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orning lark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927)
Fuel Cell (854)
New Energy (942)
Energy Storage (6)
New Biz Item (2)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현대자동차그룹과 새만금개발청 등 8개 기관·기업이 그린수소 실증 사업을 통해 수소 사회 구현에 속도를 낸다.

현대자동차,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차증권과 새만금개발청, 새만금개발공사, LG전자, 한국서부발전, 수소에너젠은 19일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호텔에서 '그린수소 밸류체인 구축을 위한 공동연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는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을 달성하고, 그린수소로의 전환과 신사업 창출, 새만금 지역의 산업 활성화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소는 화석연료로부터 추출한 '그레이수소',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저장한 '블루수소', 재생에너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전기 분해해 생산하는 '그린수소'로 구분된다. 이중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삼아 에너지 생성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전혀 없는 것이 특징이다.

현대차그룹을 비롯한 8개 기관과 기업들은 태양광, 에너지 저장 장치(ESS), 수전해 시설, 연료전지 등 재생에너지와 수소 활용을 연계한 그린수소 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에 착수히며, 내년부터 본격적 사업 착수에 들어갈 예정이다.

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새만금 지역은 세계 최대 규모의 수상 태양광 발전 등 풍부한 재생에너지 설비를 갖추고 수소 에너지를 비롯한 미래 에너지 사업 육성에 적극적인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LG전자는 새만금 지역에 태양광 모듈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등의 발전 설비를 갖추고 전력을 생산한다. 수소에너젠은 공급받은 전력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도록 물전기분해(수전해) 기술과 설비를 제공하고, 현대엔지니어링은 수전해 시설을 비롯해 통합적인 수소 생산 플랜트 시설을 구축한다.

현대차는 연료전지 기술과 발전 설비를 통해 플랜트에서 생산된 수소를 바탕으로 전력을 만들고, 한국서부발전은 생산된 전력을 다양한 에너지 수요처에 판매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새만금개발청은 사업 시행을 위한 관련 행정절차를 돕는 한편 관계 기관에 제도 개선을 요청하고, 상용화를 위한 지원도 나설 계획이며, 새만금개발공사는 사업을 총괄 지원한다. 현대차증권을 사업 추진을 위한 금융 조달과 그린수소 사업의 밸류체인 분석과 타당성 검증을 맡게 된다.

현대차그룹은 재생에너지와 수소에너지 간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수소에너지가 궁극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인 그린수소의 밸류체인을 확보하기 위해 각 사가 보유한 역량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민관이 뜻을 모아 마련한 이번 업무 협약은 수소 에너지 업계에 큰 변화를 일으키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면서, "현대차그룹은 수소 생태계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그린수소 보급 확대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는 ▲상해전력고분유한공사 등 중국 현지 파트너사와 수소 상용차 플랫폼 구축 업무협약 ▲CSIRO 등 호주 연구기관 및 기업과 수소 생산 기술 개발 업무협약 ▲정부, 지자체, 에너지 업계와 상용차 수소 인프라 구축 업무협약 등 국내외를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수소 생태계 저변 확대를 위한 협업에 나서고 있다.

 

Posted by Morning lark
, |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양산에 돌입할 예정인 수소차용 연료전지 핵심 소재인 멤브레인의 모습. 사진 코오롱인더스트리코오롱인더스트리가 수소차용 연료전지 핵심 소재인 멤브레인 양산 체제를 구축했다고 19일 밝혔다. 멤브레인은 고분자 전해질막(Polymer Electrolyte Membrane)으로 연료전지 내부에서 수소이온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분리막이다. 이 과정에서 모터를 돌릴 수 있는 전기가 발생한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이달 중 구미공장 내 PEM 양산 라인을 준공하고 시운전을 거쳐 내년부터 생산에 나설 예정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이번 설비 구축을 통해 PEM 양산과 함께 이를 전극과 결합해 만드는 막전극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생산 기반도 갖추게 됐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PEM뿐만 아니라 MEA 개발 및 양산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내년부터 국내 건물용 시장에서 단계적 판매에 나서는 것을 시작으로 설비를 확충해 2022년 양산·판매를 목표하고 있다. 수소차 생산이 본격화하는 2025년 무렵 전 세계 연료전지 시장에선 MEA가 3조원 이상, PEM이 1조원 이상 규모를 차지할 전망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수소연료전지 분리막 사업을 최근 성장하고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ESS) 시장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PEM 시장 확장을 통해 수소 및 친환경 산업도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무석 코오롱인더스트리 상무는 “PEM 양산 설비 구축으로 기존 수분 제어장치 사업 역량과의 시너지를 통한 한발 빠른 사업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며 “월등한 기술력으로 글로벌 선두주자의 지위를 공고히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Posted by Morning lark
, |

ENGINE manufacturer Cummins, United States, has announced that it will open a new hydrogen fuel cell systems factory in Herten, Germany, in July 2021.

The new site, which will be operated through the Cummins-Hydrogenics subsidiary, will include facilities for both manufacturing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including four testing stations. The factory will also be expanded to support fuel cell stack refurbishment as demand for aftercare rises.

The new site will initially focus on the assembly of fuel cell systems for Alstom’s Coradia iLint hydrogen-powered trains. The facility is expected to produce an estimated 1MW of fuel cell systems per month, up to a production capacity of 10MW annually, and will also provide aftercare support for the systems.

The fuel cells will include six power modules, a cooling system, piping, air blowers and air filters.

Cummins says the new Herten site will strengthen its presence in the European hydrogen industry and will complement existing alternative power facilities in Germany, Britain and Belgium.

Germany has been an early supporter of hydrogen rail technology, with the federal government funding development of the Coradia iLint as part of the National Innovation Programme for Hydrogen and Fuel Cell Technology. States including Hesse and Lower Saxonyhave also announced plans to introduce hydrogen-powered services from 2022.

“This facility will better position us to provide critical support to customers in Europe and strategically strengthen our position to be a leader in shaping tomorrow’s hydrogen economy,” says Ms Amy Davis, president of new power at Cummins.

Posted by Morning lark
, |

The new installations fuel cell technology will be headed to the historic Hwasung and Paju cities in Korea.

Bloom Energy and SK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SK E&C) have announced new fuel cell technology deployment in the South Korean province of Gyeonggi.

The new installations will be located in two cities in that province: Hwasung and Paju.

Both installations are a part of the fuel cell technology deployment using Bloom Energy’s non-combustion, electrochemical process for generating electricity with improved reliability and lower costs with greater reliability. This all occurs while cutting overall carbon emissions.

Hwasung will receive the first power plant. It will be a 19.8-megawatt installation of Bloom Energy Servers. This will make it the largest Bloom Energy project in the country. In fact, it will become the second largest project the company has in the world.

 

This fuel cell technology deployment is the first of its kind that has been financed in Korea.

The project is moving forward with more than 141 billion KRW of debt and equity financing. The new solid oxide fuel cell installment will offer the region’s growing energy demand with a new source of locally generated electricity. This one facility has adequate designation to generate the power needed for the demand from 43,000 homes in the historic city.

The second plant in Paju consists of an 8.1-megawatt Bloom Energy Server deployment of 8.1 megawatts. This will generate enough electricity for 18,000 homes in the city. Moreover, the energy provided to the city will be cleanly generated. Furthermore, it will provide rural area residents with natural gas for the first time by way of newly installed city pipelines.

 

The country is currently considered to be a global leader and fuel cell technology champion at a utility power generation level. The most recent estimates available show that at least six South Korean power generation companies have a fuel cell technology deployment of a total of about 300 megawatts

 

Moreover, these instances of fuel cell technology deployment are only the beginning in South Korea. The government issued a Hydrogen Economy Roadmap last year. That report recommended 15,000 megawatts of stationary fuel cells in twenty years. Moreover, the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in the country incentivizes electricity and energy companies to turn toward renewable and low- or no-emission technologiesfor generating 10 percent by 2023.

Posted by Morning lark
, |

The stock of both Nikola Corp. and General Motors spiked Wednesday on rumours the two had finally signed a deal where GM would make the Nikola Badger heavy-duty electric pickup using its Ultium battery technology and be the exclusive supplier of Hydrotec fuel cells for the truck.

In return, GM would get an equity stake in Nikola and other benefits of scale to save it billions in costs.

But both GM and Nikola spokespeople say there is nothing new to report about a pending deal.

SUPPLIED

The deal for GM to build the Nikola Badger seems to be progressing, but neither company will confirm it yet.

The rumour got started when "apparently, someone saw something on GM.com that linked to (the) original press release," GM spokesman Jim Cain said in an email to the Detroit Free Press. It had been on the site for weeks, Cain said. He said, "The transaction has not closed" with Nikola.

Posted by Morning lark
, |