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orning lark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652)
Fuel Cell (827)
New Energy (712)
Energy Storage (6)
New Biz Item (2)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4.1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자료출처 에너지경제

일 자 2023.8.15

평가기준·공정성 의문 제기…"분산형 강조하더니 대형 위주 선정, 가격 우선시 한다며 열·부생수소 등 비가격 요소에 가점 있는 업체들 선정"
업계, 결과 발표 이후 산업부에 이의 제기
"하반기 입찰 공고시 평가 기준 명확히 해야"

▲충남 서산시 대산연료전지발전소.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사상 첫 수소입찰시장 결과 발표 후 업계에선 뒷말이 무성하다.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된 업체와 탈락한 업체 모두 평가 기준과 공정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가장 큰 논란은 정부에서 분산형전원 확대를 최우선으로 해 입찰시장을 운영하겠다는 취지와 달리 대형 사업 위주로 선정한 점과 당초 중점적으로 보겠다던 가격 경쟁력보다 비(非)가격요소에 가중치를 부여했다는 의혹이다.

연료전지 주기기도 5곳 중 4곳이 액체 인산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인산연료전지(PAFC)로 특정 업체 밀어주기라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15일 "당초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분산형 에너지를 강조하며 소형사업 위주로 선정하겠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런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39.6메가와트(MW), 19.8MW 등 대형 사업 위주로 선정됐다"고 말했다.

특히 업계에서는 분산형 전원의 대표로 강조되던 SK에너지의 에너지수퍼스테이션(석유·수소·태양광 충전이 가능한 주유소) 사업들(3.3MW, 0.99MW)이 이번 입찰에서 모두 떨어진 것을 두고 정부에서 강조했던 방향과 다르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에너지슈퍼스테이션은 주기기로 고체 산화물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를 채택한다.

이 관계자는 "PAFC를 주기기로 사용한 업체 위주 선정도 가격 경쟁력보다 일각에서 제기된 국산화 여부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고 덧붙였다.

실제 우선협상대상에서 탈락한 6~10순위 업체들의 입찰 용량과 주기기는 △에너지슈퍼스테이션(0.99MW, SOFC) △파주 에코그린에너지(19.8MW, SOFC(D&D)), △파주 낙하그린에너지(11.1MW, SOFC(D&D)), △에너지슈퍼스테이션(3.3MW, SOFC) △논산 농촌상생형(9.57MW, SOFC)이다.

현재 국내 연료전지업계는 사실상 두산퓨얼셀의 PAFC와 SK에코플랜트-블룸에너지의 SOFC가 양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기술개발 지원, 시장제도 구축 등에서 두 기업의 이해득실이 갈릴 수 있다. PAFC는 기술이 가장 성숙한 연료전지로 평가받고 있다. 비교적 저온(약 200℃)에서 작동하고 효율이 약 37~42% 정도지만, 발생하는 열까지 함께 이용하면 80%까지 향상 가능하다. SOFC는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연료전지로 매우 높은 온도(약 1000℃)에서 작동한다. 60%의 높은 효율을 보이며 발생하는 열도 활용하면 효율이 85%까지 향상된다. 즉 원가 등 경제성 측면에서는 SOFC 연료전지가 나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번 입찰시장 평가 요소에는 종합효율 점수 외에 국산화 제품에 가점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열, 부생수소 같은 비가격 요소에서 가점이 있는 부분을 활용한 업체들이 선정업체 5곳 중 4곳"이라며 "당초 평가 기준은 가격 요소가 60%, 비(非)가격이 40%라고 했는데 비가격요소가 다 결정한 것 같다. 열 활용, 부생수소 활용, 국내 산업경제 기여도에서 가점을 받은 업체들이 다 들어갔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선정된 5곳 중 3곳이 열 활용업체, 부생수소 사용업체가 한 곳이다. 열 활용 사업자의 경우 연료전지 발전 과정에서 나오는 열을 팔아 매출을 내기 때문에 가격 요소에서도 가점 받고, 비가격 요소 중 열 활용에서도 가점 받은 셈"이라며 "부생수소도 석유화학이나 정유 같은 산업공장에서 남는 것을 가져와 활용하기 때문에 일반 가스 개질 수소보다 당연히 가격이 더 싸다. 때문에 가격 요소에서 이점 있는 만큼 입찰가를 낮춰 유리한데 비가격 요소에서도 또 가점을 받았다"며 "이 영향으로 가스개질로 전기만 만드는 SOFC 연료전지사업자는 하나밖에 못 들어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부 업체들은 입찰 결과 발표 이후 산업부 고위급 실무진에 대형사업 선정에 따른 문제점, 정책 신뢰성에 대한 강한 우려와 함께 하반기 입찰 공고시 분산성 관련 배점 강화, 산업경제기여도와 열 관련 배점 축소하는 방향으로 공고를 내달라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료전지 업계의 한 관계자는 "연료전지 시장은 주기기 제조사의 입김이 강하다"며 "특정 주기기가 사실상 싹쓸이 하다시피 하면서 산업부에서 평가 기준대로 평가를 했는지에 대한 의문과 평가결과 공개 요구가 나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부에서는 공정하게 평가했으며 세부 결과들은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Posted by Morning lark
, |

자료출처 가스신문

일 자 2023.8.16

발전방식 다른 연료전지→열병합발전 분류, SOFC 등 세분화도 없어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평가선 1등급…ZEB 평가에선 5등급 분류
원별보정계수‘ECO2 미적용’,국토부 등 관계기관 제도개선 시급

건물용 연료전지가 제로에너지건물(ZEB) 인증 평가에서 고효율 발전시스템임에도 합당한 평가를 받지 못해 제도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가스신문 = 주병국 기자] 정부가 다가올 수소경제로 성공적 전환을 꾀하고자 수소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정작 핵심 역할을 할 건물용 연료전지는 국내 에너지 시장에서 평가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 내 에너지 효율성 향상과 에너지자립을 구현하는데 건물용 연료전지가 최적화된 분산전원임에도 불구하고 보급 활성화를 이끌 ‘제로에너지건물(ZEB)’ 인증 및 의무화에서는 배제되고 있어 제도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국내 건물용 연료전지는 제조사들의 기술 고도화로 발전효율 50% 이상, 에너지 종합효율 90% 이상을 보이는 등 기술 측면에서 우수성을 확보하는 등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하지만 건물용 연료전지 보급실적은 1,253개소에 설비용량 29.1MW(2022년 말 기준)에 그쳐, 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제시한 2022년도 목표치(58%)인 50MW에 턱없이 못 미치는 실정이다.

국내 에너지 시장에서 건물용 연료전지가 보급 활성화가 되지 못하는 것은 소규모 연료전지 시장이 초기 단계다 보니 제품의 고가, 비싼 연료비 그리고 정부의 지원정책 부재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이 같은 악재 속에서도 건물용 연료전지가 보급되는 것은 산업부가 관장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에 따라 공공건물을 비롯해 일정 규모 이상의 일반(에너지다소비)건물을 중심으로 더디게 보급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토부도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의 보급확대를 위해 ‘ZEB 의무화 로드맵’을 수립하고, 올해부터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 대상을 확대(공공 500㎡ 이상, 공공 공동주택 30세대 이상 건물)해 시행하고 있다.

이처럼 정부의 의무화제도만 놓고 보면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된 건물용 연료전지가 빠르게 보급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보급실정은 그렇지 못하다.

이유는 건물용 연료전지를 놓고 산업부와 국토부가 관장하는 두 개의 의무화제도가 에너지공급시스템의 평가를 완전히 달리하기 때문이다.

건물용 연료전지의 경우 신재생에너지법을 근간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를 적용시 단위에너지 생산량과 원별 보정계수 등을 적용, 평가해 고효율인 SOFC 연료전지가 태양광과 지열 등 재생에너지보다 우수한 등급을 받지만, 녹색건축법을 근간으로 하는 건축물에너지효율 등급과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에 따른 평가시 최하위 등급으로 분류된다.

이는 신재생에너지원별 에너지자립률을 산정하는 방식이 다른 데다, 녹색건축물인증 및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의 경우 원별 보정계수를 반영하지 않다 보니 동일 대상을 놓고 정반대의 결과가 나오는 것이다.

심지어 제로에너지 등급(1~5등급) 평가 프로그램(ECO2)에서는 건물용 연료전지를 열병합발전으로 분류하고, 시스템 방식에 따른 세분화된(SOFC, PEMFC 등) 알고리즘마저 없어 합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어 프로그램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정부가 건물용 연료전지 기술을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과 국가 핵심기술로 지정하고, 수소 도시 조성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하지만 정작 수소 도시 조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건물용 연료전지 보급 활성화에는 눈과 귀를 막고 있다는 성토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건물용 연료전지업계 관계자는 “연료전지는 수소를 연료로 산소와 전기 화학반응에 의해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건축물 효율 등급 및 ZEB 인증 평가 프로그램에서는 가스엔진을 기반으로 한 열병합발전으로 분류하고 있다”며 “ECO2 평가 프로그램 개선 사항을 관련 기관에 개선을 요청했지만 이뤄지지 않고 있어 답답한 노릇이다”고 토로했다.

한국연료전지협의회 관계자는 “시장의 혼란을 막기 위해서라도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된 연료전지에 대한 통일된 평가 기준이 필요한 만큼 ECO2 평가에서도 원별 보정계수를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향후 수소도시 조성에 따른 보급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Posted by Morning lark
, |

東北大学の千田祥大大学院生と和田山智正教授らは、白金とクロム、コバルトなどの多元素を混ぜて燃料電池触媒の耐久性を向上させることに成功した。加速劣化試験で白金コバルト触媒に比べて3割ほど高い活性を維持した。

白金-ハイエントロピー合金 表面の断面顕微鏡像と各構成元素の分布(東北大学発表資料より)

燃料電池触媒の白金使用量を低減できる可能性がある。 5種類以上の元素を混ぜて作る「ハイエントロピー合金」で触媒を作製。鉄やマンガン、ニッケルを加えて、現行の白金触媒から白金使用量を減らす。原子の並び方を精密に制御しながら触媒表面を作ると白金コバルト触媒に比べ高い活性を維持できた。分析すると触媒表面に白金が集まり、疑似的なコアシェル構造ができていた。これが耐久性向上に効いたと考えられる。白金コバルト触媒はコバルトが溶出し失活する課題があった。

燃料電池触媒の耐久性向上、東北大が成功した意義(ニュースイッチ) - Yahoo!ニュース

 

燃料電池触媒の耐久性向上、東北大が成功した意義(ニュースイッチ) - Yahoo!ニュース

東北大学の千田祥大大学院生と和田山智正教授らは、白金とクロム、コバルトなどの多元素を混ぜて燃料電池触媒の耐久性を向上させることに成功した。加速劣化試験で白金コバルト触媒に

news.yahoo.co.jp

 

Posted by Morning lark
, |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HD)傘下の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ヤンマーPT、大阪市北区、田尾知久社長)は、船舶用水素燃料電池システムを商品化した。

 

 

国内外で水素の補給が比較的容易な沿岸を航行する旅客船、作業船、貨物船向けに提案する。すでに受注を開始しており、ヤンマーPTの尼崎工場(兵庫県尼崎市)で生産する。 一つの舶用水素燃料電池システムあたりの最大出力は300キロワット。パッケージ内に搭載されている舶用水素燃料電池モジュールの個数を変えることで、顧客の要望に合わせて出力を変えるなどカスタマイズにも対応する。 寸法は横3400ミリ×奥行き1100ミリ×高さ1700ミリメートルで、質量3000キログラム。二酸化炭素(CO2)や窒素酸化物(NOX)を排出しないほか、低振動、低騒音、排ガス臭もなく、快適な乗り心地を実現する。 同社は2020年から、トヨタ自動車の新型燃料電池車(FCV)「MIRAI(ミライ)」用燃料電池ユニットなどを組み合わせた船舶用燃料電池システムをヤンマー製ボートに搭載するなど、実証を進めてきた。

 

最大出力300kW…ヤンマーPTが商品化した舶用水素電池の性能(ニュースイッチ) - Yahoo!ニュース

 

最大出力300kW…ヤンマーPTが商品化した舶用水素電池の性能(ニュースイッチ) - Yahoo!ニュース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HD)傘下の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ヤンマーPT、大阪市北区、田尾知久社長)は、船舶用水素燃料電池システムを商品化した。国内外で水素の補給が比較的

news.yahoo.co.jp

 

Posted by Morning lark
, |

자료출처 전기신문

일 자 2023.8.9

건설사, 에너지기업, 사모펀드 등 참여 SPC 5곳 선정
총 낙찰물량 89.3MW 중 두산퓨얼셀 연료전지 70MW“국산화 항목서 희비 갈려”…하반기 가중치 조정에 ‘촉각’

수소발전 입찰시장 1라운드에서 두산퓨얼셀이 기선 제압에 성공했다. 두산퓨얼셀은 상반기 입찰물량 90MW 중 70MW를 따낸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는 국산화 항목에서 희비가 갈린 것으로 분석하는 가운데, 하반기에 개설될 입찰 향방에 관심이 옮겨가고 있다.

9일 복수의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전력거래소는 올해 상반기 일반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물량인 650GWh에 대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5개 사업자의 최종 발표를 앞두고 있다. 선정된 사업자들 모두 80~90%의 가동률을 써내 총 설비용량은 89.3MW 규모로 전해졌다.

취재 결과 5개 사업자엔 대형 건설사와 에너지 기업, 자산운용사 등이 참여한 SPC가 대거 선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면면을 보면 ▲이지스·에퀴스PE(사모펀드), 대륜 E&S 등이 참여한 이지스 컨소시엄 ▲SK에코플랜트와 한국플랜트서비스가 참여한 SK에코플랜트 컨소시엄 ▲SK에너지가 참여한 충북 청주 소재 주유소 ▲롯데케미칼 등이 참여한 울산 SK 컨소시엄 ▲가나이엔지 등이 참여한 광주 첨단 컨소시엄이 이름을 올렸다.

이지스 컨소시엄이 서울 도봉지역에 설치할 39.6MW 규모의 연료전지 설비용량은 5개 사업자 중 가장 큰 규모에 해당한다. SK에코플랜트 컨소시엄과 울산 SK 컨소시엄의 설비용량이 각각 19.8MW 수준으로 뒤를 이었다. 광주 첨단 컨소시엄과 충북 청주 주유소의 설비용량은 7.4MW, 2.7MW 규모로 파악됐다.

사업자 선정 못지않게 관심을 끈 것은 두산퓨얼셀과 SK에코플랜트로 양분된 국내 연료전지 기기의 공급 판도다. 업계에 따르면 SK에코플랜트 컨소시엄을 제외한 나머지 컨소시엄들은 두산퓨얼셀의 연료전지를 택한 것으로 전해졌다. SK에코플랜트 컨소시엄이 낙찰 받은 설비용량이 19.8MW인 점을 감안할 때 70MW에 육박한 물량이 두산퓨얼셀에 집중됐다.

두 기업의 희비는 국산화 항목 평가에서 엇갈렸다. 전력거래소의 사업자 입찰기준에 따르면 가격요소(60%)와 비가격요소(40%)로 평가한 뒤, 가격 및 비가격평가 결과를 합산해 고득점 순으로 정한다. 비가격요소는 발전기 성능, 송배전 연계(이상 계통평가), 산업·경제 기여도, 사업 신뢰도, 환경기여도, 주민수용성 및 사업진척도(이상 일반평가)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이때 비가격요소 중 ▲핵심부품 등 국내 공급망 안정화 ▲국내 투자 및 고용창출효과 등을 평가하는 산업·경제 기여도 항목에서 판가름이 났다고 보는 분위기다. 두산퓨얼셀은 지난 2012년부터 90MW 규모의 국내 생산라인을 운영하며, 1차 협력업체 구매액을 기준으로 98% 이상의 국산화를 달성하기도 했다.

다만 하반기 입찰에서도 두산퓨얼셀이 ‘싹쓸이’를 할지는 두고 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당초 낙찰자를 선정할 때 분산전원 확대 기여도를 높이 평가하려 했던 당국의 의도와는 다소 다른 결과가 나온 것 같다”며 “아무래도 첫 입찰이다 보니 가격, 비가격요소 평가 시 적용되는 가중치가 하반기 입찰에선 달리 설정될 가능성도 있어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하반기 입찰과 RPS 잔여물량을 통해 기존의 시장 점유율 이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준비해 나갈 계획”이라면서도 “이번 결과가 그간 정부가 강조해온 분산전원으로서 연료전지 활용을 유도한다는 정책 목적에 부합하는지는 의문이다. 향후 분산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제도가 개선되길 기대하며, (당사는) 이같은 정책 취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Posted by Morning la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