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orning lark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900)
Fuel Cell (852)
New Energy (918)
Energy Storage (6)
New Biz Item (2)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Austin, Texas --Agastya Hydrogen, a globally renowned leader in green hydrogen energy solutions, is pleased to announce a strategic partnership with Simple H2 PSA in Poland. This collaboration aims to introduce Agastya AEM Electrolyser Stations and Agastya Hydrogen Refueling Stations across Poland, marking a significant advancement towards a sustainable energy future. 

The objective of the Partnership

 

This partnership’s primary objective is to expedite green hydrogen adoption in Poland and the broader European Union. By leveraging Agastya’s advanced AEM Electrolyser technology and Simple H2 PSA’s local market expertise, the partnership seeks to provide affordable and accessible green hydrogen solutions. This initiative is designed to support the European Union’s aspirations for clean energy independence and to contribute to the global effort to mitigate climate change. 

 

Strategic Advantages

 

Through this partnership, Agastya Hydrogen reaffirms its commitment to providing green hydrogen at an affordable price point, serving the European Union in its pursuit of clean energy independence. By leveraging Agastya’s advanced technology and Simple H2 PSA’s Polish expertise, the partnership will facilitate the widespread adoption of green hydrogen, contributing to a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landscape in Europe. 

 

 Shashi K Reddy Arjula, CEO of Agastya Hydrogen, stated: We are delighted to partner with Simple H2 PSA to bring our cutting-edge hydrogen solutions to Poland, “This collaboration underscores our dedication to making green hydrogen accessible and affordable, supporting the European Union’s goals for clean energy and sustainability.” 

Spreading the horizon to the European Union:

 

The introduction of Agastya AEM Electrolyser Stations and Hydrogen Refueling Stations will play a pivotal role in reducing carbon emissions and promoting the use of renewable energy sources. This initiative aligns with Agastya Hydrogen’s mission to drive the global transition towards a greener future. By providing clean and sustainable energy solutions, Agastya Hydrogen and Simple H2 PSA are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fostering a healthier environment for future generations. 

Furthermore, this partnership will enhance the European Union’s energy security by reducing dependence on fossil fuels and diversifying the energy mix. The availability of green hydrogen will support various industries, including transportation and manufacturing, in their efforts to transition to cleaner energy sources, thereby boosting economic growth and sustainability. 

 

Agastya Hydrogen innovates cost-effective, high-efficiency green hydrogen solutions with scalable next-generation and advanced AEM electrolyzers from 1 MW to 1 GW, designed to decarbonize industries economically. Supported by our GEMS.AI platform, our Electrolysers and Refuelling Stations meet energy-intensive industrial needs. We’re redefining AEM technology to make hydrogen accessible to all, targeting $1 per kilogram by 2030 and building a sustainable future.

 

Agastya Hydrogen’s Revolutionary Products:

 

            1.         1 MW Agastya Hydrogen Station (AHES): A pre-engineered, pre-assembled, plug-and-play plant for large-scale hydrogen production.

            2.         Agastya Hydrogen Refueling Station (AHRS): A pre-engineered, pre-assembled, Skid-mounted/Mobile HRS (plug and play)

            3.         Agastya Green Energy Management System (GEMS.AI): An AI-driven platform optimizing the green hydrogen value chain.

 

With a focus on achieving zero emissions worldwide, Agastya Hydrogen aims to transform green hydrogen production, storage, transportation, and utilization, addressing global energy and climate challenges.

 

Join the Movement: Agastya welcomes partnerships to adapt its technologies for diverse green energy needs and advance the global fight against climate change.

Posted by Morning lark
, |

RPS 현행수준 유지·HPS 변경 조항 넣어
건물용, ECO2·보정계수·비상전원 해결해야

 

[수소뉴스 = 한상원 기자]연료전지가 더 이상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어려운 상황 속에서 앞으로 더 주목받을 배출권거래제를 업계가 어떤 식으로 대응할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지난 25일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한국수소연료전지산업협회(회장 이두순) 제3차 정기총회에서 2024년 사업보고 및 2025년 사업계획, 2024년 재무제표 승인안, 2025년 예산 승인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총회에서는 연료전지 업계에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배출권거래제에 관해 협회와 회원사의 의견 공유가 진행됐다.

배출권거래제는 정부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배출권을 할당하여 할당범위 내에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배출량을 평가하여 배출권을 사업장 간 거래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연료전지도 제품 생산 공정 및 제품사용 등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포함되어 있으며, 할당방식은 과거배출량 기반 할당(GF)과 과거활동자료 기반 할당(BM)으로 구분된다.

지난 1차 계획 기간(2015~2017년)에는 할당량의 100%를 무상으로 할당하여 목표관리제를 활용하여 거래제 안착을 목표로 했으며, 2차 계획 기간(2018~2020년)은 97% 무상 할당해 거래제 범위를 넓혔고, 올해까지인 3차 계획기간(2021~2025년)에는 유상할당비율을 10% 확대한다.

회원사 관계자는 “기존 SPC, 발전사의 연료전지 자체 사업이 진행 중이며, 현재 목표관리제에서 배출권거래제로 급격히 넘어가고 있다”며, “이에 대해 협회와 연료전지사들은 어떤 식으로 대응할 것인지”라고 반문했다.

또, “4차 계획이 내년부터 시행해 지금부터 준비하기엔 늦은 감이 있고, 기존 RPS 사업장과 앞으로의 CHPS에 낙찰된 사업장의 전략 대응 방안이 분리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동시에 냈다.

특히, CHPS의 경우 작년에 낙찰된 사업장들은 올해 PF를 진행하고 있는데 기존 낙찰 가격에는 반영하지 않았던 온실가스 비용이 실질적으로 금융 프로젝트 파이낸싱(PF)단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20MW 기준으로 4차 계획 기간이 되고 유상할당 비용이 늘어난다면 기존 연간 3억원 하던 비용이 5억, 6억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배출권 가격이 높아진다면 2배, 3배로 비용이 뛸 수도 있어 연료전지 모델이 깨지는 정도로 문제가 심각해진다.

이에 대해 협회는 “RPS와 HPS는 사업모델과 적용 방식이 달라 배출권 대응 전략이 같을 수는 없다”며, “RPS는 무료배출권을 유상할당 하는 것을 현행수준으로 유지해달라는 전략을 추진 중이며, 이는 내부 분과에서 세심하게 논의할 것”이라고 답했다.

또, “HPS는 지난 2023년 입찰하고 나서 검토해보니 배출권 거래 가격이 변동비에 포함이 되지 않아 제도가 변경이 되거나 어떤 사유로 추가적으로 비용이 들어간다면 전문위원회를 통해서 계약서를 변경할 수 있다는 조항을 넣었다”고 덧붙였다.

협회는 이에 대해 한국거래소와 의견을 공유 중이고, 연료전지 SPC사 대상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및 배출권거래제 관리업체가 지정됨에 따라 제도 개선방안 검토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만큼 대응을 할 예정이다.

지난해 건물용 연료전지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의 주요 현안으로 ECO2 프로그램 개선과 보정계수 조정, 비상전원제도 도입 등 꾸준히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협회는 정부, 관련 기관들과 만나 의견을 나눴다.

하지만, 에너지다소비건물 분산전원 의무화가 되고 있음에도 정부는 분산법 기반 건물간 전력거래 제도와 건물용 연료전지 가동 인센티브 정책을 펼치지 않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협회는 지난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신재생에너지법, 수소법 등을 대응했으며, 산학연관 중심으로 토론회와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회원사의 국내·외 대외협력을 활성화했다. 또, 발전용·건물용·발전SPC·모빌리티 등 분과위원회를 구성하고 운영하며, 수소산업 생태계 협력방안을 구축했다.

이두순 협회장은 “지난해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도 협회가 역할을 할 수 있었던 배경은 수소연료전지 밸류체인의 각 분야 회원사들이 노력한 덕분”이라며, “이번 총회를 통해 협회의 향후 방향에 대한 회원사들이 주신 많은 의견을 참고하여, 역할 강화 및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노력하는 한 해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협회는 수소연료전지 산업이 혁신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하는 것을 2025년도 연간 목표로 제시했고, 에너지·전력산업 패러다임 전환기 수소연료전지 역할 강화를 통한 시장 확대, 지속가능한 성장과 혁신을 위한 협력 체계 구축 등 2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배출권거래제 대응법이 연료전지 업계 화두될 것” < 실시간 기사 < 연료전지 < 뉴스 < 기사본문 - 수소뉴스

출처 : 수소뉴스(http://www.h2news.co.kr)

 

“배출권거래제 대응법이 연료전지 업계 화두될 것” - 수소뉴스

한국수소연료전지산업협회 ‘제3차 정기총회’[수소뉴스 = 한상원 기자]연료전지가 더 이상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어려운 상황 속에서 앞으로 더 주목받을 배출권거래제를 업계가 어떤 식으로

www.h2news.co.kr

 

Posted by Morning lark
, |

Saudi Arabian energy major Aramco has completed the acquisition of a 50% equity interest in Blue Hydrogen Industrial Gases Company (BHIG), a subsidiary of Air Products Qudra (APQ), a joint venture of U.S.-based Air Products and Saudi Arabian Qudra Energy.

As disclosed, BHIG targets the production of hydrogen, including lower-carbon hydrogen from natural gas, also referred to as “blue hydrogen,” through the capture and storage of carbon dioxide. The company is expected to commence commercial operations to produce blue hydrogen in coordination with Aramco’s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activities in Jubail, Saudi Arabia.

Ashraf Al Ghazzawi, Aramco’s Executive Vice President of Strategy & Corporate Development, commented: “Aramco’s investment in BHIG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hydrogen network in the Kingdom of Saudi Arabia’s Eastern Province. This network, along with our CCS hub in Jubail, can help us capitalize on emerging opportunities both domestically and globally to reduce carbon emissions, support growth, and diversify our energy portfolio.”

Ahmed Hababou, Air Products Qudra’s Chairman, claimed that this joint venture is “another example of the steps Aramco and Air Products Qudra are taking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robust hydrogen network in the Kingdom’s Eastern Province,” and Mohammad Abunayyan, Air Products Qudra’s Vice-Chairman, expressed pride in this “strategic partnership focused on generating lower-carbon intensity energy solutions guided by the Kingdom’s Vision 2030.”

To remind, Aramco signed definitive agreements to acquire an equity interest in BHIG in July 2024.

The energy major is said to be focused on investing in new lower-carbon technologies with the potential to achieve emission reductions. The focus areas, reportedly, include CCS, greenhouse gas emissions, energy efficiency, nature-based climate solutions, digital sustainability, hydrogen, ammonia and synthetic fuels.

Aramco completes acquisition of 50% stake in Air Products Qudra’s hydrogen business - Offshore Energy

 

Aramco completes acquisition of 50% stake in Air Products Qudra’s hydrogen business

Aramco has completed the acquisition of a 50% equity interest in Blue Hydrogen Industrial Gases Company (BHIG), a subsidiary of Air Products Qudra (APQ).

www.offshore-energy.biz

 

Posted by Morning lark
, |

삼성E&A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협력하여 고온 수전해 설비 실증사업의 첫 단계를 시작했다.

지난 24일 삼성E&A는 KIST와 함께 '160kW 고온 수전해(SOEC) 핫박스 실증 착수식'을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착수식은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KIST 청정수소협력허브센터에서 열렸으며, 삼성E&A의 남궁 홍 사장과 KIST 오상록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실증사업 착수는 수소법 제정 이후 국내에서 최초로 진행되는 고온 수전해 실증 사업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 삼성E&A와 KIST는 지난해 2월 공동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 협업을 시작했으며, 7월에는 수전해 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소를 설립했다. 이후 고온 수전해(SOEC) 스택 평가와 실증 설비 구축을 진행하며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이어왔다. 특히, 지난해 12월 규제 샌드박스 승인을 얻어 기술 검증을 시작했고, 이번 실증 착수에 이르게 되었다.

실증 설비는 산업 규모 수전해 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사전 평가를 목적으로 소규모로 설계되었으며, 고온에서 작동하는 SOEC 기술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검증하는 데 중점을 둔다.

삼성E&A는 다수의 프로젝트 경험과 혁신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KIST의 고온 수전해 기술 연구 역량을 결합해 이번 실증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삼성E&A 관계자는 “이번 협력은 고온 수전해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민관 협력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며,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얻은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수소 경제 시대의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E&A, KIST와 고온 수전해 설비 실증사업 착수 - Korea IT Times

Posted by Morning lark
, |

名古屋大学らは高効率かつ実用的な水分解光触媒反応システムを開発した

 名古屋大学は2025年3月11日、信州大学や東京大学、山東大学との共同研究で、高効率かつ実用的な水分解光触媒反応システムを開発したと発表した。同研究は、名古屋大学大学院工学研究科 准教授の王謙(オウケン)氏、特任助教の呉亜強(ウヤジャン)氏、博士前期課程学生の櫻井拓弥氏らの研究グループや、信州大学/東京大学 教授の堂免一成氏、山東大学 教授の王 朋(オウポン)氏らの研究グループが務めた。

同研究の概要

 太陽光と光触媒を利用した水分解反応は、持続可能なグリーン水素製造技術として期待されている。しかし、従来の技術では、「光触媒の反応効率の低さ」「水素と酸素が混在することによる逆反応」「生成ガスの分離の必要性」といった課題があり、実用化の大きな障壁となっていた。

 この解決策として、今回の研究グループは、水素発生セルと酸素発生セルを独立させた設計により、水から水素と酸素を分離して生成する光触媒システムを開発した。水素発生用セルには、セレン化モリブデン[MOSe2]を担持したハロゲン化ペロブスカイト[CH(NH2)2PbBr3-xIx)]光触媒を、酸素発生セルにはニッケル―鉄層状複水酸化物[NiFe-LDH]をコーティングしたバナジン酸ビスマス[BiVO4]を使用。同システムではこれらのセル間の電子移動を、I3-/I-電子伝達材を介して促進させることで、太陽光エネルギー変換効率(STH)で2.47%を実現することに成功した。

水素発生と酸素発生を分離したZスキーム型水分解反応システムのイメージ図[クリックで拡大] 出所:名古屋大学

 さらに、このシステムをスケールアップした692.5cm2の屋外実験システムでは、平均1.21%のSTHを1週間維持することを実現。具体的には、アクリル基板上にペロブスカイト光触媒を固定化し、NiFe-LDH/BiVO4//CCシステムと統合したパネル型リアクターを作製。また、屋外での実証実験として、5つのリアクター(692.5cm2)を組み込んだシステムの連続運転を太陽光の下で1週間実施したところ、水から水素と酸素を安定的に分離生産でき、システム全体では、STHが平均1.21%という成果が得られた。

(a)パネル型リアクターの拡大図。上が水素発生セル、下が酸素発生セル。(b)屋外実験モジュールの外観、(c)午前11時~午後2時を1サイクルとした場合の水素と酸素の収率およびSTH値[クリックで拡大] 出所:名古屋大学

 なお、これまでのZスキーム型光触媒システムは、電子伝達材の副反応と水分解反応が競合し、水素への変換効率が制限されることや、同じセル内で水素と酸素が生成されるため効率が低下するといった問題があった。

 今回のシステムはこれらの課題を解消する設計になっており、屋外実証実験の結果から大規模化のポテンシャルも高いと考えられる。

高効率で実用的な光触媒反応システムを開発 水素と酸素の発生セルを独立:研究開発の最前線 - MONOist

 

https://monoist.itmedia.co.jp/mn/articles/2503/24/news040.html

 

monoist.itmedia.co.jp

 

Posted by Morning la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