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orning lark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808)
Fuel Cell (841)
New Energy (842)
Energy Storage (6)
New Biz Item (2)
Total
Today
Yesterday

 ドイツの国際展示会「Hannover Messe 2024」では、水を再生可能エネルギーの電力で電気分解してグリーン水素を取り出すための水電解装置や部材の出展が相次いだ。この水電解装置にはいくつか種類があるが、今回の展示会で最も出展が多かったのが、PEM(形)と呼ばれるタイプである。

PEM形水電解は、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PEFCまたはPEMFC)の逆の化学反応プロセスであり、大半の部材や技術が共通している。このため、これまで燃料電池車(FCV)など向けにPEFCを開発していたメーカーが、PEMで水電解事業に参入するケースが多い。トヨタ自動車もその1社である。今回のHannover Messeでも、PEFCのセルスタックとセットのように、PEMのセルスタックが置かれているケースが目立った。

小型化で「80%コストダウン」

 このHannover Messe 2024で見えたPEMの新たな傾向は、これまで似たり寄ったりだった開発の方向性が、様々な方向に分岐しつつあることだ。例えば、これまでPEM形水電解のセルスタックは徐々に大型化する傾向が強かった。今回はドイツRobert Boschが開発中の1.25MW級のセルスタックをはじめ、人の背丈に並ぶようなPEMとしては大型のセルスタックの出展が相次いだ(図1)。

(a)ドイツRobert Bosch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b)ドイツHoeller Electrolyzer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c)英Oort Energy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d)ドイツShaeffler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e)中国Shanghai H-Ray S&T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f)韓国Sunbo UniTech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図1 1台で1MW超のセルスタックが登場
ドイツRobert Boschは1.25MW級のPEM向けセルスタックを出展(a)。このセルスタック2台をコンテナ1台に実装することを想定する。ドイツHoeller Electrolyzerのセルスタックの寸法は61cm×56cm×93cmで推定で100kW級(b)。5~40bar(約5~40気圧)と高圧の水素を生成するのが特長だ。250kW級のセルスタックを出展した英Oort Energyは、この分野大手の英ITM Powerの研究者だったNick van Dijk氏が創業した(c)。ドイツShaefflerのセルスタックの水素生産能力は最大2.2kg/時(約25Nm3/時)(d)。中国Shanghai H-Ray S&Tのセルスタックの水素生産能力は推定で50Nm3/時(e)。セルスタックのエネルギー効率は4.1k~4.3kWh/Nm3だとする。韓国Sunbo UniTecのセルスタックは韓国企業として初のPEM関連製品(f)。Sunboは同Hyundai Heavy Industriesなどから出資を受けている。(写真:日経クロステック)

 一方で、その逆、つまり小型化の方向も出てきた(図2)。典型例がドイツの研究所であるFraunhofer Institute for Machine Tools and Forming Technology(IWU)が出展した12kW級、すなわちBoschの約1/100の規模のセルスタックである。これでも「量産モデル」(同研究所)だという。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図2 超小型セルスタックの量産でコスト大幅低減へ
ドイツFraunhofer IWUが主催する技術組合「Referenzfabrik.H2」が開発中の超小型セルスタック。セルの有効面積は300cm2で10層を重ねている。投入電力は最大12kW。水素の生産能力は最大2.5Nm3/時。セルスタックのエネルギー効率は74%である(写真:日経クロステック)

 ここまで小型にしたのは、その方が製造しやすく、数も出やすいため、量産効果によってコストの低減につながるといった考えによる。ただし、水電解システム自体は小型にはならない。「このセルスタックを多数用いることで1システムはコンテナサイズになる」(Fraunhofer IWU)とする。

 量産は、「ロール・スタンピング」(同研究所)と呼ぶ、ロール・ツー・ロール(R2R)とスタンプ、すなわち金型を押し付けて成型する方式を組み合わせて進めることで、「従来品に比べてコストを80%低減できる」(同)とする。パートナー企業8社と協力することで、2025年に製品化する計画だ。

 量産プロセスについては、ドイツFraunhofer Institute for Electronic Nano Systems(ENAS)も、インクジェット印刷方式で製造したPEMやPEFC向けMEA†やそのインクを出展した(図3)。

†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電解質膜/電極複合体。電解質膜の両端に電極を兼ねた触媒層、さらにその外側にガス拡散層を積層したもの。
(a)Fraunhofer ENASのインクジェット印刷向け触媒インク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b)(a)で印刷したMEAシート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c)ロールに巻いた中国SinoHyKeyのMEAシート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d)中国Taiji Powerの大型MEAシート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e)Shanghai H-Ray S&TのMEAシート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図3 インクジェット印刷技術で触媒を“印刷”
印刷技術でMEAやCCMを製造した例。Fraunhofer ENASは、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インクでMEAの触媒を“印刷”した(a、b)。ただし、このMEAは燃料電池(PEMFC)にも水電解(PEMWE)にも使えるとしている。中国メーカー各社も印刷技術で大型のMEAまたはCCMシートを製造している(c~e)(写真:日経クロステック)

 最近までアルカリ水電解を選ぶ傾向が強かった中国メーカーも、最近はPEMを開発する例が増えてきた。今回は、R2Rで製造したフレキシブルなMEAシートや1m角近い大型のMEAもしくはCCM†を出展するなど、PEM形水電解装置の製造プロセスの革新に積極的な姿勢をアピールしている。

†CCM(Catalyst Coated Membrane)=電解質膜の両側に触媒を成膜したもの。
 
Posted by Morning lark
, |

Russian scientists propose radical new way to produce hydrogen — inside a gas well | Hydrogen Insight

 

Russian scientists propose radical new way to produce hydrogen — inside a gas well | Hydrogen Insight

Russian scientists propose radical new way to produce hydrogen — inside a gas well Carbon can be left inside the well rather than captured above ground, say Moscow researchers Researchers from Skoltech carrying out lab tests on underground hydrogen extra

www.hydrogeninsight.com

 

Posted by Morning lark
, |

'South Korea must invest in hydrogen-based steelmaking — or lose out to Europe': report | Hydrogen Insight

 

'South Korea must invest in hydrogen-based steelmaking — or lose out to Europe': report | Hydrogen Insight

'South Korea must invest in hydrogen-based steelmaking — or lose out to Europe': report Germany is spending 38-times more on steel decarbonisation programmes, despite producing half the crude product, Korean activists warn A Posco engineer looks through

www.hydrogeninsight.com

 

Posted by Morning lark
, |

자료출처 대전일보

일 자 2024.6.12

전기화학 증착 시간에 따라 변해가는 산화물 나노 촉매의 형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고효율 청정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촉매 코팅 기술이 개발됐다.

12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에 따르면 수소융복합소재연구실 최윤석 박사는 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정우철 교수,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박범경 교수 연구진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단 4분 만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키는 촉매 코팅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료전지는 수소경제를 이끄는 고효율 청정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중 발전효율이 가장 높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수소, 바이오가스, 천연가스 등 다양한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공정 중 발생하는 열을 이용한 복합발전도 가능하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성능은 공기극(양극)에서 일어나는 산소환원반응에 의해 결정된다. 연료극(음극)에서 일어나는 반응에 비해 공기극의 반응 속도가 느려 전체 반응 속도를 제한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느린 속도를 극복하기 위해 활성이 높은 새로운 공기극 소재를 개발하고 있었지만, 아직은 화학적 안정성이 부족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에너지연 연구진은 안정성이 우수해 산업계에 널리 사용되는 소재인 LSM-YSZ 복합전극(이하 '복합전극')의 성능을 한 차원 높이는 데 집중했다. 그 결과 복합전극 표면에 산소환원반응을 활발하게 하는 나노 크기의 프라세오디뮴 산화물(PrOx) 촉매 코팅 공정을 개발, 이를 적용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성능을 대폭 향상했다.

연구진은 또 상온, 상압에서 작동하며 복잡한 장비와 공정이 필요하지 않은 전기화학 증착법을 도입했다. 복합전극을 프라세오디뮴(Pr) 이온이 포함된 용액에 담가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극 표면에서 생성된 수산화기(OH-)와 프라세오디뮴 이온이 만나 침전물의 형태로 변하고 전극에 균일하게 코팅된다. 이렇게 형성된 코팅층은 건조 과정을 거쳐 산화물 형태로 바뀌고 고온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전극의 산소환원반응을 촉진한다. 이 코팅 공정에 들이는 시간은 단 4분에 불과하다.

아울러 연구진은 코팅된 나노 촉매가 산소 교환, 이온 전도를 촉진하는 원리를 규명해 촉매 코팅 방식으로 복합전극의 낮은 반응 속도를 해결할 수 있다는 학술적 근거도 제시했다.

연구내용 개략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최윤석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전기화학 증착 기술은 기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제작 공정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후처리 공정으로 산화물 나노 촉매를 도입해 산업적 활용성이 높다"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뿐만 아니라 수소 생산을 위한 고온 수전해(SOEC) 등 다양한 에너지 변환장치에 적용 가능한 원천기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재료과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Advanced Materials(IF 29.4)'지에 게재됐다.

 
Posted by Morning lark
, |

월간수소경제 = 박상우 기자 | 삼성중공업이 암모니아 추진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삼성중공업은 12일 거제조선소에 암모니아 실증 설비를 준공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4월에 착공해 1년 2개월 만에 준공된 암모니아 실증 설비는 거제조선소 내 1,300㎡ 부지에 조성됐다.

삼성중공업은 앞으로 이 설비를 활용해 암모니아 추진 실선 적용에 필요한 연료공급 시스템과 재액화 시스템, 배출 저감 시스템 연구개발은 물론 그에 따른 성능과 신뢰성을 검증한다. 

이와 함께 실시간 누출 감지·경보 시스템과 독성 중화 장치, 4족 보행 로봇을 활용한 감시 시스템 등 스마트 안전체계도 확보한다는 목표다.

아울러 삼성중공업은 암모니아 실증 설비를 기반으로 암모니아 밸류체인(가치사슬)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유관 기업·기관과 함께 기자재 국산화도 추진할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은 최근 노르웨이 DNV선급으로부터 암모니아 연료전지 추진 암모니아 운반선(VLAC)에 대한 기술 인증을 획득하는 등 암모니아 추진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미국의 암모니아 연료전지 전문기업인 아모지와 암모니아 추진선을 개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추진용 대형엔진과 전력용 발전엔진을 모두 암모니아 연료전지로 대체할 계획이다.

출처 : 월간수소경제(https://www.h2news.kr)

삼성중공업, 암모니아 추진선 개발 박차…실증 설비 구축 완료 < 기술 < NEWS < 기사본문 - 월간수소경제 (h2news.kr)

 

삼성중공업, 암모니아 추진선 개발 박차…실증 설비 구축 완료

월간수소경제 = 박상우 기자 | 삼성중공업이 암모니아 추진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삼성중공업은 12일 거제조선소에 암모니아 실증 설비를 준공했다고 밝혔다.지난해 4월에 착공해 1년 2개월 만

www.h2news.kr

 

Posted by Morning la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