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orning lark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026)
Fuel Cell (868)
New Energy (1025)
Energy Storage (6)
New Biz Item (2)
Total
Today
Yesterday

岩谷産業(大阪市)と相馬ガスホールディングス(HD、福島県南相馬市)、HD子会社の相馬ガスの3社は新年度、水素と液化石油ガス(LPガス)を混ぜた混合ガスを、家庭に供給する実証事業を南相馬市で始める。二酸化炭素(CO2)の排出を抑える効果が期待される。ガスの導管など既存設備を使って混合ガスを家庭に供給する取り組みは国内初。3社は水素の混合や脱炭素に向けた技術を確立し、事業化を目指す。  実証事業のイメージは【図】の通り。相馬ガスがLPガスを供給している市の定住促進住宅80戸を対象に2025年1月にも始まる。LPガスに水素を最大10%混ぜ、既存の導管や家庭用ガス機器、メーターが正確に作動するかどうかなどを確認する。水素の比率を15~20%に増やすことも検討する。岩谷産業や相馬ガスHDによると、水素を20%の比率で混ぜた場合、CO2排出量は約3%減る見込みだという。  水素は次世代のエネルギー源として関心が高まっているが、専用導管の設置などが課題だ。実証事業は26年3月まで行われ、事業化に向けた効果や設備の安全性を検証する。水素を加えた価格上昇分については補助金を活用するため、住民の負担にはならない。新エネルギー・産業技術総合開発機構(NEDO)の助成を受けて実施される。  福島水素エネルギー研究フィールド(浪江町)で製造された水素の活用も検討しており、相馬ガスHDは「水素の地産地消を推進するとともに、実証の成果が成功モデルとなって、他地域に横展開するきっかけとなれば」としている。

 

水素とLPの混合ガス供給、25年1月にも開始 福島・南相馬で国内初 (福島民友新聞) - Yahoo!ニュース

 

水素とLPの混合ガス供給、25年1月にも開始 福島・南相馬で国内初 (福島民友新聞) - Yahoo!ニュー

実証事業のイメージ - Yahoo!ニュース(福島民友新聞)

news.yahoo.co.jp

 

Posted by Morning lark
, |

자료출처 더구루

일 자 2024.1.22

글로벌 소재 기업 'WL고어&어소시에이츠' 맞손, 개발 가속화

▲ 현대자동차가 지난 8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CES 2024 미디어데이에서 수소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현대차그룹)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수소연료전지차(FCEV) 모델 '넥쏘' 차세대 모델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디자인은 물론 성능까지 이전 모델을 압도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오는 2025년 차세대 넥쏘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는 현대차가 지난 8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CES 2024 미디어데이에서 '수소와 소프트웨어로의 대전환 : 이즈 에브리 웨이(Ease every way)'를 주제로 한 미래 비전을 발표하면서 다뤄진 내용이다. 수소 기술 개발과 충전 인프라 등을 고려해 출시 시기를 정했다는 설명이다.

 

글로벌 소재 기업 'WL고어&어소시에이츠'(WL Gore & Associates)와도 손 잡았다. 그린수소(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로 물을 분해해 얻는 수소) 생산을 위한 메가와트(㎿)급 양성자 교환막(PEM) 수전해를 양산하기 위해서다. 이는 현대차의 차세대 넥쏘 개발이 다시 정상 궤도에 올랐음을 시사한다. PEM 수전해는 알카라인 수전해 대비 수소 생산비용이 1.5배 정도 비싸지만, 현대차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 부품과 생산 인프라 공용화를 통해 비용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차세대 넥쏘의 구체적인 디자인과 성능 등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 없다. 디자인은 지난 20022년 9월 웹상에 공개된 스케치가 전부다. 투싼과 브랜드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7을 합친 듯한 모습을 나타냈다. 다만 이마저도 공식 스케치가 아니라는 점에서 신뢰도는 낮다는 평가이다.

 

성능은 기존 모델을 크게 앞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주행 거리의 경우 미국 환경보호청(EPA) 기준 497마일(약 800㎞)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기존 넥쏘 주행 거리(380마일)보다 117마일(188㎞) 늘어난 수치이다.

 

현대차는 차세대 넥쏘 출시 소식과 함께 △W2H(Waste-to-Hydrogen) △P2H(Plastic-to-Hydrogen) 2가지 자원순환형 수소 생산 기술도 소개했다. W2H는 유기성 폐기물을 수소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음식물 쓰레기, 하수슬러지(수처리 과정에서 생긴 침전물), 가축분뇨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된 메탄을 정제해 바이오가스를 만든 후, 수소로 변환한다. P2H는 폐플라스틱을 수소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재활용이 불가능한 폐플라스틱을 액체 상태로 녹이고 가스화 공정을 통해 합성가스를 생산한 뒤, 이를 정제해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대규모 수소 생산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현대차는 수소로의 대전환을 목표로 기존 연료전지 브랜드인 'HTWO'를 그룹의 수소 밸류체인 사업 브랜드로 확장, 수소 생산·저장·운송·활용 등 전(全) 주기에서 맞춤형 패키지를 설계하는 'HTWO 그리드(Grid)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글로벌 이커머스 기업들과 협업해 현대차 수소전기차 모빌리티 기술을 통한 탄소중립 물류 인프라 구축에도 나선다. 또한 수소 사회의 실현을 앞당기기 위해 그룹 차원에서 연간 수소 소비량을 지난해 1만3000t에서 2035년 300만t까지 늘리기로 했다.



Posted by Morning la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