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orning lark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074)
Fuel Cell (874)
New Energy (1060)
Energy Storage (6)
New Biz Item (2)
Total
Today
Yesterday

 

 

Over 200 companies to promote 650 green hydrogen projects in Spain.

Renewable hydrogen production in Spain will be around 2.5 million tonnes per year in 2030, according to the average scenario estimated by Enagá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companies interested in participating in hydrogen transport infrastructure. The company has registered a total of 650 projects, 65% of which are for production, 20% for consumption and the remaining 15% for marketing.

Two hundred and six companies participated in the “call of interest” announced by Enagás in the last quarter of 2023. Three possible scenarios have been extrapolated from the data provided at this non-binding consultation: maximum potential, a “call of interest” and a baseline scenario.

The second scenario, which includes the most mature projects, identifies an electrolysis capacity of 23.3 gigawatts. The estimated demand at that date is one million tonnes per year, compared to the 600,000 tonnes of grey hydrogen consumed today.

 

New uses of hydrogen
In the maximum potential scenario, production would reach 7.9 tonnes per year, with an electrolysis capacity of 74.3 gigawatts. In the baseline scenario, production would be 1.6 tonnes per year and electrolysis capacity would reach 13.4 gigawatts. The consumption forecast of one million tonnes has been maintained, a figure which, according to Enagás CEO Arturo Gonzalo, reveals that there will already be new uses for this fuel by that date and “Spanish industry will have made progress in replacing grey hydrogen with green hydrogen”.

According to Enagás, these results confirm the infrastructure projects that were presented to the European Commission’s call for Projects of Common Interest (PCI): the Cantabrian Coast Corridor, the Ebro Valley Corridor, the Levante Corridor, the Vía de la Plata Corridor connected to the Puertollano Hydrogen Valley, the Guitiriz-Zamora Corridor and two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in Cantabria and the Basque Country. New areas of production and demand aggregation have also been identified and will now be analysed to assess their feasibility.

Europe’s first hydrogen hub
All these Spanish infrastructures projects will be connected to the future H2Med corridor, with which Enagás aspires to turn the Iberian Peninsula into Europe’s leading hydrogen hub. This corridor, incorporated into the PCIs, also includes the section between Celorico da Beira in Portugal and Zamora (CelZa) and the maritime connection between Barcelona and Marseille (BarMar). This pipeline will be essential for Spain to be able to export its surpluses, which would amount to 1.5 tonnes per year in the average scenario. It will in this way contribute to achieving Europe’s target of producing some 10 million tonnes per year out of the 20 million tonnes expected to be consumed by 2030.

The total amount of the projects submitted by Enagás to the European Commission’s PIC call would represent a total gross investment of 4.9 billion euros. As for H2Med, Spain’s participation will involve a total gross investment of around one billion euros. The final planning will be carried out by the Spanish government.

Over 200 companies to promote 650 green hydrogen projects in Spain - Hydrogen Central (hydrogen-central.com)

 

Over 200 companies to promote 650 green hydrogen projects in Spain - Hydrogen Central

Over 200 companies to promote 650 green hydrogen projects in Spain. Renewable hydrogen production in Spain will be around 2.5 million

hydrogen-central.com

 

READ the latest news shaping the hydrogen market at Hydrogen Central

Over 200 companies to promote 650 green hydrogen projects in Spain. source

Posted by Morning lark
, |

出光興産(東京)、ENEOS=エネオス=(同)、北海道電力(札幌市)の3社は20日、苫小牧市で国内最大規模となるグリーン水素サプライチェーン(供給網)の構築に向けた検討を始めると発表した。2030年ごろまでに年間1万トン以上の水素を製造する水電解プラントを新設し、出光興産北海道製油所(市真砂町)をはじめ、地域の工場などにパイプラインで供給。地産地消型の水素一大拠点を苫小牧で形成し、脱炭素社会実現などをけん引する構えだ。 道内の洋上風力を活用  3社は同日付で検討を行うことで合意し、覚書を締結。オンライン会見で概要などを説明した。  発表によると、再生可能エネルギーとして、道内の洋上風力を活用。水を電気分解するグリーン水素を苫小牧市内で製造し、苫小牧西港周辺で供給する方針。製造工程で二酸化炭素(CO2)を排出しないため、カーボンニュートラル(CN、温室効果ガスの排出ゼロ)達成に貢献できる。水素は道製油所で合成燃料製造などに用いるほか、地域の工場にも供給する考え。発電や熱利用としての需要を見込んでいる。 国内最大プラント建設へ  北電は昨年5月から市弁天で、水電解による水素製造を始めているが装置は1000キロワット級。今回新設するプラントは10万キロワット以上で、3社によると国内では最大という。プラント建設地は今後決めるが、苫小牧西港・臨海部のうち市真砂町は道製油所、北電苫小牧発電所が並んでおり、このエリアが有力とみられる。  費用負担をはじめ事業概要の詳細も今後詰めるが、経済産業省が既存燃料との価格差を補う値差支援事業の応募を考えている。3社の役割分担は、エネオスが事業性の評価やプラント設計、供給先との交渉など、北電は再エネの調達、プラント設備の建設や運用、保守など、出光は水素で合成燃料を造るほか、地元企業として市内での理解醸成を進める方針だ。  北電、エネオスの両社は2022年度から、国立研究開発法人新エネルギー・産業技術総合開発機構(NEDO)の委託事業で、苫小牧市やその周辺を想定し、グリーン水素サプライチェーン構築調査を展開。周辺需要ポテンシャルを年間7万トンとみている。 3社協業で大きな挑戦  オンライン会見で、エネオスの大立目悟水素事業推進部副部長は「苫小牧は道内有数のものづくり拠点。コンビナートで水素利用が見込まれる」と苫小牧で検討する理由について説明。石油元売り同士が協業する異例の取り組みだが「われわれの技術や知見、ノウハウを持ち寄ることで大きなシナジーを生み出せる」と利点を強調し、「CNで国産グリーン水素生産が大きな課題。北海道での事業は基幹となる」と訴えた。  出光興産北海道製油所の鳳城延佳副所長も「CNは1社では難しい面もある」と指摘し「大きな枠組みを得たことで、国内最大規模で展開できる。大きな挑戦」と展望。北電総合エネルギー事業部の富田隆之水素事業推進GLは「北海道の再エネポテンシャルは日本一。再エネを水素に転換し、さまざまな分野、用途で活用してもらう」とサプライチェーン構築に意欲を見せた。  国内最大となる水素の地産地消拠点の構想に対し、鈴木直道知事はコメントを出して「本道が推し進める水素などの利活用や、『ゼロカーボン北海道』の実現にもつながる重要な一歩」と歓迎した上、「国が進める水素・アンモニア拠点に選定されるよう、苫小牧市や関連企業などと連携して取り組む」とした。岩倉博文市長もコメントで「次世代エネルギー拠点の形成に寄与する」と期待した。

 

年間1万トンの供給網 苫小牧でグリーン水素製造 出光・エネオス・北電(苫小牧民報) - Yahoo!ニュース

 

年間1万トンの供給網 苫小牧でグリーン水素製造 出光・エネオス・北電(苫小牧民報) - Yahoo!

 出光興産(東京)、ENEOS=エネオス=(同)、北海道電力(札幌市)の3社は20日、苫小牧市で国内最大規模となるグリーン水素サプライチェーン(供給網)の構築に向けた検討

news.yahoo.co.jp

 

Posted by Morning lark
, |

월간수소경제 = 이상현 기자 | 현대자동차가 현대모비스의 수소연료전지사업을 인수하면서 수소차 시장 경쟁에 불이 붙었다. 상용차를 앞세워 수소차 시장을 점령한 중국과 새로운 수소차 출시를 앞둔 자동차 강국 일본과의 3파전에서 현대차의 입지가 주목된다.  

현대차는 현대모비스와 사업 양수도 계약을 체결하고, 현대모비스의 국내 수소연료전지사업 일체를 인수한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글로벌 수소차 시장 경쟁 가속화에 따른 영향력 확대가 사업 인수 원인으로 꼽힌다. 수소차 시장 점유율 1위를 수성해오던 현대차가 중국에게 자리를 내주면서 위기감을 느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SNE리서치는 지난해 중국이 수소차 시장 점유율 38.8%를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상용차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한 결과다. 국내에서 수소차를 제조하는 기업은 현대차뿐인 반면 중국은 수소 상용차 기업만 해도 수백 개 사에 달한다.


2024 넥쏘.(사진=현대차)
한국의 시장 점유율은 넥쏘 판매량 부진 여파로 전년 동기 대비 55.2% 감소했다. 현대차는 승용차 넥쏘와 수소버스 일렉시티를 총 5,012대 판매하며 시장 점유율 34.7%를 기록했다. 2022년 현대차의 시장 점유율은 54.8%다. 지난해 넥쏘 판매량은 4,709대에 그쳐 전년 동기 대비 55.9% 줄었다. 반면, 도요타 미라이는 지난해 대비 3.9% 늘어난 3,737대가 판매됐다.

일본의 약진도 예상된다. 도요타가 수소전기 ‘크라운 세단’을 출시한 데 이어 혼다도 신형 수소전기차 CR-V FCEV를 올해 안으로 출시하며 수소차 시장 진입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R&D, 생산의 유기적 연결로 수소차 보급 확대 노려

현대차는 이번 사업 인수로 원료부터 차량 생산까지의 수소차 제조 공정을 담당할 수 있게 됐다. 현대모비스의 수소연료전지사업과 관련된 설비, 자산뿐 아니라 R&D, 생산·품질 인력 등을 함께 인수해 사업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넥쏘 후속 모델도 2025년까지 출시할 예정이라 수소 승용차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사업 인수 결정은 R&D(현대차)와 생산(현대모비스)으로 이원화 돼 있던 기존 구조를 유기적으로 연결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액체수소 충전소가 들어설 익산의 목천 수소충전소(사진=익산시)
특히 올해는 인천 등 3곳에서 액화수소플랜트가 가동되고, 액체수소충전소 개소도 앞두고 있어 수소버스, 수소트럭 등의 상용차 보급확대가 기대된다. 액체수소는 기체수소대비 충전시간이 짧고 부피가 800분의 1 수준이다. 즉 같은 양의 수소를 공급할 때 저장공간이 압도적으로 줄어든다. 수소를 탱크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600~700bar 정도의 압력이 필요한 기체수소와는 다르게 1~3bar의 저압 저장도 가능해 수소상용차 보급 확대를 계획하고 있는 현대차에 기대가 더해진다.

또 올해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이 개설되는 등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발전 분야의 수소 활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현대차는 발전 분야 연료전지시스템 사업에도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기존 넥쏘 연료전지 기술력을 응용해 트램, 항만, 선박, AAM 등 비차량 분야에서도 사업 다각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트램의 경우 이미 현대로템에 연료전지시스템을 제공해 수소트램을 개발하고 울산에서 실증 운전을 마쳤다. 


현대차의 SPACE 파빌리온.(사진=현대차)
이처럼 현대차는 수소전기차 및 차량 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수소연료전지 판매를 확대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로 인한 수소연료전지 가격 인하를 통해 수소 생태계의 실현을 가속화한다는 포석이다.   

아울러 현대차는 지난 ‘CES 2024’에서 수소, 소프트웨어 기반의 미래 모빌리티 콘셉트를 공개한 바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DICE), 공공 모빌리티(SPACE), 물류 시스템(CITY POD) 등이 포함된다. 공공 모빌리티인 SPACE는 이동을 넘어 ‘파빌리온’이라는 열린 공간으로까지 확장된다.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통해 에너지를 공유하는 포터블 배터리 슬롯과 다양한 충전 모듈이 내재됐다. 또 수소연료전지 부산물인 물을 활용한 공기정화 녹조, 스마트팜도 있다. 물류 이동을 담당하는 CITY POD은 수소 에너지 운송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은 수소차의 차량 가격, 연비 등 시장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부품이다. 현대차는 R&D 영역과 생산 영역의 밸류체인 연결을 통해 수소연료전지의 성능, 내구성, 생산 품질을 올려 수소차 보급 확대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연료전지시스템의 R&D부터 제조까지 밸류체인 일원화를 통해 수소차 등 모빌리티 혁신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수소 밸류체인 구축이 답이다

현대차는 수소연료전지 사업뿐 아니라 수소 밸류체인 전 단계에 걸쳐 다양한 기술 개발과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는 'CES 2024'에서 수소에너지 대전환을 이끌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사진=현대차)
현대차는 CES 2024에서 기존 연료전지 브랜드인 ‘HTWO’를 현대차그룹의 수소 밸류체인 사업 브랜드로 확장하겠다고 선언했다. 수소의 생산부터 저장, 운송, 활용까지 모든 단계에서 고객의 다양한 환경적 특성과 수요에 맞춰 단위 솔루션(Grid)을 결합해 최적화된 맞춤형 패키지를 제공하기 위한 ‘HTWO Grid’ 솔루션을 발표하는 등 ‘수소 밸류체인’ 구축을 통해 수소 사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수소 사회로의 전환을 앞당기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것이다. 

현대차는 그린수소 생산을 위해 수년 내 MW급 PEM 수전해기를 양산하고, 수소연료전지 부품·생산 인프라 공용화를 통해 현재 대비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그룹 차원에서 대규모 수소 수요 창출에 기여해 연간 수소 소비량을 2035년까지 300만 톤으로 늘릴 계획도 발표했다.

수자원이 제한적이거나 재생에너지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생활폐기물을 통해 수소를 생산할 수 있도록 유기성 폐기물을 수소로 전환하는 방식(W2H)과 폐플라스틱을 수소로 전환하는 방식(P2H) 등 자원순환형 수소 생산 기술 2종을 개발하고 있다.

그룹 내 다른 계열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수소의 저장, 운송 및 활용을 위한 기술도 개발 중이다. 

앞으로도 현대차는 수소사업을 가속화할 것이라는 평가다. 정의선 현대차 회장이 CES 2024에서 강조한 “수소는 다음 세대를 위한 것”이라고 문구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 수소연료전지사업 이어받는 현대차, 위상 되찾을까 < 시장 < NEWS < 기사본문 - 월간수소경제 (h2news.kr)

Posted by Morning lark
, |

월간수소경제 = 이종수 기자 | 미국의 수소 기업 플러그파워는 운송 기관과 트럭 운송 차량 고객에게 처음으로 휴대용 액체수소 연료 충전기 여러 대를 공급했다고 지난 12일(현지시각) 밝혔다.

플러그파워의 ‘HL-450D-P’는 350bar 또는 700bar로 수소 차량의 충전을 지원하기 위해 빠르고 쉽게 구축할 수 있는 휴대용 플랫폼의 수소충전소로, 최소한의 부지와 단일 전기 연결만 필요하다.  

이 제품은 중·대형 수소 상용차의 인프라 비용과 배치 시간을 줄이도록 설계되었다. 이 솔루션의 고객에는 버스, 기차, 페리 등을 운영하는 대중교통 기관과 물류 회사 및 소매 유통업체가 포함된다.  

앤디 마쉬(Andy Marsh) 플러스파워 CEO는 “당사의 휴대용 수소연료 충전기는 운송과 같이 탄소를 감축하기 어려운 부문에서 비용 효율적인 수소의 활용을 주도하는 플로그파워의 최첨단 혁신의 대표적인 예”라며 “최소한의 초기 비용으로 대중교통 당국, 물류 회사와 소매업체는 이제 저탄소 수소 충전 인프라를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제품에는 1,500kg의 극저온 액체수소 저장 탱크, 펌핑(pumping) 및 기화 시스템, J2601 기준을 준수한 디스펜서가 포함된다. 또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측정기가 탑재되어 서비스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 솔루션은 재구축이 용이해 시범 프로젝트의 자본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다. 

이 제품의 개발은 지난 2021년 11월 플러그파워의 ACT 인수를 통해 가능했다.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제조 시설에서 휴대용 수소충전기를 생산한다. 

플러그파워, 휴대용 액체수소 충전기 첫 공급 < 시장 < NEWS < 기사본문 - 월간수소경제 (h2news.kr)

 

플러그파워, 휴대용 액체수소 충전기 첫 공급

월간수소경제 = 이종수 기자 | 미국의 수소 기업 플러그파워는 운송 기관과 트럭 운송 차량 고객에게 처음으로 휴대용 액체수소 연료 충전기 여러 대를 공급했다고 지난 12일(현지시각) 밝혔다.

www.h2news.kr

 

Posted by Morning la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