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orning lark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881)
Fuel Cell (850)
New Energy (901)
Energy Storage (6)
New Biz Item (2)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4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 서부산 SK V1 지식산업센터에 국내 최초 중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적용 ∙∙∙ 면적 기준 국내 최대규모 제로에너지건축물 예비인증 사례
- 제로에너지건축물 달성 최적 솔루션 ’연료전지’ ∙∙∙ 기존 태양광 등 분산발전원 대비 ‘高효율小면적’

SK에코플랜트는 현재 시공중인 ‘서부산 SK V1 지식산업센터’가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이하 ZEB) 예비인증을 취득했다고 28일 밝혔다.

ZEB 인증제도는 2014년 신축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정부가 수립한 ‘녹색건축물 기본계획’ 정책에 따라 건축물의 에너지자립률을 인증하는 제도로,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 중이다. 정책 로드맵에 따라 2020년부터 신축 공공 건축물의 ZEB 인증 취득이 의무화됐으며, 내년부터는 신축 민간 건축물에도 의무화가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서부산 SK V1 지식산업센터는 국내 최초로 일반건축물(비주거)에 중대형(10kW 초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를 도입해 ZEB 예비인증 획득에 성공했다. 연료전지 660kW 및 태양광발전설비 103.6kW을 복합도입해 에너지자립률 24.9%를 인증 받았으며 이는 ZEB 5등급에 해당한다.(에너지자립률 20~40%) 인증 대상 건축물 연면적은 약 16만5천m2로 일반건축물 ZEB 인증 사례 중 역대 최대규모다. 연료전지와 태양광을 통해 생산된 전기는 건물 공용전력 용도로 사용되며, 연료전지 가동 시 발생하는 폐열도 탑재된 열회수모듈을 통해 급탕 용도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번 ZEB 인증 취득의 핵심인 중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해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고효율저탄소 신재생 분산발전원이다. 기존 ZEB 인증에 주로 활용되는 태양광BIPV(건물일체형 태양광시스템)∙소형 연료전지 등의 경우 연면적 약 7만m2이하 규모의 중소형 건축물에 효과적이며, 이를 활용한 플러스제로에너지빌딩(에너지자립률 100% 초과)인증 사례도 있다. 그러나 대형 건축물의 경우 고층 위주로 조성되는 국내 대형 건축물 특성상 기존 분산발전원으로는 설치면적 대비 발전량에서 ZEB 인증에 한계가 있었다. 중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태양광발전설비와 비교했을 때 약 10분의 1 규모 설치면적만 확보돼도 비등한 발전량 확보가 가능해 대형 건축물 ZEB 달성의 최적 솔루션이 될 수 있다.

중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미국 등 해외에서는 이미 도심지 내 업무시설, 주거시설 등 다양한 건축물에 설치운영 중이다. 국내에서도 10kW 이하 소형 연료전지를 활용한 ZEB 인증사례는 있었으나, 중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도입해 인증을 획득한 것은 이번 서부산 SK V1 지식산업센터가 최초다. 이번 인증 사례를 발판삼아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국내 대형 일반건축물 ZEB 인증 시장 선점도 기대된다.

한편 SK에코플랜트는 2018년부터 미국 연료전지 선도기업 블룸에너지와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국내외에서 연료전지 사업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지난 3월 미국 코네티컷주 소재 스탬퍼드 병원 등 의료시설 2곳에 블룸에너지와 협력해 연료전지를 공급 및 설치하기도 했다.

 송영규 SK에코플랜트 에코스페이스BU대표는 “앞으로도 ZEB를 비롯한 사업 전반에 차별화된 솔루션 확보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 것”이라며 “정부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및 순환경제 정책 강화에 적극적으로 부응해 사업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보도자료 (상세) | 미디어센터 | SK에코플랜트 (skecoplant.com)

 

보도자료 (상세) | 미디어센터 | SK에코플랜트

이전 슬라이드 다음 슬라이드 - 서부산 SK V1 지식산업센터에 국내 최초 중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적용 ∙∙∙ 면적 기준 국내 최대규모 제로에너지건축물 예비인증 사례 - 제로에너지건

www.skecoplant.com

 

Posted by Morning lark
, |

UBEは2023年12月18日、トヨタ自動車と共同開発した、燃料電池車用の高圧水素タンクライナー向けポリアミド(ナイロン)6樹脂「UBE NYLON 1218IU(以下、1218IU)」が、トヨタ自動車が発売した新型クラウンの燃料電池車に採用されたと発表した。UBEのナイロン6樹脂がトヨタ自動車の燃料電池車に採用されるのは「MIRAI」に続いて2車種目となる。  1218IUは、クラウンの燃料電池車に搭載される高圧水素タンクの最内層の構成部材(インナーライナー)として使用され、水素が外部に漏れだすことを防止する樹脂ライナーの材料としての厳しい要件をクリアした。ナイロン6樹脂として優れた水素透過防止性能を有するとともに、水素ガスの充填や放出によるタンク温度の急激な変化に対する耐久性や低温環境における耐衝撃性などについても極めて優れた機械的性質を示している。  UBEは、1959年からナイロン6樹脂の製造販売を開始し、グローバルでの重合生産能力は19.8万トン(t)と世界有数の規模を持つ。近年では、より高度化する市場のニーズに対し、エンプラコンポジットメーカーとしてグローバル展開を拡大しており、日本、アジア、欧州、北米の4極体制で計5.3万tのコンポジット生産能力を持ち、製品開発力と安定した品質に基づくソリューション提供型ビジネスが高く評価されている。今後も、エンプラコンポジットの能力増強を図るとともに、多様化する自動車部材の要求特性にマッチした製品の開発に注力していく考えだ。

 

UBEとトヨタが共同開発したナイロン6樹脂が新型クラウンの燃料電池車で採用(MONOist) - Yahoo!ニュース

 

UBEとトヨタが共同開発したナイロン6樹脂が新型クラウンの燃料電池車で採用(MONOist) - Yahoo!ニ

 UBEは2023年12月18日、トヨタ自動車と共同開発した、燃料電池車用の高圧水素タンクライナー向けポリアミド(ナイロン)6樹脂「UBE NYLON 1218IU(以下、1218IU)」が、トヨタ

news.yahoo.co.jp

 

Posted by Morning lark
, |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 방안
[수소뉴스 = 유재준 기자]청정수소 생태계 전환을 가속화하고, 수소산업 육성을 뒷받침할 청정수소 인증제 등 주요 정책이 민관합동 수소경제위원회에서 발표됐다.

정부는 18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위원장) 주재로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청정수소 인증제 운영방안, 수소산업 소부장 육성 전략,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방안,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운영방안 등 총 4개 안건이 상정·논의됐다.

정부는 지난 5차 수소경제위원회(2022.11월)에서 대규모 수소 수요 창출, 청정수소 인프라 및 제도 구축,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새정부 수소경제 정책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이를 토대로 올해 수소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2023.3월)하고, 세계 최초로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개설(2023.6월)하는 한편, 정상회담 계기에 미국·사우디·일본 등 주요국 정부 및 기업과 수소 협력에 합의하는 등 청정수소 생태계 기반 조성과 수소산업 육성을 위해 힘쓰고 있다. 이번 위원회 상정된 안건은 이러한 정책적 노력의 일환이다.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를 통해 발표된 주요 정책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정수소 인증제 운영방안에 따르면 ‘청정수소 인증제’는 수소를 생산·수입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청정수소로 인증하고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제도로, 수소법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다. 이번 운영방안에서는 청정수소 기준을 수소 1㎏당 온실가스 배출량 4㎏ 이하로 설정하는 내용의 청정수소 인증기준과 함께 인증 절차, 인증 추진체계, 연계 지원방안 등이 마련됐다.

청정수소 기준이 제시됨에 따라, 내년에 개설될 청정수소발전입찰시장(CHPS) 등 연관 제도의 차질없는 시행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되며, 기업들의 청정수소 관련 투자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둘째, 수소산업 소부장 육성 전략에 따르면 수소 소재·부품·장비산업 육성을 위해 수전해, 액체수소 운반선, 수소터빈 등 수소산업 10대 분야 40대 핵심품목을 도출하고, 원천기술 확보, 사업화 촉진, 공급망 강화 등을 지원키로 했다.

이를 통해, 2030년 10대 전략분야 소부장 국산화율 80% 달성 및 글로벌 소부장기업 20개사 육성 등 수소산업 소부장 생태계 강화와 기업들의 활발한 해외시장 진출이 기대된다.

셋째, 수소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방안에 따르면 2030년 수소차 30만대 보급, 수소충전소 660기 이상 구축을 목표로 수소버스 등 상용차 중심의 수소차 보급 확대, 액화수소 충전소, 융복합 수소충전소 등 수소충전소 확충, 수소 수요 증가에 따른 수소 수급 대응체계 강화 및 공급 다변화 등 정책방안을 마련했다.

수소차 및 충전 인프라 확충을 통해 수송 부문의 수소 활용 촉진과 더불어 대기질 개선 및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운영방안에 따르면 수전해 기술별 중점연구실(*알칼라인 수전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주관), 한국생산기술연구원・울산과학기술원(참여). *PEM 수전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주관), 한국화학연구원・한국과학기술원(참여)을 구축하고, 중점 연구실 중심으로 기술 국산화를 위한 기초·원천 연구 수행, 기술 신뢰도 확보를 위한 성능평가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가 수소 연구개발(R&D) 역량이 결집되고, 메가와트급(MW급) 대용량 수전해 국산기술 확보 및 청정수소 경제성 확보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사전행사로 국내외 주요 수소기업간 업무협약(3건: 수전해 기술개발·공급망 구축, 액체충전소 구축 협력, 연료전지 부품개발·해외진출) 체결이 진행됐다. 협약을 체결한 LG화학, SK E&S, 효성중공업, 블룸에너지, SK에코플랜트 등 국내외 수요 대기업과 액화수소탱크·전극소재·분리판 등 주요 소부장 분야 국내 대표기업들은 기술개발, 공급망 구축 등을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이를 통해 알칼라인 수전해 시스템 기술 및 액체수소 충전소 핵심 기자재 국산화, 국내외 공급망 강화 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위원회에서 심의·의결된 정책들을 속도감있게 추진하여 청정수소 기반 생태계 전환과 수소산업 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출처 : 수소뉴스(http://www.h2news.co.kr)

Posted by Morning lark
, |

자료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일 자 2023.12.18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 개최…글로벌 소부장기업은 2개→20개로

수소산업 원천기술 확보, 사업화 촉진, 공급망 강화 등 범정부 지원

2023.12.18 산업통상자원부

정부가 수소 소재·부품·장비산업(이하 ‘소부장’) 육성을 위해 수전해·액체수소 운반선·수소터빈 등 수소산업 10대 분야 40대 핵심품목에 대해 원천기술 확보와 사업화 촉진, 공급망 강화 등을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10대 전략분야 소부장 국산화율 80%를 달성하고 글로벌 소부장기업 20개사를 육성하는 등 수소산업 소부장 생태계 강화와 기업들의 활발한 해외시장 진출을 도모한다.

특히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을 위해 수요기업 중심의 R&D 지원체계를 도입하고 특화단지 등 국내 사업화 지원 기반 확충은 물론 수소산업 핵심광물의 수급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수소산업 소부장 육성 전략’을 발표하고, 청정수소 기반 생태계 전환과 수소산업 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18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핵심 소부장 원천기술 확보

올해 하반기부터 범부처 연계 지원으로 수소 10대 분야 40대 소부장 핵심품목주요 기술을 소부장 핵심전략기술로 신규 지정해 지원한다.

이에 역량 있는 기업을 발굴해 소부장 핵심기술개발 R&D와 으뜸기업 지정 등의 제도적 지원을 확대해 기존 지원제도와 연계해 더욱 두텁게 지원한다.

또한 연료전지 중심의 지원에서 수전해, 수소엔진 등 여타 신규 분야로 지원 대상 확대·다변화하고 연료전지 R&D는 수소차, 발전용뿐만 아니라 주력산업과 연계한 선박·건설기계·방산 등 신규 모빌리티 분야로 넓힌다.

현 기술 향상 중심 R&D 지원에서 수요기업(앵커기업) 및 소부장 기업 중심의 활용가능한 제품 개발 지원으로 전환한다.

수요 대기업의 참여 부담 경감을 위해 대기업에 대한 정부지원 한도를 33%에서 67%로 높이고, 현금부담 비율을 60%에서 10%로 완화한다.

사업화 성과 제고를 위해 기업이 자체 개발한 시제품의 사업화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양산 촉진형 R&D 신규과제를 기획하고, 수소 R&D 로드맵의 각 분야별 기술 목표를 상회하는 시제품을 보유한 기업의 실증 및 트랙레코드 확보를 지원한다.

특히 해외 원천기술 보유 기업의 국내투자(합작법인 설립 등) 및 국내외 기업 간 국제 공동 R&D 등 전략적 협력 지원을 확대한다.

수소생산 기술별 맞춤형 추진체계를 개편해 성숙도가 높은 알칼라인, PEM 수전해 등은 기술개발 전담기관인 ‘국가 수소중점연구실’ 지정하고 핵심 기술 국산화를 추진한다.

기술개발 후 실증 단계에 있는 AEM, SOEC 수전해는 셀·스택핵심 원천기술을 국산화하기 위한 신규 지원사업에 착수하고, 수소생산분야는 기초연구성과 평가 결과를 토대로 우선순위별 과제를 지원한다.

대량의 수소를 상온·상압에서 고효율로 저장해 장거리를 운송하기 위한 국내 자체 기술개발도 지원한다.

이에 고성능·장수명 LOHC 촉매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해외 청정수소도입 사업과 연계한 암모니아 합성·분해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한편 내년부터 수소 분야 기술개발 및 실증 신규 과제를 확대 추진하고, 기반 역량을 갖춘 국내 기업과 해외 선도기업 간 기술도입형 및 기술협력형 국제 R&D 과제를 발굴·추진한다.

단기간 내에 원천기술 확보가 어려운 분야는 인수합병으로 생산역량 확보를 지원하여 적기 시장진입을 추진하고, 해외 원천기술 도입 이후 신규 협력업체 발굴·육성 등 국내 핵심 소부장 공급망 내재화를 위한 기업 육성 R&D 사업도 확대한다.

◆ 개발된 기술은 사업화 촉진

초기수요 창출을 위해 입찰시장, 보급사업(보조금) 등 초기시장 창출을 지원한다.

수소충전소는 수리, 교체 등 유지·보수 안정성 평가를 강화해 압축기 등 핵심 부품은 국내 공급망을 갖춘 제품 활용을 촉진하고, 수소터빈은 연소기·터빈 등 국내 소부장 기업 참여도 제고를 유도한다.

수소엔진은 국산 수소엔진차 시제품 생산 시점에 맞춰 온실가스배출 등 친환경차 인정 가능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여건을 조성하며, 공공수요는 R&D 후 공공부문 시범사업을 통한 초기 수요처를 확보한다.

모빌리티 연료전지는 선박용 범용 스택 개발 후 지자체·해경 등과 연계한 수소선박 시범사업을 통해 상용화 모델 출시 기반을 마련한다.

발전용 연료전지는 민·군 공동 활용이 가능한 이동식 수소발전기를 2028년까지 상용화하고, 육군이 우선구매 후 사용처를 확산한다.

또한 규제를 개선해 신속한 수소 제품 개발을 위해 개발·실증용 제품은 상용제품과 다른 별도의 전용 검사체계를 적용하고, 개발 중인 수소 제품은 제조시설 검사 없이 제품검사만 실시하는 등 연구용역을 통한 신속 검사체계 도입을 검토한다.

특히 수소산업 규제혁신 민·관 협의체에 소부장작업반을 신설해 소부장 관련 규제의 상시 접수 및 즉각 개선을 추진한다.

액체수소, 대용량 수소배관 등 안전기준이 아직 없는 신분야에는 합리적인 안전기준을 조속히 마련해 제품 개발 및 상용화를 지원한다.

한편 수소기업 유치·집적화를 위한 수소특화단지 지정 및 전주기 기술사업화 지원을 위한 수소기술연구원 설립을 검토하고, 지역 소재 대학을 통해 지역 특화 산업분야별 맞춤 인재양성을 지원한다.

◆ 글로벌 소부장 공급망 강화

핵심광물 수급관리를 위해 수소산업 활용도가 높은 백금류·희토류 5종을 핵심광물로 지정·관리하고, 자원안보특별법 등 법적 근거를 확보한다.

글로벌 공급망 변동 등을 감안해 주요 광물 목록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희소금속 사용량 저감 및 대체재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공급망 상시 관리 체계를 도입해 2025년부터 HS 코드에 연료전지·수전해·수소차 고유 품목 코드를 마련하고 주요 소부장 제품 수출입 동향을 정기 분석한다.

해외 완성품 업체에 소재·부품을 공급하는 국내 기업 대상으로 기술역량 강화 및 해외 검·인증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며, 공공기관 주도로 암모니아·액체수소 등 대규모 수소 인프라 구축 사업 추진시 국내 소부장 기업의 참여 비율 확대 방안을 검토한다.

이밖에도 글로벌 경쟁력 있는 기업을 수소전문기업PLUS로 육성하고, 소부장 으뜸기업에 수소 소부장 기업 신규 선정을 추진한다.

비전 및 추진전략

이날 수소경제위원회를 주재한 한덕수 국무총리는 “정부는 수소경제와 산업발전이 본격화할 수 있도록 실행방안을 구체화하고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면서 “수소산업 초기단계부터 소재·부품·장비 경쟁력도 병행 발전할 수 있도록 원천기술 확보, 실증·사업화 등을 선제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수소경제정책과(044-203-3959), 수소산업과(044-203-3973), 국무조정실 산업과학중기정책관실(044-200-2218)

 
Posted by Morning lark
, |

자료출처 이투뉴스

일 자 2023.12.18

에너지공단-가스안전공사 31개 항목 면제키로
항목당 수백만원 비용 절감 산업 활성화 기대

신축 건물에 설치된 연료전지.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이투뉴스] 건물용 연료전지 보급 활성화를 위해 에너지공단과 가스안전공사가 고정형 연료전지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기준과 중복되는 신재생에너지설비 KS인증(KS C 8569) 세부항목 검사를 면제하기로 합의했다. 중복항목 검사 면제를 위해 양측은 AH371 시험항목과 결과를 공유한다.

18일 연료전지 업계에 따르면 에너지공단은 가스안전공사의 시설·검사기준(KGS AH371)을 통과한 고정형 연료전지에 대해 중복되는 31개 항목 검사를 면제해 줄 예정이다.

그간 연료전지 제조사들은 가스안전공사의 제조 및 시설 검사와 에너지공단이 시행하는 KS인증 항목에 대한 중복검사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업계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연료전지협의회, 청정건축물연료전지협의회 등을 주축으로 산업통상자원부와 관련 기관에 개선을 요구해 왔다.

지난해 11월 설립인가를 받은 수소연료전지산업협회도 같은 목소리를 냈다. 정부가 업계의 이같은 주장을 받아들여 중복 시행되는 여러 건의 검사 면제를 결정한 것이다.

이번 조치로 KS에서 면제되는 항목은 재료 및 15개 구조 항목과 배출가스 측정, 온도상승, 절연저항, 내전압, 절연거리 측정, 복전 후 일정시간 투입방지 기능, 교류 출력전류 변형률, 출력전류 직류분 검출, 계통전압 불평형, 전기부품 내구성 시험 등이다.

고분자전해질막연료전지(PEMFC)나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추가 항목에서도 연료 계질계배관 구조, 버너 및 점화 버너 구조, 내풍, 살수, 가스누설에 대한 검사항목이 면제된다.

앞으로는 KGS AH371 검사 이후 ▶기동특성 ▶정지특성 ▶발전효율 ▶부하변동특성 ▶소음측정 ▶서지내력 ▶감전보호 ▶출력 과전압 및 부족전압보호 ▶주파수 상승 및 저하보호 기능 ▶단독운전 방지기능 ▶누설전류 ▶대기손실 ▶계통전압급변 ▶계통전압위상급변 ▶계통전압 왜형률 내량 ▶출력측 단락 ▶계통전압순간 정전순간 강하 등 17개 항목만 시험을 받으면 된다.

다만 PEMFC나 SOFC는 배열회수효율과 연료차단 항목까지 모두 19개를 통과해야 한다.

연료전지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인증기준 완화로 기업이 새로 제품을 개발해 인증을 받아야하는 경우 항목당 수백만원 상당의 금액을 절감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시간과 인력비용도 줄일 수 있게 됐다”면서 “연료전지산업이 활성화되려면 앞으로도 더 많은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Posted by Morning la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