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orning lark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800)
Fuel Cell (838)
New Energy (837)
Energy Storage (6)
New Biz Item (2)
Total
Today
Yesterday

미코가 법인 분할을 통해 연료전지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 집중에 나선다.

 

미코는 28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회사분할을 결정했다.

 

신설회사는 ‘미코파워(가칭)’로 사업부문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사업부문이다. 신설회사인 미코파워의 설립시 자산은 약 162억원이며, 신설사업부문 최근 사업연도 매출액은 약 3억8천여만원이다.

 

미코는 분할 법인인 미코파워의 지분 100%를 소유한다.

 

이에 회사분할을 위해 2020년 12월30일 주주총회를 소집해 의결할 예정이다. 분할기일은 2021년 1월1일이다.

 

이번 회사 분할을 통해 미코는 세라믹 소재 및 디스플레이용 부품에 주력하고, 미코파워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미코파워의 주력사업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시스템(SOFC, Solid Oxide Fuel Cell) 부문이다.

 

미코파워의 SOFC 2㎾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시스템은 소재부터 시스템까지 전공정이 국내 기술로 상용화된 제품으로 정격 출력에서 51.3% 발전효율을 보이고, 전력효율은 45%로 열효율까지 합하면 전체 효율은 90%에 달하는 우수한 제품이다.

 

연료와 산화제의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원으로써 고온(700℃ 이상)에서 동작하고 환경오염가스(NOx, SOx, 등) 배출이 없는 저탄소·고효율 청정 발전원이 특징이다.

 

도시가스, 수소, 바이오가스 등을 연료로 사용 가능하고 설치면적이 작으며 소음이 적고 상시발전이 가능하다.

 

평판형 SOFC 셀 및 스택 기술이 적용된 국산 SOFC 시스템으로 스택 89%, 시스템 84%로 높은 국산화율을 달성했다.

 

현재 UNIST와 코미코에 2㎾ TUCY SOFC시스템 3대를 설치, 상업운전 중이며, 서울 물연구원과 부안군 관사에도 시스템 2대를 설치한 바 있다.

 

또한 미코는 지난해 경기도 안성에서 국내 최초, 최대 규모의 SOFC 제조공장을 준공한 바 있으며, 지난 9월에는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신제품(NEP) 인증서를 수여받은 바 있다

 

https://amenews.kr/news/view.php?idx=43536

 

미코, 연료전지 ‘미코파워’ 회사분할

▲ 미코의 SOFC TUCY미코가 법인 분할을 통해 연료전지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 집중에 나선다.미코는 28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회사분할을 결정했다.신설회사는 ‘미코파워(가칭)’로 사업부문은 고

amenews.kr

 

Posted by Morning lark
, |

자료출처 이투데이

일 자 2020.10.27

日도 ‘탄소 중립’ 선언…바이든 후보도 ‘탄소배출 제로’ 공약

EU, 환경 대책 미흡 국가산 수입품에 국경 탄소세 부과 검토

중국, ‘재생 에너지 이용 실적 거래 시장’ 구축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저지주 린덴에 위치한 발전소의 모습이 보인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계 없음. 린덴/EPA연합뉴스

글로벌 ‘탈(脫)탄소 시대’의 도래가 가시화되면서 각국이 에너지 전환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환경 대책이 미흡한 국가의 수입품에 세금을 매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중국은 자국 내 수소 에너지 분야를 장려할 방침이다.

27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세계 각국이 최근 온실가스의 실질 배출이 없는 상태인 ‘탄소제로’ 목표를 잇따라 제시하고 있다. EU는 일찍이 2050년 온실가스 실질 배출을 제로(0)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고,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도 지난달 2060년 이전까지 실질적인 온실가스를 제로화하겠다고 선언했다. 뒤이어 일본은 전날 녹색 사회의 실현을 위해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실질 배출을 제로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에서는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가 공약으로 탄소 배출 제로를 내걸고 있다.

EU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0% 감축하겠다는 목표 또한 끌어올려 적어도 55% 줄이는 방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2030년까지는 재생에너지나 에너지 절약 등이 주를 이루지만, 2030년부터는 수소를 중심으로 한 신기술에 기댈 방침이다. EU 집행위원회(EC)는 7월 수소 에너지 투자 등을 위해 업계 대표, 시민 사회, 각국 장관, 유럽투자은행 등이 참여하는 ‘유럽 청정 수소 연합’을 발족하기도 했다. EU는 수소가 2050년 세계 에너지 수요의 24%를 담당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수소 등의 신기술에는 비용이 드는 만큼 당분간 유럽 기업이 경쟁력에서 불리하게 될 우려가 있다. 환경 규제가 느슨한 나라에서 값싼 제품이 유럽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막기 위해 EU는 환경 대책이 미흡한 국가에서 들어오는 수입품에 사실상의 관세를 부과하는 ‘국경 탄소세’를 검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유럽 기업이 안고 있는 높은 탄소 배출 감소 목표에 대한 불안을 잠재우고, 공정한 경쟁 조건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국경 탄소세는 늦어도 2023년까지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은 26일 개막한 19기 제5차전체회의(5중전회)에서 비화석 연료가 1차 에너지에서 차지하는 소비 비중 목표치를 당초 15%에서 18%로 끌어올릴 것으로 관측된다. 구체적인 실현 방안으로는 온실가스 배출량 거래와 유사하게 재생 에너지의 이용 실적을 거래할 수 있는 시장을 만드는 것이 거론된다. 중앙정부가 정한 재생에너지 이용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전력 소매업자들이 목표를 달성한 기업으로부터 ‘이용 실적’을 매입하는 구조다.

아울러 중국은 수소 사회 실현도 서두르고 있다. 중국 정부는 9월 수소연료전지차(FCV) 판매보조금 제도를 철폐하고, 핵심 기술 개발 기업에 장려금을 주는 제도를 도입했다. FCV는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높아 당분간은 보조금 대신 기술 개발에 대해 직접 재정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아울러 베이징시는 같은 달 새롭게 '베이징 다싱국제수소에너지 시범지구'를 조성했다. 이를 통해 수소에너지 인프라를 정비하고, 핵심기술을 가진 메이커의 기술력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Posted by Morning lark
, |

자료출처 머니S

일 자 2020.10.27



현대건설이 그린뉴딜 정책으로 빛을 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7일 NH투자증권은 현대건설에 대해 2030년까지 설치되는 해상풍력에 이어 현대차그룹과의 연료전지 발전 사업이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목표주가는 3만7500원을 유지했으며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민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건설의 3분기 실적은 연결기준 매출 4조1000억원, 영업이익 1398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 41.5% 하락해 시장 컨선세스를 하회했다”면서 “현대건설 UAE 미르파 발전소와 현대 엔지니어링 말레이시아 발전소 프로젝트 등에서 공기지연 사유가 발생해 일회성 비용 1100억원을 인식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현대건설은 3분기 누적 기준으로 21조9000만원을 기록했다. 주택분양은 3분기까지 연결기준 2만 세대를 달성했다.

이 연구원은 "다만 둔촌주공 2800세대 분양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에 연초 목표는 소폭 미달할 전망이나 카타르 LNG 프로젝트, 이라크 정유공장 프로젝트, 홍콩 종합병원 프로젝트 등 해외 수주는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국내 주택뿐만 아니라 주요 SOC 및 데이터센터 수주도 가시권이다"고 설명했다.

앞서 현대건설은 미래 성장 비전으로 '현대건설 2025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2025전략에는 기존 핵심 상품에 수소연료전지 발전, 해양항만, 데이터센터, 병원 등을 더해 전 사업 부문에서 핵심 상품을 최대 15개까지 확대해 글로벌 수주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현대걸설은 오는 2022년까지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를 개발해 연료전지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국내 그린뉴딜 프로젝트를 수행할 건설사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연구원은 "한국전력이 지난 2019년 12월 완공한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를 공사한 경험이 있다"며 "향후 10년동안 국내 시장에서 연료전지와 해상풍력 증설은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며 포스트 코로나 이후 확대될 해외 부문과의 동반 성장이 가능한 부분이다"고 덧붙였다.

Posted by Morning lark
, |

ElringKlinger fuel cell stacks for logistics centers and ports

- Supply of three fuel cell stacks in total to be incorporated into various applications by system integrator zepp.solutions

- Realized prototype in a Terberg terminal tractor used for container and material handling in ports and logistics centers as well as planned use in water taxi at Port of Rotterdam

- More far-reaching collaboration covering supply of additional fuel cell stacks currently under negotiation

Dettingen/Erms (Germany), October 22, 2020 +++

 

Fuel cells provide the basis for emission-free propulsion in various fields of application. In those cases in which the requisite hydrogen is produced by wind, solar, or water power, the drive system that relies on such fuel cell technology can be considered completely climate-neutral. In this context, ElringKlinger AG has supplied three fuel cell stacks to Dutch system integrator zepp.solutions B.V. The high power density of ElringKlinger's fuel cell stacks proved a key factor with regard to the selection process and the potential areas of use. On the basis of these stacks, zepp.solutions is capable of developing an extremely compact and highly efficient fuel cell system for various heavy-duty applications.

The first stack supplied by ElringKlinger includes 260 cells and was tested and configured by zepp.solutions on a rig for the purpose of integrating it into fuel cell systems. As a next step, a passive hydrogen recirculation unit was also supplied by the company. Working on this basis, zepp.solutions then fitted its fuel cell system - including ElringKlinger's stack and recirculation unit - to a demonstration vehicle developed by the Dutch manufacturer Terberg Special Vehicles; it is used in a terminal tractor for container and material handling in ports and logistics centers.

A second ElringKlinger stack is to be used in the same area of application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ests by zepp.solutions with regard to downstream system integration. It, too, is to be deployed in a Terberg terminal tractor used for container and material handling in ports and logistics centers. Additionally, ElringKlinger has provided zepp.solutions with a fuel cell stack with 300 cells, including hydrogen recirculation unit. Subsequent to testing, this unit is to be fitted to a water taxi operated in the port of Rotterdam.

The two parties to the contract are looking to pursue their collaborative efforts based on their accomplishments to date and are currently engaged in negotiations with regard to additional fuel cell stacks of a new generation, which are to be supplied to zepp.solutions in the coming years for subsequent integration into fuel cell systems.

Fuel cell technology at ElringKlinger
ElringKlinger has been actively pursuing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area of fuel cell technology for around 20 years and serves the market as both a system and a component supplier. The compact stacks are based on proton-exchange membrane (PEM) technology and convert chemical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hydrogen and oxygen.

Fuel cell stacks are suitable above all for mobile applications with a long range and cyclical operation. Apart from vehicles such as buses and cars, PEMFC stacks can also be used for mobile industrial applications, e.g., in commercial vehicles and fork lift trucks. In addition, the hydrogen-based propulsion unit is also suitable for trains, ships, or aircraft.

ElringKlinger offers stacks in various configurations for integration into customer systems. Stacks with peripheral components and system functionalities integrated into the media module are also available as an option. These features enable considerable simplification and cost reduction with regard to the fuel cell system. In addition to the stack platform, a fuel cell system includes the control unit, the hydrogen pressure regulator, the air filter, the primary cooling circuit, and the power electronics. Interfaces to the customer system include the supply and exhaust air connection, the hydrogen supply at medium pressure level, and the removal of purge hydrogen and product water.

For further information, please contact:
ElringKlinger AG | Strategic Communications
Dr. Jens Winter | Max-Eyth-Straße 2 | D-72581 Dettingen/Erms
Phone: +49 7123 724-88335 | E-mail: jens.winter@elringklinger.com

About ElringKlinger AG
As an automotive supplier, ElringKlinger has become a trusted partner to its customers - with a firm commitment to shaping the future of mobility. Whether optimized combustion engines, high-performance hybrids, or environmentally-friendly battery and fuel cell technology, ElringKlinger provides innovative solutions for all types of drive system. ElringKlinger's lightweighting concepts help to reduce the overall weight of vehicles. As a result, vehicles powered by combustion engines consume less fuel and emit less CO2, while those equipped with alternative propulsion systems benefit from an extended range. In response to increasingly complex combustion engine technology, the Group also continues to refine and evolve its offering within the area of seals and gaskets in order to meet the highest possible standards. This is complemented by solutions centered around thermal and acoustic shielding technology. Additionally, the Group's portfolio includes products made of the high-performance plastic PTFE, which is also marketed to industries beyond the automotive sector. These efforts are supported by a dedicated workforce of around 10,000 people at 45 ElringKlinger Group locations around the globe.

About zepp.solutions
Zepp.solutions is specialized in the development, integration and control of hydrogen and fuel cell systems. These systems enable the emission-free propulsion and operation of vehicles, or other high power demand applications without any drawbacks on uptime, cost or lifetime. Zepp.solutions also supports your concepts and projects with our consulting and engineering services.

 

Posted by Morning lark
, |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전문 기업 에스퓨얼셀이 2kW급 연료전지와 액화수소용기를 채용한 수소 드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27일 에스퓨얼셀은 2kW급 수소 드론을 개발했다며 수소 모빌리티 진출에 대한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하게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기존 배터리를 채용한 드론은 30분 이내의 짧은 비행시간으로 인해 장거리 및 장시간 임무수행 등에 한계가 있어 활용도가 떨어졌다.
사업 현장에서는 드론에 대한 해당 성능향상과 함께 드론의 범용적 활용 촉진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짧은 비행거리를 늘려달라는 내용을 주요골자로 획기적인 기술 개발을 요구하는 의견이 많았다.
이러한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한 에스퓨얼셀은 올해 2월부터 희망기업들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해 관련 DB를 구축하고 그 결과를 심층분석, 최종적으로 설계에 반영함으로 드론 이용자의 편의성과 범용성이 제고된 수소 드론을 개발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에스퓨얼셀이 이번에 개발한 액화 수소연료전지 드론은 비행시간을 비약적으로 늘림으로 현재 배터리 드론으로 불가능 했던 수색, 정찰, 물류 운송, 농업 방재 등의 사업분야에 폭 넓게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수소 드론에 주목되는 점은 수소연료전지 파워팩 개발에도 이용자의 편의성 및 범용성을 높였다는 점이다.
이용자가 상황에 맞게 고압기체수소와 액화수소 연료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제품개발로 편의성 및 범용성을 높였으며, 수소드론 비행에 사용된 드론과 모터 또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제품을 사용하여 시험 비행을 했다.

에스퓨얼셀은 2018년에는 연료전지 업계에서 처음으로 코스닥 상장을 한 수소연료전지 전문기업으로 건물용 연료전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소 모빌리티 시장에도 연료전지 파워팩 시스템 개발을 통해 진출을 하고 있다.
이번 수소 드론 개발 성공을 시작으로 지게차, 선박 등의 연료전지 파워팩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고 에스퓨얼셀은 설명했다.
향후 수소 연료전지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분야를 창출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매출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에스퓨얼셀 관계자는 "현재 진행중인 유상증자를 통해 유입되는 자금을 통해 수소 연료전지 파워팩 시스템의 개발과 원천기술 확보, 상품화에 적극적으로 투자해 시장에 빠르게 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Posted by Morning la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