEV(バッテリEV)は、小中型機種向きであり、自動車向け車載技術が進化している領域である。だが、農建機に搭載するにはまだ開発要素が残っている。FCEV(水素燃料電池)は、中大型機種向きで、負荷が低い領域に適している。燃料やバッテリ、水素の重量に対して、出力する重量エネルギー密度が高いという特徴がある。また、高効率で、信頼性、快適性が高く、自動運転技術との相性も高い。先進国から普及していくことになるだろう。一方で、HICE (水素エンジン)は、中大型機種向きで、高出力を活かし、負荷率が高い過酷な環境に適応できるのが特徴となり、コスト面でのメリットもある。それぞれの技術の特徴を活かして製品化し、市場投入していくことになる」と述べた。

 

クボタ、水素燃料電池トラクタの新たな試作機を公開(Car Watch) - Yahoo!ニュース

 

クボタ、水素燃料電池トラクタの新たな試作機を公開(Car Watch) - Yahoo!ニュース

 クボタは3月28、水素燃料電池トラクタ(FCトラクタ)の新たな試作機を公開した。「水稲や畑作の本格農作業が可能であり、パワフルかつコンパクトでゼロエミッションを実現するトラク

news.yahoo.co.jp

 

Posted by Morning lark
, |

월간수소경제 = 이상현 기자 | 청정수소 인증제 시행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청정수소 인증제는 ‘수소의 생산수입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청정수소로 인증하고, 이에 대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가능한 제도’를 말한다. 인증제 도입으로 캐즘(chasm) 현상 초입에 들어간 수소산업이 반등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수소산업 투자 불확실성 해소,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활성화 등에 기여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학연 전반에 퍼진 청정수소 인증제 관련 궁금증 해소를 위한 자리를 마련했다. 청정수소 인증제에 대한 기업의 이해를 돕고, 원활한 인증서비스 활용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지난 2월 29일 에너지경제연구원 주관하에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청정수소 인증제 설명회’가 개최됐다. 

청정수소 인증제 운영을 위해 배출량 산정, 제도 운영방안 등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한데 이를 구축하는 일을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담당했다. 이날 에너지경제연구원 이혜진 부연구위원이 청정수소 인증제 운영방안을 소개했다. 

배출량 산정 방식 가닥
청정수소 인증제 핵심은 배출량 산정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Well-to-Gate(원료채굴에서 수소생산까지) 기준으로 99% 순도 수소 1kg을 생산하는 과정에서의 배출량을 산정한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4kgCO2e(이산화탄소 환산킬로그램) 이하이면 청정수소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청정수소 인증등급은 △1등급 0~0.1kgCO2e/kgH2 △2등급 0.1~1kgCO2e/kgH2 △3등급 1~2kgCO2e/kgH2 △4등급 2~4kgCO2e/kgH2로 구분된다. 수소 순도가 99%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제공하는 보정식을 통해 배출량을 산정한다. 

배출량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수소생산 원료인 천연가스를 확보하거나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이송하는 등 선박 운송 과정의 배출량은 일시적으로 제한다. 친환경 선박 기술개발 추이 등을 고려한 결정이라는 게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설명이다. 폐열 등의 에너지는 청정수소 생산 사업 이전 미활용되던 경우에만 대안 경로와 비교 등을 통해 배출량 제외가 가능하다. 수송 과정의 가압 공정 배출량, 설비제조 관련 배출량 등 수소생산과 직접적 상관이 없는 활동은 배출량 산정 시 모두 제외된다. 

수소 배출량 산정 시스템 경계 내 공정에서 발생하는 감축 활동 중 수소에 직접 할당 가능한 감축량만을 인정하며 수소생산 활동과 무관한 감축량은 허용하지 않는다. 

기업들이 각자 구축하고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감축량을 제시하는 건 인정받지 못한다. 사업장에서 반드시 도매 기준 공정에서 탄소가 줄어들었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

기존 시설에서 생산된 수소 혹은 기존 화합물·혼합가스로부터 생산된 수소를 활용할 시, 수소 생산 사업 이전과 이후의 배출량을 비교한 후 순감축 효과를 고려해 배출량을 산정한다. 신규 시설에서 부산물로 수소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대안 경로와의 비교 등을 통해 타당성을 검토한다. 

①그린수소
그린수소(수전해 수소)의 경우 생산 과정에서 전력이 사용되기에 전력원의 출처, 적정성 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2030년 전까지 수소생산을 개시하는 설비에 한해 1개월 단위로 평가가 반영된다. 수소생산설비와 동일한 그리드 내에서 전력 활용이 이뤄져야 한다. 

수전해 수소는 재생에너지 설비와 PPA(Power Purchase Agreement, 전력구매계약) 체결 혹은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구매 등 재생에너지 설비와 직·간접적인 연결 방식 모두 허용된다. PPA는 재생에너지 발전업체와 수소생산 업체 간에 체결되는 전력구매계약을 말한다. REC는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인증하는 제도로, 재생에너지 설비에서 생성된 전력을 수소생산 과정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인다. 다만 REC로 전력을 조달하게 되면 사업자의 수소생산용 전력원 중 일부가 제한될 예정이다. 

이혜진 부연구위원은 “REC를 허용하면 현물 시장에서 전력을 조달해 청정전력원 확보가 어려질 가능성이 있다”라며 “REC의 경우 전체 전력 조달분의 10% 수준으로 제한을 두는 등의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력망의 평균 배출계수는 검증 시점 기준 최신 승인 통계값을 사용해야 한다. 사업장이 외부로부터 스팀을 조달하거나 자체적으로 연소용 연료를 활용하는 경우, 스팀과 연소용 연료의 업스트림·공정 배출량을 산정해야 한다. 업스트림 배출은 기업의 구매, 취득 상품·서비스와 관련된 간접적 온실가스 배출을 말한다. 수소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원료나 에너지 생산, 추출, 운송 등의 활동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포괄한다. 

②개질·가스화수소
질·가스화수소 관련 부산물 처리 규정도 공개됐다. 이산화탄소 등 탄소 포함 부산물을 외부로 판매할 때 해당 부산물이 친환경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로 대체돼 사용된다면 배출량 감축효과를 고려해 크레딧을 부여한다. 대체제가 도입됨으로써 발생하는 실질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효과는 수치로 측정돼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ISO 14044(LCA 지침) 및 IPHE 방법론 등과 같은 평가 도구를 활용할 것을 권장했다. 

탄소 포함 부산물의 경우 최종 사용·폐기에 따른 배출량 발생을 합산해 처리하며 탄소가 포함되지 않은 부산물은 추적 관리가 어려워 에너지 기반 할당만을 허용한다. 이는 해당 부산물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에너지양을 기준으로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식이다. 

스팀을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경우 배출량 할당을 통한 감축량이 인정되나 질소, 산소 등은 할당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혜진 부연구위원은 “질소, 산소 등의 배출물은 수소 대비 경제적 가치가 낮아 일일이 추적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밝혔다. 

블루수소 생산에 사용되는 주요 원료인 천연가스의 경우 업스트림 배출계수를 정확히 파악해 산정한다. 현장 데이터를 활용한 정확한 산정이 요구되는데 천연가스의 채굴 및 조달·운송 등 업스트림 부문의 현장 데이터 제출이 필수다. 이 부연구위원은 “블루수소는 제시해야 하는 업스트림 배출계수가 많다”라며 “기기 효율 등 업스트림 부문의 현장 데이터를 정확하게 제출해야 한다”고 전했다. 

CCS 배출량 차감은 이산화탄소 포집 과정에서 발생하는 누출 비율을 고려해야 한다. 영구저장 비중을 반영해 배출량을 차감하는 방식이다. 주의할 점은 전체 저장 시설에 이산화탄소가 완전히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부연구위원은 “CCS를 통한 배출량 상한은 회계 연도에 포집된 양을 기준으로 한다”라며 “중간에 발생하는 리크(유출) 등을 염두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누출 비율을 제시해주면 추후 인증 취소 등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운영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③바이오수소  
수소생산에 쓰이는 바이오 원료는 주로 폐기물로 분류되는데 이 폐기물이 수소생산 외 다른 활용방안이 없는 경우에 한해 청정수소로 인증받을 수 있다. IPHE 수소생산 배출량 산정방법론에 따르면 폐기물 정의는 ‘국가에서 가치를 부여할 가능성이 희박한 경우’로 한정하고 있다. 퇴·액비 혹은 다른 고효율 바이오 연료 등으로 활용이 가능한 경우는 인증에서 배제하고 있다. 미국도 마찬가지다. 미국의 청정수소 생산 세액공제 규정에서 수소생산을 위해 최초 활용된 바이오가스 또는 비산 배출가스에 한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제로로 인정하고 있다.   


수소 승용차가 국내 최초의  바이오가스 기반 수소충전소인 ‘ 충주 바이오그린수소충전소’에서 충전을 마치고 빠져 나오고 있다.
바이오수소 배출량 산정 시 폐기물 성상 조사자료가 필요하다. 폐기물 내 바이오원료 함유율과 명확한 유통경로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업스트림 배출량의 경우 바이오가스 또는 바이오가스 혼합을 얻을 때까지 공급원료의 전처리, 운송, 추출, 처리 등의 과정에서 배출량을 산정해야 한다. 바이오매스 공급원료의 수확·수거·처리·운송을 위한 전기 사용 또는 연료 연소 배출량과 유기성 폐기물 공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 혼합물 누출 또는 부패로 인해 비산 배출되는 바이오메탄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비산 배출은 석유 정제품 제조업 등의 배출시설에서 나오는 오염 물질을 자동 측정기를 부착한 배출구를 통하지 않고 대기로 직접 내보내는 것을 말한다. 

기업 입장 적극 반영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을 가장 반기는 곳은 기업이다. 정부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도적 구색이 갖춰지면 투자를 통해 다방면으로 사업을 펼칠 수 있을 거란 기대감에 근거한다. 인증운영기관인 에너지경제연구원도 이를 인식해 인증 절차, 방법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업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청정수소 인증절차는 크게 설비심사, 인증서 발급, 현장심사 등 3단계로 구분된다. 생산 후 인증보다는 설비 확인을 먼저 하는 절차를 채택했다. 설비심사를 받으면 ‘청정수소 설비 확인서’가 발급된다. 최초 인증 단계에서는 운전 데이터가 제한적이기에 설계 데이터 기반으로 심사를 진행한다. 설비 확인서를 발급받은 기업이 물량 증빙서류를 첨부해 인증서 발급을 신청하는 게 두 번째 단계다. 이후 6개월간 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심사가 진행되면 모든 단계가 종료된다. 

이 부연구위원은 “수소를 생산한 후 인증받게 되면 기업의 리스크가 커지기에 이러한 인증절차를 도입했다”라며 “또 기업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인증서 발급, 등록을 온라인으로 수행하는 ‘청정수소 인증정보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청정수소 배출량 자가 산정툴도 개발한다. 사업개발, 공정 설계 등의 과정에서 기업의 배출량 산정방법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현재는 글로벌 DB를 사용하고 있다 보니 라이센스 중재 등의 제한이 있어 서울대학교와 손잡고 자체 DB를 구축하고 있다. 13개의 표준경로, 기본 데이터 650건 이상을 제공할 방침이다. 우라늄·천연가스 조달 등 핵심 연료에 대해서는 자체 배출계수를 적용할 계획이다. 다만 상류부문·간접배출 등 데이터 확보가 어려운 경우 기본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부연구위원은 “올해 개설될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참여를 앞둔 기업들을 위해 입찰시장 참여 시 인증등급과 배출량 결괏값 등을 증빙서류로 제출할 수 있도록 전력거래소와 협의하겠다”고 전했다. 

청정수소 인증에 대한 최종 결정, 업무규정 변경 등 제도운영과 관련된 주요사항을 심의하는 ‘인증 심의위원회’도 운영한다. 동영상으로 심의와 의결을 진행해 기업들의 접근성을 높이게 된다. “정책 분과와 기술 분과로 나눠 실무협의회를 출범해 전문화된 운영·관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이 부연구위원은 설명했다. 

설명회에 참석한 한 업계 관계자는 “기업 입장을 고려한 운영방안을 마련한 것은 느껴진다”라며 “다만 기업들이 가장 기대하고 있는 세액공제 등 정부의 인센티브 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점이 아쉽다”고 말했다.  

청정수소 인증제, 어떻게 운영되나 < 정책 < NEWS < 기사본문 - 월간수소경제 (h2news.kr)

 

청정수소 인증제, 어떻게 운영되나

월간수소경제 = 이상현 기자 | 청정수소 인증제 시행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청정수소 인증제는 ‘수소의 생산수입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청정수소로 인증하고, 이

www.h2news.kr

 

Posted by Morning la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