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orning lark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87)
Fuel Cell (772)
New Energy (533)
Energy Storage (5)
New Biz Item (1)
Total
Today
Yesterday

자료출처 전자신문

일 자 2024.6.19

원스텝 산소발생 전극 제조 공정 모식도.

한국재료연구원(KIMS) 최승목 박사 연구팀이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핵심 부품인 전극을 원료 물질로부터 바로 양산 가능한 수준으로 만드는 원스텝 전극 제조 공정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고 상용 수준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스택에 적용하는데 성공했다.

기존 복잡한 공정 단계를 한 번의 코팅으로 대체해 60% 수준으로 간소화시킨 성과이자 동시에 균일한 촉매층 형성을 가능하게 했다. 아울러 수소 발생 효율과 연속 운전 시 성능 감소율이 크게 개선됨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원스텝 전극 제조 공정의 최적화를 위해 코발트(Co) 수산화물 슬러리 조건과 열간 압착 공정 핵심 인자인 온도 및 압력을 세밀하게 조절해 10나노미터(㎚) 크기 균일한 산화물 입자로 구성된 촉매층 제조에 성공했다.

개발된 전극을 음이온교환막과 수소발생촉매를 이용해 막전극접합체를 제조한 후 상용 수준 수전해 셀에서 안정성과 성능을 확인했다.

개발한 전극을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저위발열량기준 수소 발생 효율 약 80%의 높은 수소 발생 효율과 연속 운전 1000시간 동안 성능 감소율 2㎷/kh의 낮은 성능감소율 등 안정적인 음이온교환막 수전해를 개발할 수 있음을 보였다.

수전해를 통한 그린수소 생산량은 2030년까지 1100만톤(t), 69기가와트(GW) 용량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는 2024년 메가와트(MW)급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시스템 실증을 위한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2030년을 목표로 MW급 수전해 시스템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국내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기술 수준은 선진국 대비 약 70~80% 수준으로 관련 분야에 대한 많은 투자가 요구되며 핵심 원천 기술 확보와 기술 국산화가 시급하다. 이번 기술 개발을 통해 양산 가능한 전극 제조 공정에 대한 원천기술을 확보함으로써 관련 기술의 글로벌 우위 확보와 수전해 기술 국산화 및 해외 수전해 시장 창출과 선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승목 박사는 “높은 공정 신뢰성을 가진 원스텝 열간 압착 전극 제조 공정을 개발해 음이온교환막 수전해의 상용화 관련 난제 중 하나를 해결했다”면서 “본 기술이 적용되면 음이온교환막 수전해의 대량 양산이 가능해 단가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Posted by Morning la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