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orning lark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652)
Fuel Cell (827)
New Energy (712)
Energy Storage (6)
New Biz Item (2)
Total
Today
Yesterday

Saudi Arabia’s NEOM Green Hydrogen Plant launches mass recruitment drive.

 

NEOM Green Hydrogen Company (NGHC) has initiated a major recruitment campaign for its world-leading green hydrogen plant in Saudi Arabia’s futuristic city NEOM, as the project moves closer to its operational phase.

 

The $8.4 billion facility, set to be the world’s largest green hydrogen production plant, is progressing on schedule for full operations by the end of 2026. The project aims to produce up to 600 tonnes of carbon-free hydrogen daily, potentially eliminating five million tonnes of CO2 emissions annually.

 

Wesam Alghamdi, CEO of NGHC, highlighted the project’s alignment with Saudi Vision 2030, stating:

 

By bringing together top talent from Saudi Arabia and around the world, we are building a skilled team to deliver the world’s largest green hydrogen plant and kick off operations, setting the stage for a cleaner and more sustainable energy future.

 

Recruitment drive attracts thousands

 

NGHC’s recent virtual career fair saw over 9,000 registrations, indicating strong interest in the project. The company is seeking talent across various functions, including Corporate, EHSS, Risk, Operations & Maintenance, Finance, and IT & Cyber Security.

 

As of early August 2024, 16 percent of NGHC’s workforce is female, and 43 percent are Saudi nationals. The company aims to create over 300 direct jobs in NEOM when fully operational by the end of 2026.

 

Alghamdi added:

 

“We are committed to working closely with universities in the Kingdom to encourage young people to take up roles in our exciting industry,”

 

Project details and global impact

 

The green hydrogen plant, an equal joint venture between ACWA Power, Air Products, and NEOM, will be located in NEOM’s OXAGON. It will integrate up to 4GW of solar and wind energy, with around 5.6 million solar panels and over 250 wind turbines powering 2.2GW of electrolysers.

 

Producing 600 tonnes of green hydrogen daily is enough to power around 20,000 hydrogen-fuelled buses and trucks around the world and will save almost five million metric tonnes of carbon dioxide per year compared to diesel trucks or buses.

 

The green hydrogen will be exported in the form of green ammonia by Air Products, the exclusive 30-year off-taker, for use in hard-to-abate sectors including heavy industry and transportation.

 

Saudi Arabia’s clean energy transition

 

This project is a significant step in Saudi Arabia’s pivot towards renewable energy, supporting the Kingdom’s pledge to generate at least 50 percent of its power from renewable sources by 2030 as part of the Saudi Green Initiative.

 

As NGHC continues its recruitment drive and project development, it positions itself not only as a key player in Saudi Arabia’s energy transition but also as a potential global leader in the green hydrogen sector.

 

Source: Hydrogencentral

Posted by Morning lark
, |

China – Hydrogen electrolyzers latest star export item.

 

China, celebrated for its strides in sectors such as electric vehicles, lithium-ion batteries and photovoltaic technologies, is now on the brink of embracing yet another major potential export product in the realm of new energy products — hydrogen electrolyzers.

 

Hydrogen electrolyzers use electricity to split water into hydrogen and oxygen. For decades, the hydrogen electrolyzer, a technology entrenched in China’s industrial landscape, primarily served domestic sectors like glassmaking and steel, with only limited export orders.

 

However, as the global appetite for green hydrogen escalates, a transformative shift is underway. Chinese hydrogen electrolyzer exports are experiencing an unprecedented surge, propelled by booming demand for sustainable solutions in Europe and the Middle East, catapulting this once niche equipment onto the international stage, executives and analysts said.

 

Beijing Peric Hydrogen Technologies Co, a manufacturer of hydrogen electrolyzers, has seen its export revenue double for three consecutive years due to surging global demand, said Li Haipeng, the company’s marketing director.

 

The company’s export value of hydrogen electrolyzers reached approximately 70 million yuan ($9.8 million) in 2021, followed by a surge to around 170 million yuan in 2022 and a further jump to nearly 300 million yuan in 2023, Li said, adding that over the next 10 years, order volumes are expected to be over 10 times current levels.

 

Shandong Saikesaisi Hydrogen Energy Co expects its overseas revenue to overtake domestic performance by the end of this year. Looking beyond the immediate horizon, a bold prediction emerges as a potential reality — a growth surge of several magnitudes in the entire foreign market following a five-year development period.

 

Rewind the clock two decades and it would have been hard to imagine the vibrant export situation that China’s hydrogen electrolyzer industry now commands, Li said, as the international market size was only around 500-600 million yuan back then.

 

The explosive growth in China’s hydrogen electrolyzer exports can be traced back to the recent surge in global demand for green hydrogen, according to industry experts.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recently said that amid pathways to realizing net-zero emissions by 2050, global hydrogen demand is projected to climb to 528 million metric tons by the middle of the century.

 

In particular, the report said that around 60 percent of this hydrogen will be produced through water electrolysis, accounting for nearly 20 percent of the world’s total electricity supply.

 

As countries and industries increasingly seek to decarbonize their operations, the need for high-performance, cost-effective hydrogen production solutions has skyrocketed — and China’s electrolyzer manufacturers have been quick to capitalize on this global trend, said Yu Zhuoping, director of the expert committee for China Hydrogen Alliance.

 

To accommodate more overseas orders, Chinese electrolyzer manufacturers are proactively scaling up their production capabilities.

 

Source:  Hydrogencentral

Posted by Morning lark
, |

 

Establishing US center of excellence through a transfer of technology and localization of assembly to enhance customer service and ensure faster delivery.


MILAN, ITALY-- Industrie De Nora, an Italian multinational company listed on the Euronext Milan, specialized in sustainable electrochemical technologies and in the emerging green hydrogen industry, is launching a regional version of its CECHLO-MS 200 ion exchange membrane electrolysis (IEM) technology for the North American market. The initiative will streamline procurement and strengthen local support for municipal and industrial partners using CECHLO™-MS systems for on-site chlorine generation, a proven solution that enhances sustainability and future proofs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operations against chemical market volatility.


Backed by 100 years of expertise in electrochemistry, CECHLO-MS 200 systems were introduced in 2021 and quickly adopted into projects in Hong Kong, Korea and Australia. Since then, the company has continuously used customer feedback to standardize the design and introduce enhancements that optimize footprint and ease of use. The plug-and-play, skid-mounted MS 200 systems leverage CECHLO chlor-alkali process technology already installed at 450 sites. These systems feature proprietary DSA® electrodes and high efficiency ion exchange membranes, which are trusted to support approximately 70 percent of global chlorine production. The US launch will take place in October at WEFTEC, a leading water quality event hosted by the Water Environment Foundation (WEF).

 

CECHLO-MS 200 is an on-site electrolyzer that can safely produce, according to customers’ requirement, either high strength, 12.5 percent sodium hypochlorite or chlorine gas and caustic soda (sodium hydroxide) using just three simple and common consumables – salt, water and electricity. The technology mitigates risks associated with delivering and storing hazardous chemicals. CECHLO-MS 200 modular systems generate from 250 to 3,000 kilograms per day of free chlorine and treat up to 1 million cubic meters per day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no unwanted byproducts, offering maximum efficiency in an ESG-conscious solution.


Modular CECHLO-MS systems come fully automated with remote monitoring capabilities that do not require special training or certifications. Their flexible design enables customers to easily curtail production output, adding capacity without increasing footprint and offering decentralized operations for fresh disinfectant at a reduced cost. Options for demonstration and test agreements will be available in the US market as an introduction to the technology, allowing field demonstration of its competitive Levelized Cost of Operation (LCO).

 

Product specifications and case studies will be showcased during a WEFTEC presentation at De Nora booth 2616 on Tuesday, Oct. 8 at 11:30 a.m.


About De Nora


Industrie De Nora is an Italian multinational company listed on the Euronext Milan stock exchange, specializing in electrochemistry, a leader in sustainable technologies, and has a pivotal role in the industrial green hydrogen production chain. The Company has a portfolio of products and systems to optimize the energy efficiency of critical industrial electrochemical processes and a range of products and solutions for water treatment. Globally, Industrie De Nora is the world's largest supplier of activated electrodes (serving a broad portfolio of customers operating in the fields of chlorine and caustic soda production, components for electronics, and non-ferrous metal refining). Industrie De Nora is also among the world's leading suppliers of water filtration and disinfection technologies (for the industrial and municipal sectors) and the world's leading swimming pool disinfection components supplier. Leveraging its well-established electrochemical knowledge, proven manufacturing capability, and a supply chain established over the years, the Company has developed and qualified a portfolio of electrodes and components to produce hydrogen through the electrolysis of water, which is critical for the energy transition. In this sector, the company also holds 25.85% of thyssenkrupp nucera AG &Co. KGaA, a joint venture established with the thyssenkrupp group.

 

Founded in 1923, Industrie De Nora generated total revenues of around EUR 856 million and an Adjusted EBITDA of approx. EUR 171 million in 2023. The Company's growth process has developed organically through continued penetration of new markets and applications and through acquisitions in the U.S., Asia, and Europe. De Nora’s continuous innovation drives its growth, represented by its evolving intellectual property portfolio, which currently includes more than 280 patent families with more than 2,800 territorial extensions. The De Nora family controls the Group, which owns 53.3% of the Company’s share capital. Snam S.p.A. is a minority shareholder with about 21.6% of the capital.
 

 

Source: Fuelcellsworks

Posted by Morning lark
, |

월간수소경제 = 박상우 기자 | HD현대에겐 꿈이 있다. 바로 ‘수소 드림(Dream)’이다.

HD현대는 2021년 3월 컨퍼런스콜 형식의 온라인 기업 설명회에서 그룹의 미래성장 계획 중 하나인 ‘수소 드림 2030 로드맵’을 발표했다.

수소 드림 2030 로드맵의 핵심은 오는 2030년까지 각 계열사의 인프라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육상과 해상에서 생산, 운송, 저장, 활용에 이르는 ‘수소밸류체인’을 구축하는 것이다.

HD현대의 조선‧해양 부문 중간 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은 수소밸류체인 구축에서 가장 중요한 생산, 공급, 운송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HD한국조선해양은 세계 최고 수준의 조선‧해양 플랜트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상 플랜트 발전과 수전해 기술을 활용한 그린수소 사업을 추진하고 △육상발전 △선박용 발전‧추진시스템 △연료전지 추진선, 수소운반선 등 친환경 선박을 개발하는데 박차를 가한다.

이에 HD한국조선해양은 차세대 에너지 기술로 낙점한 연료전지 기술을 고도화하기로 하고 대대적인 투자에 나섰다.


HD현대의 수소 드림 2030 로드맵 인포그래픽.(그림=HD현대)
지난 8월 21일 HD한국조선해양은 수소연료전지 전문업체인 ‘HD하이드로젠 주식회사’를 신규 설립하고 자회사로 편입했다고 공시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수소연료전지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자회사를 설립하기로 하고 지난 7월 25일 이사회를 열어 HD하이드로젠 출자를 승인했다.

출자금 규모는 1,400억 원이며 대표이사는 김성준 HD한국조선해양 대표이사가 겸직한다. 김성준 대표이사는 HD한국조선해양에서 미래기술연구원장, 유럽연구센터 법인장, HD한국조선해양 및 HD현대중공업 기획‧시너지추진 부문장 등을 역임하다 지난 4월 HD한국조선해양 대표이사에 선임됐다.

그러나 조직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대표이사는 확정됐으나 조직은 아직 구성하지 않았다”며 “언제 조직을 확정할지는 알 수 없다”라고 말했다.

HD하이드로젠은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를 중심으로 연료전지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SOFC가 차세대 연료전지로 주목받고 있는 만큼 관련 시장을 먼저 선점하려는 목적으로 이같이 진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SOFC는 세라믹과 같은 고체산화물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로, 전해질이 고체여서 이온을 통과시키기 위해 고온(600~1,000℃)에서 작동시키는데 이때 전기와 열이 발생한다. 이 열을 건물의 난방과 급수용으로 활용하거나 선박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연료사용량을 절감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수소, 천연가스, 바이오가스, 메탄올 등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고 고체산화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명과 내구성이 길다. 또 소형화가 가능해 도심형 분산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SOFC가 차세대 연료전지로 주목받는 것이다.

다만 고온에서 작동하는 특성 때문에 최적의 작동 조건까지 도달하는데 일정 시간이 필요한데다 고온을 견딜 수 있는 특수재료를 사용하고 제조 공정이 복잡해 다른 연료전지보다 가격이 비싸다. 즉 난이도가 매우 높은 기술이다.

업계에서는 SOFC 글로벌 시장 규모가 2023년 16억7,584만 달러(약 2조 원)에서 연평균 29.3%씩 성장해 2030년 104억3,341만 달러(약 14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은 SOFC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대대적인 투자를 단행했다.

지난해 10월 HD한국조선해양은 에스토니아의 SOFC 전문기업인 엘코젠(Elcogen AS)과 4,500만 유로(약 670억 원)를 투자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2001년에 설립된 엘코젠은 SOFC 핵심부품인 셀과 스택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엘코젠의 연료전지 기술은 운전온도와 전력 밀도 측면에서 현재 개발된 SOFC 중 가장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기선 HD현대그룹 부회장(왼쪽)과 엔 운푸 엘코젠 창업자가 지난해 11월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투자계약식에서 악수를 하고 있다.(사진=엘코젠)
지난 8월 26일에는 핀란드의 연료전지 전문업체인 컨비온(Convion)을 전격 인수했다. 투자금액은 7,200만 유로(약 1,067억 원)다. 핀란드 헬싱키에 있는 컨비온은 2012년에 설립된 SOFC 및 고체산화물수전해전지(SOEC) 전문기업으로, 상업용 SOFC 발전 시스템 기술 및 공급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은 투트랙 전략으로 연료전지 시장 선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연료전지 사업 총괄 및 국내 발전용 및 선박용 사업은 HD하이드로젠이, 연료전지 핵심기술 개발과 유럽 사업은 컨비온이 각각 맡는다.

이를 통해 우선 SOFC 기반 육상발전시스템을 개발하고 향후 선박용 발전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라는 게 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의 설명이다. 또 HD현대일렉트릭, HD현대사이트솔루션 등 연료전지를 활용한 사업을 추진하는 HD현대 내 계열사와의 협력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전력기기 및 에너지솔루션을 제공하는 HD현대일렉트릭은 에너지솔루션 엔지니어링 역량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발전용 연료전지 패키지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신사업 모델 발굴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연료전지 발전이 차세대 전력망으로 주목받고 있는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의 핵심구성요소가 될 것으로 보고 지속적인 사업모델 개발을 추진해 친환경 발전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지게차, 굴착기, 휠로더 등 연료전지를 탑재한 건설기계를 개발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최근 수소지게차용 수소충전소가 구축된 고려아연 온산제철소 1공장에 5톤급 수소지게차 4대를 공급했다.


HD현대사이트솔루션이 제작한 5톤급 수소연료전지 지게차.
이 지게차는 지난 2022년 고려아연,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조선대, 한국수소연합 등이 수주한 국책과제인 ‘수소지게차 상용화를 위한 실증기반 신뢰성 검증기술 개발 계획’에 활용된다.

이 지게차엔 현대차 넥쏘에 들어가는 연료전지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된 50kW급 연료전지 파워팩과 2.1kg 용량의 타입4 저장용기 1기가 장착돼 5분 완충으로 5시간 운전할 수 있다.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해당 실증을 바탕으로 오는 2027년에 5톤급 수소지게차를 출시할 계획이다. 또 1.8톤, 3.5톤 등 중소형 수소지게차도 개발하고 있으며 일부 모델은 실증까지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자회사인 HD현대건설기계는 연료전지를 탑재한 15톤급 휠굴착기 개발을 마쳤으며 오는 2026년에 상용화할 방침이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지난 4월 프랑스에서 열린 건설장비 전시회에서 연료전지 휠로더를 공개하기도 했다.

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HD현대는 연료전지와 수전해 기술뿐만 아니라 소형원자로(SMR) 등 미래 에너지원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며 “세계 최고의 청정에너지 기술로 미래 친환경 선박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수소 드림’ 꾸는 HD한국조선해양, 연료전지 몸집 키운다 < 시장 < NEWS < 기사본문 - 월간수소경제 (h2news.kr)
출처 : 월간수소경제(https://www.h2news.kr)

 

‘수소 드림’ 꾸는 HD한국조선해양, 연료전지 몸집 키운다

월간수소경제 = 박상우 기자 | HD현대에겐 꿈이 있다. 바로 ‘수소 드림(Dream)’이다.HD현대는 2021년 3월 컨퍼런스콜 형식의 온라인 기업 설명회에서 그룹의 미래성장 계획 중 하나인 ‘수소 드림 2

www.h2news.kr

 

Posted by Morning lark
, |

자료출처 KOTRA해외시장뉴스

일 자 2024.9.6

이집트는 2040년까지 전세계 그린수소의 8% 생산을 목표로 해외투자유치 순항 중

이집트 그린수소시장 확대 일로, 전해조 도입 단계에 다양한 전해조 도입 중

 

이집트의 그린수소 목표

 

전세계 국가들은 탄소제로 실현을 위해 궁극적인 청정 에너지원인 그린수소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이집트도 2021년부터 풍부한 태양과 풍력자원, 넓은 사막 등으 그린 수소를 위한 최적 환경과 EU 및 해운업계의 높은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를 활용하여 그린수소의 허브가 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구체적으로 2022년 12월, COP27 개최를 앞두고 2040년까지 전세계 그린수소의 8%를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즉 2030년까지 연간 320만 톤의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2040년까지 920만 톤을 생산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2040년까지 180억 달러의 GDP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산업 육성을 위해 2024년 2월 그린수소 인센티브 등 법제도를 마련하고 해외기업의 투자유치를 적극 독려하고 있고 있어 최근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이집트 그린수소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자료: The Egyptian Cabinet]

 

그린수소 시장 환경 해외투자동향

 

이집트 재무부에 따르면 이집트 정부는 올해 2월 글로벌 기업들과 7건의 MOU를 체결하였다. 이 프로젝트들은 10년 간 그린수소 및 재생 에너지 분야에 410억 달러 규모의 투자이다. 그린수소 프로젝트는 수에즈운하경제구역을 중심으로 초기 시범 단계에 120억 달러가 투자되었고, 이후 290억 달러가 추가 투자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글로벌 기업들은 영국의 Pash Global, 스위스의 Smart Energy, 프랑스 Meridiam 등이 참여하고 있고, 유럽 이외 국가에서는 중국건축공정총공사 CSCEC, 한국의 SK에코플랜트, 캐나다 Amm Power, 홍콩의 United Energy Group(UEG) 등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2024년 6월 29~30일간 이집트에서 개최된 '이집트-EU Investment Conference'에서 수에즈운하경제구역(SCZONE) 그린수소 프로젝트에 총 330억 달러 규모의 4건의 계약을 체결하였다. 즉 △아인소크나(Ain Sckhna) 항에 영국 BP 등 140억 달러 투자, △ 아인소크나에 프랑스 볼탈리아 등이 34억 6천만 달러 투자 △이스트 포트사이드에 독일 DAI 인프라 등이 참여하는 110억 달러 규모 투자, △ SCzone 산업단지에 UAE의 OCIOR Energy 등이 42억 5000만 달러 투자 계약을 체결하였다.

 

또한 2024년 6월 29일, 노르웨이 신재생 에너지 전문기업인 Scatec는 이집트 그린수소 프로젝트와 관련 Fertiglobe와 20년의 그린 암모니아 오프테이크(off-Take) 계약을 체결했다. Scatec은 아부다비 소재 비표 생산기업인 Fertiglobe와 이집트 국부펀드(TSFE), 이집트 건설회사인 Orascom, 이집트 송전기업(EETC)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그린수소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었고, 최근 Fertiglobe가 독일의 첫 H2Global 그린수소 경매에서 경쟁적인 가격을 제시하여 낙찰을 받음으로써 향후 독일 등 유럽에 안정적으로 그린수소를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H2Global의 참여 결과로 이집트의 그린수소가 경쟁력이 있다는 평가를 받게 되면서 이집트 그린수소 산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해조 시장 동향

 

[자료: 수에즈 운하 경제 구역(SCZONE)]

 

유럽(노르웨이, 스위스, 영국, 프랑스 등), 중국 등으로부터의 적극적인 해외투자유치로 그린수소산업이 활성화되면서 그린수소 추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청정 에너지인 그린수소는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어진다. 그린수소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수전해 기술이므로 전해조는 그린수소 산업의 핵심 장비라 할 수 있다. 이집트의 그린 수소 산업이 본격화 되면서 전해조 시장이 열리고 있다. 전해조는 크게 알칼리 전해조와 PEM(양성자교환막) 전해조, SOEC(고체산화물) 전해조로 구분되어진다. 이집트에서는 3가지 유형의 전해조가 경쟁하며 시장을 형성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Hydrogen Insight Journal에 따르면, 평균 시스템 비용(플랜트의 스택 및 잔여량 포함)은 현재 중국산 알칼리 전해조의 경우 kw당 600달러 중반 수준인 반면, 유럽이나 미국의 전해조는 약 2500달러 수준으로 큰 가격 차이를 보인다. 이집트 바이어들은 따르면, 알칼리 전해조가 초기 비용이 가장 저렴하나 PEM이나 SOEC 전해조가 효율성이 더 높고 가동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으며 고온에서도 작동하는 등 장점이 많아 선호도가 높다고 한다. 이집트는 통상 가격 민감도가 높은 시장이지만, 그린수소 분야의 투자 진출기업이 유럽기업들이 많아 PEM 전해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SACTEC 컨소시엄이 건설 중인 100MW 플랜트에서도 미국 Plug Power사의 PEM 전해조를 사용할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반면 한국의 SK 에코플랜트도 중국국영건설사인 중국건축공정총공사(CSCEC)화 기업과 함께 이집트 그린수소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데, 이 프로젝트에서는 수전해에 블룸에너지의 고체산화물(SOEC) 전해조를 비롯한 250MW 규모의 수전해기를 사용할 예정이다.

 

이집트 현지에는 아직까지 전해조 제조사가 전무한 바, 전체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현재 시장 규모가 수입 규모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이집트에 진출한 그린수소 기업들의 전해조 제조에도 관심이 많아 향후 현지 생산 가능성이 높다.

 

<전세계 주요 전해조 제조업체 리스트>

(단위 : MW)

NO.
제조업체
국가
전해조 생산량
NO.
제조사
국가
전해조 생산량
1
LONGi Hydrogen Technology Co., Ltd.
중국
5,000
9
Thyssenkrupp Nucera AG & Co. KGaA
독일
1,000
2
Plug Power, Inc.
미국
2,500
10
John Cockerill S.A.
프랑스
1,000
3
Hygreen Energy
중국
2,000
11
Cummins, Inc.
미국
1,000
4
Bloom Energy Corporation
미국
2,000
12
Nel ASA
노르웨이
500
5
ITM Power Plc
영국
1,500
13
HydrogenPro ASA
노르웨이
500
6
PERIC Hydrogen Technologies Co., Ltd.
중국
1,500
14
Sunfire GmbH
독일
500
7
McPhy Energy S.A.
프랑스
1,300
15
Ohmium International, Inc.
인도
500
8
Electric Hydrogen Co.
미국
1,200
-
-
-
-

* 전해조 생산량 기준 순위

[자료 : Blackridge Research & Consulting]

 

시장 규모 및 수입 동향

 

IHS Markit의 Connect(CAPMAS)에 따르면 이집트 전해조 수입 규모는 2022년 206만 달러에서 2023년 약 36만 3000달러로 크게 감소했다가 2024년 1분기에 364만 2000달러로 급증하면서 2022년 연간 수입액을 크게 넘어섰다.

 

2023년은 외환위기 등으로 관련 프로젝트가 주춤했다가 2024년 들어 활성화되면서 성장률이 급등세이다. 2024년 수입이 본격화 되면서 증가율이 9,650%를 보였고, 이는 Fortune Businss Ingisht가 발표한 2029년까지의 전세계 평균인 5.39%를 크게 상회한 수치이다. 이집트의 전해조 시장은 진입 단계라 할 수 있으며, 최근 투자 유치된 다수의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보면 향후 지속적으로 높은 성장률이 기대된다.

 

국별로 보면, 2024년 1분기 기준 일본, 터키, 이탈리아, 중국, 순으로 일본이 올해 수출국 순위 1위를 기록하며 71%의 점유하고 있다. 2022~2023년에는 중국이 60.9%, 52.3%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으나, 올해는 3위에 자리하고 있고 반면 터키가 2023년에 전년 대비 310.4% 성장, 2024년 1분기 3,410.0% 증가율을 보이며 2위로 올라섰다.

 

<최근 3년간 전해조(HS Code 85433)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 수입국별 수입동향>

(단위: US$ 천, %, %)

No.
국가
2022년
2023년
2024(1-3월)
금액
증감율
점유율
금액
증감율
점유율
금액
증감율
점유율
전세계
2,060
126.3
100.0
363
-82.4
100.0
3,642
9,650.2
100.0
1
일본
2,586
71.0
2
터키
11
-62.6
0.6
47
310.4
12.8
466
3,410.0
12.8
3
이탈리아
4
-90.0
0.2
11
150.2
2.9
395
10.8
4
중국
1,255
138.0
60.9
190
-84.9
52.3
195
5.4
5
독일
139
816.0
6.8
21
-85.1
5.7
-100.0
6
슬로베니아
8
0.4
6
-18.9
1.8
-100.0
7
튀니지
69
31,891.2
19.1
8
체코
12
3.3
9
대만
-100.0
4
1.0
10
영국
-100.0
4
1.0
16
한국

* HS Code 85433 : 전기도금, 전기분해 또는 전기영동용 전기기계 및 장치

[자료 : IHS Markit(이전에는 GTA로 알려졌던 S&P Global의 Connect의 일부)]

 

수입관세 및 규제

 

전해조(HSCode 854330)에 대한 수입관세는 5%가 적용되며, 수입 시 14%의 VAT가 추가된다. 단 이집트의 FTA를 체결국인 EU, EFTA, EU, 터키, 영국, MERCOSUR로부터의 수입에는 관세가 면제된다. 실제로는 그린 인센티브 법을 통해 통해 그린수소 생산시설에 쓰이는 각종 물품(기계, 설비 등)과 수출용 수소 및 암모니아 생산을 위해 수입되는 중간재에 대해서는 관세 및 부과세 면제를 해 주는 등 다양한 혜택을 주고 있다.

 

바이어 인터뷰

 

이집트의 수소 및 전해조 시장 특징 및 우리기업 진출 가능성에 대해 물었다.

 

우선 이집트수소협회 CEO인 K씨에게 이집트의 전해조 시장 특징 및 한국기업이 진출 유망 분야에 대해 물었다.

 

한국이 첨단 기술 역량, 탄탄한 산업 기반, 재생에너지에 대한 강한 의지가 있는 국가라고 말하며 그린수소 관련 제품을 개발하여 이집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집트에서는 세 가지 유형의 전해조 중 PEM(양성자교환막)과 고체산화물 전해조 관련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라고 한다. 두 전해조 유형 모두 효율성이 높고 가동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고 고온에서 작동되는 등 장점이 많아 기술력 있는 한국기업이 진출하기에 적합하다고 한다. 특히 PEM 전해조는 연구가 활발한 반면 고체 산화물 전해조의 경우 아직까지 개발 중이므로 한국기업 진출에 유망하다고 말한다. 또한, 한국기업이 이집트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정부 및 민간기업, 국제기구와 협력하여 PPP(Public-Private Partnership)를 통한 위험 분산과, 자금조달이 필요하고 전문지식 공유가 필수라고 한다.

 

이집트 수처리 및 담수화 분야 전문기업인 Globoil사 전무이사인 A씨에게 한국기업과의 협력 가능한 영역에 대해 물었다.

 

A 전무는 한국이 다양한 전략적 이니셔티브와 협력을 통해 이집트의 그린수소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전한다. 우선은 현대건설, SK 에코 플랜트(주), EM KOREA CO., LTD., 라이트브릿지 등 한국에는 그린수소 생산에 필수적인 첨단 전해조 기술을 보유한 회사가 다수 있고, 이런 기업들이 이집트에 진출하여 현지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전기분해' 기술 이전이 가능하다면, 이집트의 그린수소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두번째 한국기업은 이집트 그린수소 프로젝트에 진출 시, 이집트 기업과 합작투자를 추진이 바람직하고, 분야는 수소 생산시설, 저장 인프라 및 유통 네트워크 개발이 포함될 수 있다고 전한다. 이집트 진출을 희망하는 외국기업들은 Scatec의 Fertiglobe, 이집트 국부펀드 및 Orascom 건설 컨소시엄 사례와 같이 현지 기업과 합작 투자 형태로 진출하는 것이 성공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시사점

 

지구 온난화와 급격한 기후 변화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높아지면서 이집트 정부가 추진하는 청정 에너지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이집트의 그린수소 전기분해는 재생에너지와 지속 가능한 경제로 산업을 전환하려는 정부의 노력을 반영한 신산업 분야이다. 이집트의 유리한 지리적 위치,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 정부의 적극적인 에너지 정책으로 인해 그린수소의 잠재적 허브로의 도약이 순탄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집트의 그린 허브의 꿈이 현실화될수록 전기분해(수전해) 시설 투자 및 전해조 수입 수요 증가가 불가피해 보인다. 특히 그린 수소 산업이 활성화되는 도입 단계인 만큼 다양한 전해조가 도입되고 있는 상황에 우리기업에게도 진출 기회가 될 수 있다.

 

또한 이집트는 전기분해를 통해 생산된 수소는 운송, 산업 운영, 발전 및 에너지 저장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며, 특히 수에즈 운하를 통한 그린 운송에 대한 관심도 높은 바, 그린수소 분야의 우리기업들은 그린 운송도 관심있게 모니터링 하고 진출 기회를 찾아야 할 것이다.

 

 

자료: Daily News Egypt, Ahram, Hydrogen Insight, Blackridge Research, Scatec 홈페이지, The Egyptian Cabinet, 수에즈운하경제구역청, 이집트 통계청, 이집트 관세청, 그 외 KOTRA 카이로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Posted by Morning la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